$\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바이오 혼합소재로서 화력발전소 유연탄 Bottom ash의 특성 연구 - 원적외선, 항균, 항곰팡이, 탈취, 조습 등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Bottom Ash Generated from Coal Fired Power Plants' Bottom Ash as an Eco-friendly Bio-composite Material - Focusing on Far Infrared Ray, Antibacteria, Antifungus, Deodorization, Aridity and Humidity -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4, 2017년, pp.51 - 60  

이종규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여운호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유연탄 Bottom ash(BA)는 고온에서 연소 되고 남은 재이다. 고온에서 구워진 재료이기 때문에 맥반석과 같은 기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최근 일반 모르터보다 황토, 맥반석 등이 재료로 들어가서 원적외선, 항균, 항곰팡이, 탈취, 조습 기능이 있는 모르터의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이다. 유연탄 BA를 친환경 바이오 혼합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친환경 바이오 BA 모르터를 일반 모르터와 각각의 기능성에 대해 비교 시험한 결과 원적외선 방사율이 약 $0.02{\times}10^2W/m^2$ 정도 높게 측정되었으며, 탈취 기능은 약 26%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조습의 경우에도 친환경 바이오 BA 모르터가 일반 모르터보다 약 1.8배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흡 방습 건축자재 "양호"기준보다 10%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ttom ash(BA) from coal-fired power plants is burnt and remaining ash at high temperature. Since the BA is baked at high temperature, it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function as the elvan. Nowadays, the demand for mortar with far infrared rays, antibacteria, antifungus, deodorization, aridity an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BA가 맥반석과 같은 원적외선, 항균, 항곰팡이, 탈취, 조습 등의 특성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하여 친환경 바이오 혼합소재 잔골재로 대체 한다면 더욱더 석탄재의 재활용률을 높일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적외선 방출시험의 측정온도와 측정파장은? 시험 방법은 원적외선 방출시험 KICM-FIR-1005 규격에 준하여 시행하였으며, 시편 40×40×3㎜ 2개를 준비하였고, 시험 장비는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Black Body에 대비하여 시험하였다. 원적외선 방사율,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시험 모두 측정 온도는 40℃, 측정파장은 5~20㎛의 범위에서 시험하였다.
유연탄 Bottom ash(BA) 이란?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유연탄 Bottom ash(BA)는 고온에서 연소 되고 남은 재이다. 고온에서 구워진 재료이기 때문에 맥반석과 같은 기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석탄재는 매년 850만 톤 이상 발생되고,1) 당분간 화력발전소는 추가 건설될 예정이다.2) 또한 2018년부터는 매립세 등 법적규제가 강화될 뿐 아니라 회매립장의 추가 허가가 불가한 상황이므로 법적 재활용률을 준수하기3),4) 위해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만약 Bottom ash(BA)로 모르터 잔골재를 대체할 경우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발전5사, "발전회사별 석탄회 재활용 실적 종합"] Five companies of power generation in Korea, "Comprehensive recycling result of coal ash by power generation company", (2010). 

  2. [지식경제부, "제4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보도자료]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The 4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ress Releases, pp. 1-4. (2008). 

  3. [김병규, 최영윤, 길대섭, "무연탄 석탄회 고함량 벽돌의 상용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최종 보고서] Kim, B.K., Choi, Y.Y. and Gil D.S., "A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eparation of fired brick with high content of anthracite fly ash", Final report of KIGAM, pp. 1-2. (2004). 

  4. [환경부, "철강 슬래그 및 석탄재 배출 사업자의 재활용 지침", 환경부고시 제2014-193호] Ministry of Environment, "Recycling guidelines for steel slag and coal ash companies", Ministry of Environment Notice No.2014-193, (2014). 

  5. [최세진, 정용, 오복진, "석탄회를 잔골재 일부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레미콘] Choi, S.J, Jung, Y., Oh, B.J.,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Coal Ash as Part of Fine Aggregate", Ready-Mix-Concrete, 77(3), pp. 22-28. (2003). 

  6. [쌍용양회공업(주) 기술영업부, "공기량 및 공기포 분포가 콘크리트 성질에 미치는 영향", 쌍용 기술정보서비스] SsangYong Cement Co., Ltd, "Effect of Air Volume and Air Distribution on Concrete Properties", Ssangyong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pp. 1-4. (2007). 

  7. [기술표준원,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KS L 522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 "Dry ready mixed cement mortar KS L 5220", (2007). 

  8. [추용식, 김인섭, 이종규,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맥반석 골재의 영향"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Chu, Y.S., Kim, I.S. and Lee J.K., "The Effects of Elvan on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 Mortar", J.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5(3), pp. 386-391. (2003). 

  9. [추용식, 이종규, 김병익, "맥반석을 활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개발", 시멘트심포지엄] Chu, Y.S., Lee, J.K. and Kim, B.I., "Development of Cement Mortar Using Elvanite", Cement Symposium, 28(23), pp. 166-171. (2001). 

  10.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바이오 세라믹 기능성 마감재", 시험성적서] KICM, "Bio-ceramic functional finishing material", Test Report, pp. 1. (2009). 

  11. [국토교통부, "청정건강주택 건설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40호]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struction Standards of Clean Health Housi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ce No.2013-40, pp. 1-1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