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기업의 온라인 마케팅을 통한 외식메뉴 구매형태 및 신규브랜드 인식에 관한 연구 : 바이럴마케팅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Online Marketing's Impact of Food Service Companies on the Purchasing Behavior Itself and Brand Recognition of New Brand of Menu : Focusing on Viral Marketing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8 = no.91, 2017년, pp.173 - 183  

강병남 (혜전대학교 호텔조리외식계열) ,  문성식 (장안대학교 프랜차이즈경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ew brand awareness and new brand awareness according to type of restaurant menu purchase inform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research data on viral marketing strategy through online marketing of restaurant compan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SNS를 통한 사회적 관계 형성 활동을 연령과 성별을 불문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요즈음 SNS 정보의 유용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의 온라인 마케팅(블로그와 SNS 광고)을 통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소비자의 신규 브랜드에 대한 인식(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구전효과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1 : 블로그 정보는 구전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 SNS 광고의 정보는 구전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 SNS 광고의 정보는 구전확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ISDI(2016)의 보고서에 따른 우리나라인구의 SNS 이용률 추세는 무엇인가? KISDI(2016)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인구의 SNS 이용률이 43.1%에 달해 2011년 대비 2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나 20대는 70% 이상 SNS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장년층(30~50대)에서도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특히 50대의 하루 평균 SNS 이용시간이 20대에 이어 큰 증가폭을 보이고 있어 SNS는 우리나라에서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모든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매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들의 홍보 공간이 SNS로 급격하게 이동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기업들의 홍보 공간이 SNS로 급격하게 이동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는 전략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SNS는 과거 기업의 일방향적인 온라인 홍보매체(홈페이지, 배너광고, 이메일 광고 등)와는 달리 소비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제품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업입장에서는 효율성 높은 마케팅채널로서 표적 집단 소비자들에게 적은 비용으로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되었고, 표적고객들에게 고객 맞춤형(customized)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리고 소비자입장에서 그 정보가 유용하다고 인식될 경우 SNS를 통해 지인들과 공유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구전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어 기업의 욕구와 SNS의 장점이 맞물려 기업 홍보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Kook & Kim, 2016).
소셜미디어란? 소셜미디어(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웹 2.0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일컫는 말로서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하고 가공,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맺는 관계와 활동 그리고 관계를 원활하게 해주는 테크롤리지를 총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3). 웹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D. K., & Mock, Y. S.(2013). SNS advertising use behavior,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effect and strategy.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3), 77-86. 

  2. Baek, S. I., Bae, S. H., & Song, Y. Y. (2014). Exploring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s previous knowledge and involvement on online word-of-mouth adoption in the application markets, Entrue Journal of International Technology. 13(3), 21-34. 

  3. Baker, T. L., & Hunt, J. B., & Scribner, L. L. (2002). The effect of introducing a new brand on consumer perceptions of current brand similarity: the roles of product knowledge and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0(4), 45-57. 

  4. Cheng, Christy M. K., Matthew K. O., & Lee, N. R. (2008). The impact of electronic word of mouth: The adoption of online opinions in online customer communities. Internet Rsearch, 18(3), 229-247. 

  5. Cho, S. H., & Yi, M. Y. (2014). Business implication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online review helpfulness.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1), 29-40. 

  6. Choi, H. H., Kim, J. J., & Park, M. R. (2015). The effect of SNA attributes on advertising value and attitude toward SNA.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18(1), 5-15. 

  7. Chung, S. W., Lim, J. S., Park, S. J., Chung, Y. R., Park, K. M., & Choi, J. H. (2014). Research trends in social media: An analysis of social science studies from 2006 to 2013.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1(2), 87-124. 

  8. Daniasa, C. I., Tomita, V., Stuparu, D., Stanciu, M. (2010). The mechanisms of the influence of viral marketing in social media. Economics, Management & Financial Markets, 5(3), 278-282. 

  9. Ducoffe, R. H. (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ng Research in Adverting, 36 (5), 21-35. 

  10. Han, K. H. (2016). An investigation on potential determinan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promotional eff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Facebook user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6(3), 132-168. 

  11. Hong, L. Y., Lee, H. D., & Kang, S. M. (2016). The impact of user's reaction to SNS based advertisement on firm's marketing performance: focusing on the teenager's shoe in Facebook.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5(2), 17-34. 

  12. Jean Harrison-Walker, L. (2001). E-complaining: A content analysis of an Internet complaint forum.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5(5), 397-412. 

  13. Joung, Y. S. (2017). Effects of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trust, purchase intention and WOM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3(3), 50-62. 

  14. Kim, I. S. (2013). A study on viral advertising of new media ag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6(1), 71-80. 

  15. Kim, I. S., & Park, S. B. (2008). A study on on-line & viral marke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11(2), 57-66. 

  16. Kim, K. H., & Han, J. S. (2016). Through SNS eat out select properties, customer satisfaction, recommendation of others affect relation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4), 143-155. 

  17. Kim, Y. I., & Kim, K. (2015). The influence of building trust by e-WOM characteristics based on social media of hotel on behavior intention. Hotel & Tourism Research, 17(6), 151-166. 

  18. KISDI (2016). SNS(Social Network Service) utilization trend and usage behavior analysis. 

  19. Kook, I. S., & Kim, Y. K. (2016). A case study on the social media usage by food service franchise brand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 and USA.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9(1), 285-315. 

  20. Lee, N. K., & Kim, K. J., & Byun, K. I. (2014). A study on married women's accepting process of SNS WOM and forming process of behavioral intention for restaurants: Focusing o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6), 159-174. 

  21. Lim, J. W., & Lee, E. Y. (2007). A study of the factors infulence WOM effects in online environment. Asia Marketing Journal, 8(4), 59-77. 

  22. Litvin, S. W., Goldsmith, R. E., & Pan, B. (2008). Electronic word-of-mouth in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Tourism management, 29(3), 458-468. 

  23. Negash, S., Ryan, T., & Igbaria, M. (2003). Quality and effectiveness in web-based customer ssupport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40(8), 757-768. 

  24. Noh, J. E., Choi, Y. S., & Choi, S. D. (2016). The impact of touris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seeker personality variables on word-of-mouth effects throughout the online environment: Focusing on internet users in the age groups of the 20s and 30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0(8), 43-62. 

  25. Pang, H. Y., & Choi, Y. S. (2015). The influences of characteristics of e-WOM based on social media of food information service on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ourism Research, 30(4), 73-92. 

  26. Park, D. S., & Han, J. S. (2016). Effects of SNS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restaurant food : Focused on the SNS WOM receivers characteristics as moderato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2(8), 39-52. 

  27. Park, J. Y. (2013).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d of mouth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SNS's on word of mouth effects. Torism Research, 27(6), 385-408. 

  28. Park, S. O., Kwon, O. B., & Na, H. J. (2017). The effect of social media related to informal data of big data on sales. Accounting Information Review, 35(2), 321-342. 

  29. Park, S. Y. (2015). The regulation of blog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case of undisclosed economic interests. Journal of Korean Competition Law, 30, 355-393. 

  30. Pitta, D. A., & Fowler, D. (2005). Internet community forums: an untapped resource for consumer marketer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2(5), 265-274. 

  31. Seo, J. W. (2013). A study on effect of acceptance, spread of WOM for attributes of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n online food service informa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iability.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17(2), 121-145. 

  32. Shen, Y. I., & Park, C. (2015). Factors influencing e-WOM through SNS: Focus on China Weibo.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9(1), 131-156. 

  33. Shin, S. M., Hwang, I. A., & Min, J. Y. (2016). Effect of viral marketing in on-line mall review and power blog self-presentation on mediator variable word of mouth and apparel purchase behavi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5), 600-161. 

  34. Shin, S. Y., & Cha, S. M. (2013). Motiv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age of restaurant customer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1), 121-138. 

  35. Soh, H. J. (2013). Attributes of trusted blog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product-reviews in powerblogs and consumer surve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 (1), 73-82. 

  36. Song, H. K. & Son, M. H. (2015). The effects of gourmet blog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online words of mouth: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8(4), 47-68. 

  37. Song, J. W., & Lee, H. Y. (2015). The effects of the advertising value of SNS on the brand equity, brand loyalty of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8(1), 137-164. 

  38. Steffes, E. M., & Burgee, L. E. (2009). Social ties and online word of mouth. Internet Research, 19(1), 42-59. 

  39. Stvilia, B., Twidale, M. B., Smith, L. C., & Gasser, L. (2008). Information quality work organization in Wikipedia.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6), 983-1001. 

  40. Yoo, Y. H. (2017). The impact of customer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hotel firms. Tourism Research, 42(3), 141-158. 

  41. Yun, H. J., Ahn, S. H., & Lee, C. C. (2012). Determinants of trust in power blogs and thei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411-419. 

  42. Zhang, Z., & Kim, H. M. (2013). Factor analysis of word-of mouth information acceptance about international tourism service through social media.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5(4), 391-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