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변 가로녹지 유형이 기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Street Green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12, 2017년, pp.1363 - 1374  

김정호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최원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윤용한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climate chang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has cause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urban temperatures and tropical nights, urban heat waves, heat waves, and heavy rains.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analyze climate conditions and weather conditions in the streets and analyze climat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일한 조건하에 있는 대상지 내에서 가로녹지 형태가 다른 두 지점을 선정하여 기상 현황 및 열환경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일사량과 복사량 등을 조사하여 다양한 기상요소가 도로변 가로공간의 기온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로공간의 가로수 유무에 따른 기상 환경 및 열환경을 조사를 통해 가로공간 교목의 기온 저감 효과와 보도 이용시 시민에게 불쾌감을 주는 기상 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로변 가로공간의 가로 수목 유무에 따른 기온변화 및 열환경 변화 측정을 주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기상, 표면 온도, 일사량, 순복 사량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기상변화를 관측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5년 7월 15일부터 8월 5일까지 총 14일간 실시하였으며 연구주제와 부합하지 않은 날은 제외하였다.
  • 측정 및 조사 항목 간 상관성 분석에서 열환경과 일사량 간 차이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기온에서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경우 도로의 불투수 면적이 도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그러나 비교를 위한 유형이 다소 적었으며 녹지 현황을 정량화하지 못해 도시민에게 영향을 주는 기상환경의 변화량을 정량화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가설 설정

  • PMV의경우 주로 실내 열환경 평가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평가 방식은 0을 포함한 -3 3으로 총 7단계이다. PMV는 인체의 온열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 인간의 착의량과 활동량이 고려되는데, 본 연구에서 착의량과 활동량은 1로 설정하였다.
  • 이에 가로녹지 유형 Type 1과 2의 상대습도, 건구온도, 습구온도, 흑구온도, WBGT, MRT, UTCI 에서 차이에 따른 측정값의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가로녹지 유 무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대립가설을 채택하였다(p<0.01).
  • 05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이에 기온, 풍속, PMV, PPD에서는 가로녹지 유형 차이에 따른 측정값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기온과 풍속은 가로수 유 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 성을 찾을 수 없고 습도와 일사량, 순복사량 등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이용자가 받는 열환경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로녹지를 고려한 도로의 열환경 연구의 한계점은? 선행연구를 종합한 열환경 악화가 심화되는 지역인 도로의 경우 도시민의 생활환경을 악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접근을 시행하고 있으나 도로의 열환경 연구는 대부분 가로녹지를 고려하지 못한 연구가 대다수였다. 반면 가로녹지를 고려한 연구의 경우 차로 수와 교통량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가로녹지와 도로 현황을 모두 고려한 연구의 경우 차로 수와 가로녹지 유형에 따른 상대적인 비교는 가능하였으나 절대적인 비교는 불가했다. 또한, 도로 현황과 가로녹지 현황에 국한되어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에 기온 변화요인에 대한 고찰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도심지에서 열환경 악화가 심화되는 이유는? 도심지의 경우 도로와 건물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Park et al., 2005)이기 때문에 폭염 및 열환경 악화가 심화되는 지역이다.
가로녹지 활용의 목적은 무엇인가? , 2005)이기 때문에 폭염 및 열환경 악화가 심화되는 지역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도심지 녹지면적 확충과 보행 쾌적성을 목적으로 가로녹지를 활용하였으며, 최근 이러한 가로녹지 공간 및 보도를 중심으로 도심지의 도로변 열확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mson, D., Stringer, P., Ennos, A. R., 2012, The effect of tree shade and grass on surface and globe temperatures in an urban area,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 245-255. 

  2. Chapman, L., John, E. T., 2005, The influence of traffic on road surface temperatures: implications for thermal mapping studies,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2(4), 371-380. 

  3. Choi, W. J., 2016, Influences of thermal diffusion on roadside green upon road condi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 Konkuk University, Korea 

  4. Eliasson, I., 1996, Urban nocturnal temperatures, street geometry and land use, Atmospheric Environment, 30(3), 379-392. 

  5. Her, J. H., 2013, Reduction of the urban temperature using the pavement material lowering the heat island effec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6. Hong, C. W., 2013, Properties of temperature reduction of cooling asphalt pavements using high -reflectivity pai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1), 317-327. 

  7. Jo, S. N., Kim, S. H., Kim, S. J., Jung, S. H., Lee, Y. H., Na, W. W., Jang, J. Y., Song, K. J., 2012, Characteristics of summer heatwave victims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in Korea during 2011 -Results from the surveillance system of heatrelated illness based on emergency department-, The Korea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3(5), 687-695. 

  8. Jung, C. K., 2009, A Study on three-dimensional greenery Network model for the expansion of ecological streetscape,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9. Jung, H. E., Han, B. H., Kwak, J. I., 2015,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4), 37-49. 

  10. Kim, S. R., Jung, E. H., Kim, H. D., 2013, Evaluation on the effect of air quality improvement due to the employment of clean-road system in Daegu,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12), 2029-2034. 

  11. Kim, J. H., Choi, W. J., Yoon, Y. H., 2016, A Study on verifying the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control of street canyons based on application of green wall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1), 41-56 

  12. Kye, M. J., 2013, Comparison of mortality from heatwav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heatwave warning system, department of public health, Biostatistics,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Lee, S. O., 2010, A Study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s of pavement of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eimyung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Korea 

  14. Lee, Y. W., Yang, I. C., Kim, D. G., Lim, J. H.,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ir temperature on roadside : Focusing on road condition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4), 1619-1629. 

  15. Park, S. G., Kim, S. D., Lee, H. K., 2005, Development of empirical model for the air pollutant dispersion in urban street canyons using wind tunnel test,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27(8), 852-858. 

  16. Park, S. H.,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outdoor health indicator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school facilitie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17. Park, S. J., Jung, S. Y., Yoon, S. H., 2009, Evaluation of the outdoor radiant thermal environment by building scale and block type of office building in summer, Korea Solar Energy Society, 29(6), 81-87. 

  18. Yang, C. H., Park, M. S., Yoon, D. G., 2011, A Road surface temperature prediction modeling for road weather information system,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28(2): 123-131. 

  19. Yoon, Y. H., 2002, lnfluencing degree to the air temperature of stratification in the urban green spaceq, Korea Turfgrass Science, 16(2): 107-114. 

  20. Yoon, Y. H., Kim, J. H., 2017, Effect of thermal diffusion on autumn traffic in street spac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6(4), 467-481. 

  21. Yoon, Y. H., Park, S. H., Kim, W. T., Kim, J. H., 2014, Analyses on comparison of UTCI, PMV, WBGT between playground and green space in school, Korean J. Environ. Ecol, 28(1), 80-89. 

  22. Yoon, Y. H., 2001, Effect between radiation difference and air temperature condition surround green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7), 72-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