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The Study of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2, 2017년, pp.517 - 529  

이창금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연숙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보호동기이론(Rogers, 1975)과 예방채택과정 모형(Weinstein, 1988)을 개념적 기틀로 사용하였다. 예비문항은 개별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문항 이해도 평가를 거친 후 CVI가 .8이상인 행위문항 55개, 인식문항 24개를 선정하고, 60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통해 행위문항 33개와 인식문항 24개로 본조사를 위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설문지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에게 배포되었고, 최종 373부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 결과로는 구성타당도를 위한 문항간의 상관관계와 요인간 상관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약물복용관리, 위해행동줄이기, 스트레스대처, 몸을 잘 보살피기, 영양관리의 다섯 요인으로 구분된 설명변량이 54.498%였다. 집단 간 비교를 보면 건강행위의 의도를 가진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행위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8-.810, 반분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2~.789로 적합하였다. 본조사 때 수집된 설문지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여 결과적으로 최종도구의 문항은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This research is based on Roger's(1975)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nd Weinstein(1988)'s 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 as theoretical frameworks. The contents of the scale were first ab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며, 연구의 절차는 DeVellis(2017)가 제시한 도구개발 방법론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12].
  • 본 연구는 보호동기이론과 예방채택과정 모형을 통합 적용해서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예비문항을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대학생의 건강행위에 관한 질적연구를 수행했다. 연구방법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했다[13].
  • 따라서 한국의 문화를 반영하여 대학생의 전반적인 생활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사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대학생이 정신적인 방황을 겪게 되는 이유는? 이 시기는 육체적으로는 가장 건강하지만 심리적으로는 부모에 대한 의존이 사라지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가장 불안한 시기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은 극심한 입시 경쟁에 시달리다 대학에 들어와 갑자기 개방적인 환경에 처하게 되어 정신적인 방황을 겪게 된다. 이런특성으로 인해 대학생은 많은 건강위해 행위들을 경험하게 되고[1], 그 결과 독립적인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으며, 학업적응, 대인관계, 과외활동, 취업문제 등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게 된다[2].
집단주의 문화와 유교문화권으로 인해 나타나는 한국 대학생의 건강 문제는? 한국의 대학생은 집단주의 문화와 사회적 성취를 중시하는 유교문화권의 영향을 받고있다. 이런 문화는 한국의 대학생이 대인 관계에 의해 쉽게 음주나 흡연을 하게 되는 것으로 잘 나타난다[3]. 또한높은 성취욕구로 인해 대학생은 학업 성취에 대한 심한 압박감과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4]. 보건복지부(2016)가 발간한 『2015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대학생이 속한 연령대인 19〜29세 인구군은 저체중이 10.
건강증진행위가 건강한 생활양식으로 이어질 때 나타는 긍정적 결과는? 장기간의 건강행위는 건강습관으로 확립될 수 있으며 또 고정된 건강습관의 변화에는 저항이 따르므로 이 시기에 올바른 건강지식에 바탕을 둔 건강행위를 수립하도록 돕는 것은 이후 성인기에 예상되는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건강증진행위가 건강한 생활양식 안으로 통합될 때 각발달 단계별로 건강증진, 기능적 능력의 강화, 더 나은 삶의 질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8].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생활 습관화를 위한 효과적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정확히 사정 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 Y., Barnes, M. D. Courtney, J. Pratt, & A. M. Walsh, A. M., "School-based youth health nurses: Roles, responsibilities, challenges, and rewards." Public Health Nursing, Vol. 21, No. 4, pp. 316-322, 2004. 

  2. H. Y. Jang.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s stress and their maladjustment."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09. 

  3. K. H. Kim. "Cultural influence on crea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culture (Confucianism) and creativity among Korean educators." Second Quarter, Vol. 43, pp. 73-93, 2009. 

  4. Y. S. Park, & U. C. Ki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Korean society: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2, No.1, pp. 161-195, 2006. 

  5. Ministry of Health and Wealfare. "Data of the health survey." http://seoulmentalhealth.kr/dataroom/data.jsp?cmdview&test_num108, May 20, 2017.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llege health and safety." http://www.cdc.gov/family/college/, February 20, 2017. 

  7. H. K.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2, No 2, pp. 132-141, 2006. 

  8. N. Pender, C., Murdaugt, & M. Parsons.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arson Education Inc. 2006. 

  9. D. S. Gochman. "Health behavior research: Definitions and diversity." In D. S. Gochman (ed.),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vol. I. New York: Plenum Press. 1997. 

  10. R. W. Rogers.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rocess in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A revise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In J. Cacioppo & R. Petty (Eds.), Social Psychology, New York: Guilford, 1983. 

  11. N. D. Weinstein. "The precaution adoption process." Health Psychology, Vol. 7, No. 4, pp. 355-386, 1988. 

  12.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4th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2017. 

  13. P.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S. Valle & King(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 48-7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4. D. Bertram. "Likert scales: CPSC 681-topic report." Poincare, pp. 1-11, http://poincare.matf.bg.ac.rs/-kristina/topic-dane-likert.pdf, April 2, 2017. 

  15.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Vol. 35, No. 6, pp. 382-385, 1986. 

  16. E. O. Lee & Others.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Seoul: Gunja Publishing Company, 2007. 

  17. H. S. Yoo & K. H. Sim. "Survey on the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ol. 24, No. 3, pp. 407-420, 2014. 

  18. H. J. Shin & S. S. Park.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f drug abuse."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Vol. 55, pp. 183-206, 2015. 

  19. Jo Ho-Yoon.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Ph.D.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2014. 

  20. K. W. Kim & H. I. Jung. "Effectiveness evaluation of healthy drinking in the university student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0, pp. 5029-5036, 2013. 

  21. D. S. Kim, S. W. Kang, & J. W. Park. "Survey on smoking for college students in some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4, pp. 1841-1848, 2013. 

  22. M. J. Lee, & K. S. Ko.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features of smartphone use by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 11, No. 9, pp. 301-310, 2013. 

  23. K. N. Kim & S. E. Lee. "Perception and behavior of diet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area."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5 No. 1, pp.49-62, 2011. 

  24. Y. Ahn & K. W. Kim.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7, No. 1, pp. 1-13, 2011. 

  25. H. B.l Jang, H. Y. Lee, Y. H. Han, J. H. Song, K. N. Kim, & T. Hyun.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 16, No. 3, pp. 324-336, 2011. 

  26. J. E. Choi & Y. G.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dietary habits and menu choice behavior."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 15 No. 6, pp. 249-275, 2012. 

  27. C. E. Lee. "A study on related factors and coping methods among university &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 No.4 pp.13-22, 2013. 

  28. N. E. Kim.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3, No. 4, pp. 1-19, 2011. 

  29. K. Cho & H. Bae.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5, pp. 165-186, 2016. 

  30. M. K. Jeon & K. O. Oh. "Prediction structure model of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2, pp. 251-262, 2017. 

  31. W. Y. Chung, Su. J. Park, & S. G. Park.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intention, self-efficacy, health consciousness, exercis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66. pp. 569-577, 2016. 

  32. Y. H. Kim, M. S. Yang, & H. R. Park.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 291-301, 2015. 

  33. S. D. Kim & M. G. Kim. "The relation of life style and quality of sleep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2795-2801, 2013. 

  34. Y. B. Kim, C. M. Park, H. H. Kim, & C. H. Han. "Health behavior and utilization of university health clinic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1 No. 1, pp. 79-91, 2010. 

  35. H. C. Cho, Y. D. Cho, & Y. H. Seo.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wellness awarenes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8, No. 4, pp. 73-82, 2013. 

  36. N. S. Kim.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optimism and coping skill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19, No. 5, pp. 37-46, 2007. 

  37. J. H. Lee & J. H. Lee. "Convergence study on health risk behavior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oul vs. non-seoul a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345-35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