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간법에 따른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와 지상 강수자료의 합성기법 평가
Assessment of merging weather radar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 precipitation data according to various interpolation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2, 2017년, pp.849 - 862  

김태정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및 급격한 기상변화로 인해 돌발홍수와 같은 기상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의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사용한 수공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기상레이더 강수자료가 제공하는 공간분포를 최대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지상 강수자료의 양적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부 합성기법을 보간법에 따라 분석 하였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와 지상 강수자료를 조건부 합성하기 위하여 Kriging, 역거리 가중법Spline 보간법을 적용하였다. 조건부 합성결과는 지상 강수패턴을 현실성 있게 재현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보간법에 적용되지 않은 강수자료와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조건부 합성을 통하여 생산된 공간적 강수정보의 수문학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d frequenc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s been observed due to increased extreme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and flash floods. Numerous studies using high-resolution weather radar rainfall data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hydrological effects. In this study, a conditional merg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불확실성이 포함된 자료들이 강수분석에 활용될 경우 주변 격자점을 과대 혹은 과소추정하여 분석자료의 질을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간법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상레이더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 km에 이상 이격된 범위의 기상레이더 반사도는 강수량 추정에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유효반경(maximum unambiguous range)을 50 km로 설정하였으며 유효반경에 포함되는 지상관측소 자료를 추출하여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보간법을 적용한 조건부 합성결과를 하나의 강수사상에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시하였다. 연구내용을 확장하여 보간법에 따른 격자의 보간계수(interpolation factor)를 미리 산정한다면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전유역 강수 공간분포의 산정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게 조건부 합성결과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수장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건부 합성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사용되는 공간 보간법에 따른 기상레이더 강수장의 특징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적합성은 면봉산 기상레이더 및 주변 지상 강수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차검증을 통하여 보간법에 따른 조건부 합성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레이더 반사도-강수강도(이하 Z-R 관계식)를 활용하여 산정되는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과소 추정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공간분포를 실제 수문해석에 적용하기 위하여 조건부 합성기법을 적용하여 강수의 공간적 해상도를 극대화 시키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상관측소 사이에 강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 2010).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강수의 공간분포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지상관측소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지만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측면에서 어려움이 따른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및 급격한 기상변화로 인해 돌발홍수와 같은 기상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의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사용한 수공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기상레이더 강수자료가 제공하는 공간분포를 최대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지상 강수자료의 양적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부 합성기법을 보간법에 따라 분석 하였다.
돌발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기후변동성으로 인하여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율 증가로 도달시간이 짧은 돌발홍수(flash flood)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막대한 재난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강수로 기인하여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강수관측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ghaKouchak, A., Bardossy, A., and Habib, E. (2010). "Copula-based uncertainty modelling: application to multisensor precipitation estimate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4, No. 15, pp. 2111-2124. 

  2. Battan, L. J. (1973). Radar observation of the atmosphere. 

  3. Bedient, P. B., Hoblit, B. C., Gladwell, D. C., and Vieux, B. E. (2000). "NEXRAD radar for flood prediction in Housto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5, No. 3, pp. 269-277. 

  4. Bristow, C. S., and Jol, H. M. (2003). "An introduction to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in sediments."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Vol. 211, No. 1, pp. 1-7. 

  5. Brown, D. P., and Comrie, A. C. (2002). "Spatial modeling of winte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Arizona and New Mexico, USA." Climate Research, Vol. 22, No. 2, pp. 115-128. 

  6. Cho, H. L., and Jeong, J. C. (2006).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using GIS."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4, No. 2, pp. 223-234. 

  7. Cho, H. R, Hwang, S. H., Cho, Y. S., and Choi, M. H. (2013). "Analysis of spatial precipitation field using downscaling o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1, pp. 1129-1140 (in Korean). 

  8. Cho, N. H., Park, J. C., and Kim, M. K. (2010). "The application of distributed synthetic environment data to a military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19, No. 4, pp. 235-247 (in Korean). 

  9. Cho, W. K., Lee, J. H., Park, J. Y., and Kim, D. K. (2017). "Radar polygon method: an areal rainfall estimation based on radar rainfall imagerie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31, No. 1 pp. 1-15. 

  10. Collischonn, B., Collischonn, W., and Tucci, C. E. M. (2008). "Daily hydrological modeling in the Amazon basin using TRMM rainfall estimates." Journal of Hydrology, Vol. 360, No. 1, pp. 207-216. 

  11. Ehet, U. (2002). Rainfall and flood nowcasting in small catchments using weather radar. Ph. D. thesis, University of Stuttgart. 

  12. Feliciano-Cruz, L. I., and Ortiz-Rivera, E. I. (2012). Biharmonic spline interpolation for solar radiation mapping using Puerto Rico as a case of study. In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2012 38th IEEE, pp. 2913-2915. 

  13. Goovaerts, P. (2010). "Combining areal and point data in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applications to soil science and medical geography." Mathematical Geosciences, Vol. 42, No. 5, pp. 535-554. 

  14. Gudmund, H. (1998). "Kriging by local polynomial."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Vol. 29, pp. 539-551. 

  15. Haberlandt, U. (2007).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of hourly precipitation from rain gauges and radar for a large-scale extreme rainfall event." Journal of Hydrology, Vol. 332, No. 1, pp. 144-157. 

  16.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 Ji, Y. S., Oh, S. H., Suh, B. S., and Lee, D. K. (2011). "Restoration, prediction and noise analysis of geomagnetic time-series data." The Korean Earth Sciences Society, Vol. 32, No. 6, pp. 613-628 (in Korean). 

  18. Kim, B. S., Hong, J. B., Kim, H. S., and Choi, K. H. (2007). "Combining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estimates for flood forecasting using conditional merg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3B, pp. 255-265 (in Korean). 

  19. Kim, D. K., Lee, J. H., Kim, H. L., and Choi, M. H. (2016). "Spatial composition of AMSR2 soil moisture products by conditional merging technique with ground soil moisture dat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30, No. 8, pp. 2109-2126. 

  20. Kim, K. J., Choi, J. H., and Yoo, C. S. (2008). "Synthesis of radar measurements and ground measurements using the successive correc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7, pp. 681-692 (in Korean). 

  21. Kim, S. N., Lee, W. K., Shin, K. I., Kafatos, M., Seo, D. J., and Kwak, H. B. (2010).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predicting climate factors in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 6, No. 2, pp. 97-109 (in Korean). 

  22. Kim, T. J., Lee, D. R., and Kwon, H. H. (2015). "Development of radar tracking technique for the short term rainfall field forecast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2, pp. 995-1009 (in Korean). 

  23. Kim, T. J., Lee, D. R., Jang, S. M., and Kwon, H. H. (2017). "Generation of radar rainfall data for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application (I): bias correction and estimation of error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 pp. 1-15 (in Korean). 

  24. Lange, J., Leibundgut, C., Greenbaum, N., and Schick, A. P. (1999). "A noncalibrated rainfall-runoff model for large, arid catchmen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7, pp. 2161-2172. 

  25. Lee, J. H., Choi, M. H., and Kim, D. K. (2016). "Spatial merging of satellite based soil moisture and in-situ soil moisture using conditional merging techniqu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3, pp. 263-273 (in Korean). 

  26. Ly, S., Charles, C., and Degre, A. (2011).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of daily rainfall at catchment scale: the use of several variogram models in the Ourthe and Ambleve catchments, Belgium."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5, No. 7, pp. 2259-2274. 

  27. Marshall, J. S., and Palmer, W. M. K. (1948). "The distribution of raindrops with size." Journal of Meteorology, Vol. 5, No. 4, pp. 165-166. 

  28. Mohr, C. G., and Vaughan, R. L. (1979). "An economical procedure for Cartesian interpolation and display of reflectivity factor data in three-dimensional spac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18, No. 5, pp. 661-670. 

  29. Park, J. C., and Kim, M. K. (2013).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 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6, No. 3, pp. 147-163 (in Korean). 

  30. Patel, P., and Srivastava, H. S. (2013). "Ground truth planning for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addressing various challenges using statist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ment in Remote Sensing, GIS and Geography, Vol. 1, No. 2, pp. 1-17. 

  31. Sandwell, D. T. (1987). "Biharmonic spline interpolation of GEOS-3 and SEASAT altimeter dat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14, No. 2, pp. 139-142. 

  32. Seo, B. C., Krajewski, W. F., Kruger, A., Domaszczynski, P., Smith, J. A., and Steiner, M. (2011). "Radar-rainfall estimation algorithms of Hydro-NEXRAD." Journal of Hydroinformatics, Vol. 13, No. 2, pp. 277-291. 

  33. Seo, D. J. (1998). "Real-time estimation of rainfall fields using radar rainfall and rain gage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208, pp. 37-52. 

  34. Seo, D. J., Krajewski, W. F., and Bowles, D. S. (1990). "Stochastic interpolation of rainfall data from rain gages and radar using cokriging: 1. Design of experimen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6, No. 3, pp. 469-477. 

  35. Seto, S., and Iguchi, T. (2007). "Rainfall-induced changes in actual surface backscattering cross sections and effects on rain-rate estimates by spaceborne precipitation radar."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Vol. 24, No. 10, pp. 1693-1709. 

  36. Shepard, D. (1968).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Proceedings of the 1968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New York, NY, USA. pp.517-524. 

  37. Sinclair, S., and Pegram, G. (2005). "Combining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estimates using conditional merging." Atmospheric Science Letters, Vol. 6, No. 1, pp. 19-22. 

  38. Tait, A., Henderson, R., Turner, R., and Zheng, X. (2006). "Thin plate smoothing spline interpolation of daily rainfall for New Zealand using a climatological rainfall surfac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6, No. 14, pp. 2097-2115. 

  39. Woo, K. S., Jo, J. H., and Park, M. Y. (2006). "Application of ordinary kriging interpolation method for $\rho$ -adaptive finite element analysis of 2-D cracked plates."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9, No. 4, pp. 429-440 (in Korean). 

  40. Yoo, C. S., and Yoon, J. S. (2012). "The error structure of the CAPPI and the correction of the range dependent error due to the earth curvatu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2, No. 3, pp. 309-319 (in Korean). 

  41. Yoon, S. S., and Bae, D. H. (2013). "Optimal rainfall estimation by considering elevation at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Vol. 52, No. 4, pp. 802-81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