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a}$-D-glucopyranoside, HPLC"/> ${\beta}$-D-glucopyranoside . HPLC" /> $\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갈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분석
Contents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Quercus mongolic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8 no.4, 2017년, pp.339 - 342  

황인혁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윤성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안혜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왕혜수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이민원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ercus mongolica (QM) is a species of Quercus native to Eastern Mongolia, Siberia, China, Japan, and Korea. QM has been used as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of the skin. Present work, the validation and content determin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which were i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PLC 분석조건 확립 - 지표성분인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의 최적분석법을 확립하였다.
  • HPLC 조건 -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의 정량은 HPLC를 이용하였다.
  • 625 µg/mL)가 되도록 용액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Linear regression equation(y=ax+b y: peak 면적, x: 시료 농도 a: 직선의 기울기, b: y절편)을 구하였으며상관계수(R2)의 값을 통해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R2의 값이 0.
  •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의 혼합 표준용액을각 범위에서, 시료 농도당 3일간 반복성 시험, 일내 3회 반복성 시험을 하였다.
  • Pedunculagin(1)은 ellagitannin으로, ellagitannin 화합물들은중심 당 구조에 free anomer hydroxyl기가 존재해 α-anomer와 β-anomer의 혼합물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pedunculagin(1)은 HPLC 분석 시 두 개의 피크가 관찰된다. Pedunculagin(1)과 같은 ellagitannin 성분의 화합물들은 함량평가 시 두 피크(P1, P2)의 area를 합산한 것으로 함량평가를 실시하였다.6,7)
  • 각 농도 범위는 pedunculagin(1) 500, 250, 125, 62.5 µg/mL,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 (2)는 250, 125, 62.5, 31.25, 15.625 µg/mL의 농도로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확보한QM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에 대하여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사용하여 밸리데이션 및 함량평가를 실시하였다.
  • HPLC 조건 -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의 정량은 HPLC를 이용하였다. 분석조건은 flow rate; 1 ml/min, 이동상으로 A line; 0.2% Acetic acid-H2O, B line;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Table I과 같은 조건으로 각 시료에 대한 함량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I).
  • 이전 연구를 통해 확보한 pedunculagin(1),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를 지표성분으로 이용한 밸리데이션 실험에 의해 분석법의 특이성, 직선성, 정량한계, 정밀성, 정확성을 검토하여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 정량한계(LOQ) - 분석물질의 정량 가능한 최저농도 확인을 위하여, 정량한계(LOQ)를 측정하였다.
  • 정확성(Accuracy) 및 정밀성(Precision) - 동일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일간 및 일내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정밀성 및정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625 µg/mL의 농도로진행하였다. 정확성은 표준값과 측정값 간의 일치되는 정도로 확인하였으며, 정밀성은 반복 분석하였을 때 분석물질에대한 측정값들 사이의 근접성으로 측정하였다.
  • 직선성(Linearity) - 직선성 평가를 위한 검량선을 얻기 위해 pedunculagin(1)을 MeOH로 희석하여 4 개의 농도(500, 250, 125, 62.5 µg/mL),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를 MeOH로 희석하여 5개의 농도(250, 125, 62.5, 31.25, 15.625 µg/mL)가 되도록 용액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 추출물 - 3일간 건조시킨 QM 잎(628 g)을 분쇄 후, 실온, 70% prethanol(10 L) 용매 조건으로 3일씩 3회 반복 추출하여 추출물(166 g)을 확보하였다.
  • 특이성(Specificity) - 지표성분이 신갈나무 추출물 내 다른 물질과 간섭 없이 분리가 되는 것에 의해 특이성을 확인한다.
  • 표준용액의 농도는 pedunculagin (1)이 500, 250, 125, 62.5 µg/mL,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는 250, 125, 62.5, 31.25, 15.625 µg/mL농도의 표준용액을 조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분석에 이용한 UV 파장은 220 nm로 설정하여 함량분석을하였고, injection volume은 10 µL로 하였다.
  • 이전 연구를 통해 QM 잎으로부터 분리된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을 확보하여, 이를 함량분석의 표준품으로 이용하였다(Fig. 1).5)
  • 재료 - 본 실험에 사용된 QM 잎의 원산지는 경기도 포천시 국립수목원(2017. 06)으로, 제공받은 QM 잎은 김성식연구관(국립수목원)의 검증을 받았다.

데이터처리

  • 기울기 S는 분석물질의 검량선으로부터 구하였으며, 회귀직선에서 y절편의 표준편차를 표준편차 σ로서 활용하였다.

이론/모형

  • 기기 및 시약 - 밸리데이션과 함량분석에 사용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기기는 Waters 600E Multi-solvent Delivery System(Waters, USA) 모델을이용하였으며, 컬럼은 Hector-M C18 column(5 µm, 250×4.6 mm)을 이용하였다.
  • 함량분석 - Pedunculagin(1)과 kaempferol-3-O-(6''-galloyl)-β-D-glucopyranoside(2)의 함량은 linear regression equation을이용해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갈나무의 특징은 ? Quercus 속 식물 중 국내 자생식물인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QM)는 몽골 동부, 시베리아 동부, 중국, 일본,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전통적으로 종자를 강장, 수렴약, 종독 및 주름살 제거의 목적으로 이용해왔으며, 소화 장애나 구강, 생식기, 항문 등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에 관한 약으로도 널리 이용되어왔다.1-3) QM의 수용성 추출물들은 항균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gallotannin과ellagitannin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tannin의 높은 함량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갈나무의 효능은 ? Quercus 속 식물 중 국내 자생식물인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QM)는 몽골 동부, 시베리아 동부, 중국, 일본,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전통적으로 종자를 강장, 수렴약, 종독 및 주름살 제거의 목적으로 이용해왔으며, 소화 장애나 구강, 생식기, 항문 등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 질환에 관한 약으로도 널리 이용되어왔다.1-3) QM의 수용성 추출물들은 항균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gallotannin과ellagitannin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tannin의 높은 함량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김태정(2008)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 95-101.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2. Kaur, G., Hamid, H., Ali, A., Alam, M. S. and Athar, M. (2004) Antiinflammatory evaluation of alcoholic extract of galls of Quercus infectoria. J. Ethnopharmacol. 90: 285-292. 

  3. Kong, Y., Park, B. and Oh, D.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33: 178-183. 

  4. Salminen, J., Roslin, T., Karonen, M., Sinkkonen, J., Pihlaja, K. and Pulkkinen, P. (2004) Seasonal variation in the content of hydrolyzable tannins, flavonoid glycosides, and proanthocyanidins in oak leaves. J. Chem. Ecol. 30: 1693-1711. 

  5. Kim, H. H., Kim, D. H., Oh, M. H., Park, K. J., Heo, J. H. and Lee, M. W. (2015)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type-I procollagen expression by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Quercus mongolica in ultravioletirradiated human fibroblast cells. Arch. Pharm. Res. 38: 11-17. 

  6. Barry, K., Davies, N. and Mohammed, C. (2001) Identification of hydrolysable tannins in the reaction zone of Eucalyptus nitens woo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Phytochem. Anal. 12: 120-127. 

  7. Fecka, I.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hydrolysable tannins and other polyphenols in herbal products from meadowsweet and dog rose. Phytochem. Anal. 20: 177-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