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0~2016년 동안 동물친화성 피부 사상균 감염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 Study of Zoophilic Dermatophytoses between 2010 and 2016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4, 2017년, pp.439 - 445  

김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2010~2016년에 병원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 결과 전체 분리균은 인체 친화성 감염환자는 33,575명으로 37.24%가 분리되었으며 동물친화성 감염환자는 334명으로 0.37%가 분리되었다. 토양친화성 감염환자는 30명으로 0.03%가 분리되었고 그 외에 배양이 되지 않거나 오염균이 56,217명(62.35%)으로 분리되었다.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을 대상으로 남녀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 본 결과 T. mentagrophytes는 남자(51.1%), 여자(48.9%)가 분리되었기에 성별에 연관성이 거의 없었으나 T. verrucosum은 남자(38.9%)에 비해 여자(61.1%)가 다소 높게 분리되었다. M. canis는 남자(23.7%)에 비해 여자(76.3%)가 분리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50대(26.4%), 60대(16.1%)에 높게 분리되었고 T. verrucosum은 50대(27.8%), 60대(16.7%), 그리고 10대 미만(16.7%)의 순서로 분포하였다. M. canis는 10대 미만(19.4%), 10대(22.0%), 그리고 20대(15.0%)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계절에 따른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봄(34.1%), 겨울(29.5%)에 높게 분리되었고 T. verrucosum은 봄(44.4%), 겨울(27.8%)에 높게 분리되었다. M. canis는 봄(18.9%), 여름(27.2%), 가을(25.9%), 그리고 겨울(28.1%)에 비슷하게 분리되었다. 이는 T. mentagrophytes와 T. verrucosum은 계절에 따라 연관성을 보이나 M. canis는 계절에 따른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위에 따른 분석 결과로 T. mentagrophytes는 얼굴(28.4%), 팔(25.0%)에서 높게 분리되었으며 T. verrucosum도 얼굴(38.9%), 팔(27.8%)에서 높게 분리되었다. 그러나 M. canis는 다소 다양하게 머리(24.5%), 팔(21.5%), 얼굴(15.8%), 등(12.7%) 등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임상 질환별 분석 결과 T. mentagrophytes는 몸백선증(48.9%)이 많이 분리되었고 다음으로 얼굴백선증(28.4%), 수부백선증(11.4%)으로 분리되었다. T. verrucosum는 몸백선증(55.6%)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얼굴백선증(38.9%)이 분리되었다. M. canis는 몸백선증(54.4%)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두부백선증(24.5%), 얼굴백선증(15.8%)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동물친화성 감염의 분포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동물친화성 감염의 분포 추이를 조사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change in life patterns gave ris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milies with companion animals, and as a result, frequent dermatophytes infections have been reported. Microsporum cani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and Trichophyton verrucosum, are among these species of zoophil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2010∼2016년 발표자료의 부족으로 본 연구자는 대구소재의 가톨릭 피부과의원에서 분리된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 감염 자료를 통해 균종에 따른 연도별, 성별, 계절,연령, 부위별 및 임상 질환별 분리분포를 분석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진은 2010년에서 2016년도에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 감염의 역학적 조사 및 과거 분리율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Roh 등[16]의 연구에 의하면 1993∼1994년, 2년간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의 역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사상균 감염에 의한 곰팡이성 질환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사람과 동물의 피부질환으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 중 하나가 피부사상균 감염에 따른 곰팡이성 질환이 있으며 이는 크게 인체 친화성, 동물친화성, 토양친화성으로 나뉠 수 있다[1-3]. 사회구조의 변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애완동물의 개념을 넘어 반려동물의 시대가 초래하였다.
피부사상균 분리동정방법을 곰팡이 균주에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기존의 피부사상균 분리동정방법은 직접도말검사와 배양검사를 수행하여 형태학적, 생물학적 성상을 통해 동정하였고 형태학적 검사가 어려울 경우 urease 검사 및 모발천공검사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그러나 곰팡이 균주는 계대배양 시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기에 향후에는 PCR기법을 통해 좀 더 정확한 균종간의 동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동물유래 피부사상균을 대상으로 PCR기법을 이용하여 균종을 DNA 성상의 차이로 감별하고자 하였으며 일부 균종간의 DNA band 확인을 수행하였으나 일부 균종만 동정이 가능하였기에 향후 더 정확한 염기서열의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다면 동물친화성 피부사상균도 PCR기법으로 동정이 가능할 것이다[6,20,21].
반려동물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 이유는? 전세계적으로 고도의 산업화와 고령화, 그리고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동물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되고 있으며 반려동물이 가족의 일원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4]. 이런 사회적인 분위기를 통해 새로운 동물관련의 고용창출이 이어지고 있는 반면 또 다른 문제점인 인수공통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들로 인해 감염이 증가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g YJ, Kim SY. Epidemiologic study on zoophilic dermatophytes. Korean J Clin Lab Sci. 2005;37(2):118-122. 

  2. Bang YJ, Kim SY, Park JS. An epidemiologic study on zoophilic dermatophytes in Daegu area from 2005 to 2009. Daegu Health College Collection of Learned Papers. 2011;31(1): 687-698. 

  3. Lee YW, Lim SH, Yim SM, Choe YB, Ahn KJ. A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y of dermatophytosis associated with animal contact. Korean J Med Mycol. 2005;10(4):151-159. 

  4. Jang YN. The Companion Animal Industry had grown more due to single person, elderly and internet users. The Livestock Farming. 2017;40(2):72-74. 

  5. Havlickova B, Czaika VA, Friedrich M. Epidemiological trends in skin mycoses worldwide. Mycoses. 2008;51(4):2-15. 

  6. Kim WJ, Kim JG, Choi JH, Shin DH, Choi JS, Kim KH, et al. Classification and typing of Trichophyton mentaprophytes isolated from a Korean population. Korean J Med Mycol. 2017; 22(1):1-13. 

  7. Nenoff P, Handrick W, Kruger C, Vissiennon T, Wichmann K, Graser Y, et al. Dermatomycoses due to pets and farm animals. Hautarzt. 2012;63(11):848-858. 

  8. Chermett R, Ferreiro L, Guillot J. Dermatophytoses in animals. Mycopathologia. 2008;166:385-405. 

  9. Seebacher C, Bouchara JP, Mignon B. Updates on the epidemiology of dermatophyte infections. Mycopathologia. 2008: 166(5-6):335-352. 

  10. Bang YJ, Lee GS, Kim SY. Isolation of Microsporum canis from Tinea capitis of during treatment with Itraconazole. Korean J Clin Lab Sci. 2001;33(2):91-94. 

  11. Bang YJ, Kim SY. Isolation of dermatophytes from domestic animals and bed room dust of Tinea patients. Korean J Clin Lab Sci. 2006;38(2):94-98. 

  12. Choi WP, Yun SW, Song TC, Lee CS, Kim YU, Park CC. Studied on the canine ringworm by Microsporum canis and carrier state of dermatophytes in canine and feline. Korean J Vet Res. 1993;33(2):235-239. 

  13. Czaika VA, Lam PA. Trichophyton mentagrophytes cause underestimated contagious zoophilic fungal infection. Mycoses. 2013;56(1):33-37. 

  14. Lim SH, Houh D, Park HJ, Baek SC, Byun DG.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ies of dermatophytosis in human transmitted from infected rabbits. Korean J Med Mycol. 2000;5(4):160-162. 

  15. Choe YS, Park BC, Lee WJ, Jun JB, Suh SB, Bang YJ. The clinical observation of Trichophyton verrucosum infections during the last 19 years (1986-2004). Korean J Med Mycol. 2006;11(2): 45-53. 

  16. Roh PU, Ryu JK, Bang YJ. Epidemiologic study on zoophilic dermatophytes in Kyongsang province area. J Prev Vet Med. 1996; 20(2):141-146. 

  17. Jang SH, Yun SJ, Lee JB, Kim SJ, Lee SC, Won YH. Clinical study of dermatophytosis caused by Microsporum canis. Korean J Med Mycol. 2014;19(2):39-44. 

  18. Gallo MG, Lanfranchi P, Poglayen G, Calderola S, Menzano A, Ferroglio E, et al. Seasonal 4-year investigation into the role of the alpine marmot(Marmota marmota) as a carrier of zoophilic dermatophytes. Med Mycol. 2005;43(4):373-379. 

  19. Sadeghi Tafti H, Falahati M, Kordbacheh P, Mahmoudi M, Safara M, Rashidian S, et al. A survey of the etiological agents of scalp and nail dermatophytosis in Yazd, Iran in 2014-1015. Curr Med Mycol. 2015;1(4):1-6. 

  20. Kim D, Jeoung SY, Ahn SJ. Molecular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dermatohphytes isolated from dogs and cats. J Vet Clin. 2006;23(4):405-410. 

  21. Kim YW, Yeo SG, Choi WP. Detection of DNA from dermatophyt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Korean J Vet Res. 2002;42(3):363-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