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토레지스트 공정에서 높은 선택성을 가지는 초임계 이산화탄소/n-butyl acetate 공용매 시스템 연구
Study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n-Butyl Acetate Co-solvent System with High Selectivity in Photoresist Removal Process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3 no.4, 2017년, pp.357 - 363  

김동우 (부경대학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  허훈 (부경대학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  임권택 (부경대학교 융합디스플레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n-butyl acetate ($scCO_2$/n-BA) 공용매를 사용하여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PR)를 제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scCO_2$와 n-BA의 용해도 평가를 통해 n-BA가 $scCO_2$와 균일하게 섞이는 조건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다양한 실험 변수를 조정하여 포토레지스트 제거 실험을 진행하였고, 미노광 포토레지스트 제거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노광된 PR과 미노광 PR의 제거율을 비교하여 $scCO_2$/n-BA 공용매의 선택적 제거 성능을 확인하였다. 노광된 PR은 $scCO_2$/n-BA 공용매 환경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존재함을 관찰하였고, 미노광 PR은 160 bar, $40^{\circ}C$, 75 wt% n-BA 이상의 농도에서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scCO_2$/n-BA 공용매 시스템은 노광 PR과 미노광 PR 사이의 높은 선택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네거티브 PR의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n-butyl acetate (n-BA) co-solvent system was employed to remove an unexposed negative photoresist (PR) from the surface of a silicon wafer. In addition, the selectivity of the $scCO_2$/n-BA co-solvent system was con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공용매인 n-butyl acetate(n-BA)를 이용하여 미노광된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용매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기 위해 n-BA의 용해도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초임계 이산화탄소/n-BA 공용매의 조성, 온도, 압력 등의 변수를 조절하여 PR 제거 실험을 진행하여 최적의 미노광 PR 제거 조건을 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8 bar)에서 초임계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1]. 초임계 이산화탄소(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는 낮은 유전 상수와 높은 압축성으로 인하여 압력 변화에 따라 용해도 계수를 변화시키기 용이하므로 감압에 의하여 용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최근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함께 청정 용매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유망한 대체 용매로써 많은 흥미를 끌고 있다.
그 동안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연구용도는 어떻게 활용되었는가? 그 동안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추출 분야[2] 뿐만 아니라, 비 용매 코팅[3], 생체 분자의 반응 및 분리, 화학 반응 및 중합 반응[4-6], 고 표면적 재료 및 극립자의 제조[7-10] 섬유, 금속, 반도체 세정[11] 및 폐수 처리와 같은 오염물 분리 등에도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12]. 특히,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높은 밀도, 점도, 높은 침투력, 낮은 표면장력 등의 장점으로 미세전자 소자의 건조, 현상, 침적, 제거 등의 리소그래피 공정에 높은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13-15].
습식 포토레지스트(PR) 스트리핑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습식 포토레지스트(PR) 스트리핑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반도체 산업에서 가혹한 공정 조건, 오염물,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18-22]. 또한, 이러한 스트리핑 용액은 환경적으로 위험한 독성 용제와 용매가 함유되어 있다. 기본적인 저 유전율(low-k) 절연 재료에 손상을 주지 않고 PR을 제거하는 방법은 PR 스트리핑 공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O'Shea, K. E., Kirmse, K. M., Fox, M. A., and Johnston, K. P., "Polar and Hydrogen-Bonding Interactions in Supercritical Fluids. Effects on the Tautomeric Equilibrium of 4-(phenylazo)-1-naphthol," J. Phys. Chem., 95, 7863-7867 (1991). 

  2. Campbell, M. L., Apodaca, D. L., Yates, M. Z., McCleskey, T. M., and Birnbaum, E. R., "Metal Extractionfrom Heterogeneous Surfaces Using Carbon Dioxide Microemulsions," Langmuir, 17, 5458-5463 (2001). 

  3. Carbonell, R. G., DeSimone, J. M., and Novick, B. J., "Method for Meniscus Coating with Liquid Carbon Dioxide," U. S. Patent 6,083,565 (2000). 

  4. Cooper, A. I., Wood, C. D., and Holmess, A. B., "Synthesis of Well-Defined Macroporous Polymer Monoliths by Sol-Gel Polymerization in Supercritical $CO_2$ ," Ind. Eng. Chem. Res., 39, 4741-4744 (2000). 

  5. Hwang, H. S., Yuvaraj, H., Kim, W. K., Lee, W. K., Gal, Y. S., and Lim, K. T.,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MMA in Supercritical $CO_2$ Stabilized by Random Copolymers of 1H, 1H-Perfluorooctyl Methacrylate and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J. Polym. Sci. : Part A: Polym. Chem., 46, 1365-1375 (2007). 

  6. Ganapathy, H. S., Park, S. Y., Lee, W. K., Park, J. M., and Lim, K. T., "Polymeric Nanoparticles from Macroscopic Crystalline Monomers by Facile Solid-State Polymerization in Supercritical $CO_2$ ," J. Supercrit. Fluids, 51, 264-269 (2009). 

  7. Shah, P. S., Holmes, J. D., Doty, R. C., Johnston, K. P., and Korgel, B. A., "Steric Stabilization of Nanocrystals in Supercritical $CO_2$ Using Fluorinated Ligands," J. Am. Chem. Soc., 122, 4245-4246 (2000). 

  8. Shah, P. S., Husain, S., Johnston, K. P., and Korgel, B. A., "Nanocrystal Arrested Precipitation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Phys. Chem. B, 105, 9433-9440 (2001). 

  9. Motiei, M., Hacohen, Y. R., Moreno, J. C., and Gedanken, A., "Preparing Carbon Nanotubes and Nested Fullerenes from Supercritical $CO_2$ by a Chemical Reaction," J. Am. Chem. Soc., 123, 8624-8625 (2001). 

  10. Sun, Y. P., Atorngitjawat, P., and Meziani, M. J., "Prepa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via Rapid Expansion of Water in Carbon Dioxide Microemulsion into Reductant Solution," Langmuir, 17, 5707-5710 (2001). 

  11. DeSimone, J. M., Romack, T. J., Betts, D. E., and Mcclain, J. B., "Cleaning Process Using Carbon Dioxide as a Solvent and Employing Molecularly Engineered Surfactants," U. S. Patent 5,866,005 (1999). 

  12. Khanpour, R., Kouhsar, M. R. S., and Esmaeilzadeh, F.,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Polluted Drilling Mu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J. Supercrit. Fluids, 88, 1-7 (2014). 

  13. Jones, C. A., Zweber, A., Deyoung, J. P., McClain, J. B., Carbonell, R., and DeSimone, J. M., "Applications of "Dry" Processing in the Microelectronics Industry Using Carbon Dioxide," Crit. Rev. Solid. State, 29, 97-109 (2004). 

  14. Weibel, G. L., and Ober, C. K., "An Overview of Supercritical $CO_2$ Applications in Microelectronics Processing," Microelectronic Eng., 65, 145-152 (2003). 

  15. Kim, D. H., Lim, E. S., and Lim, K. T., "Efficient Stripping of High-Dose Ion-Implanted Photoresist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lean Technol., 17, 300-305 (2011). 

  16. Lee, M. Y., Do, K. M., Ganapathy, H. S., Lo, Y. S., Kim, J. J., Choi, S. J., and Lim, K. T., "Surfactant-Aid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rying for Photoresists to Prevent Pattern Collapse," J. Supercrit. Fluids, 42, 150-156 (2007). 

  17. Hwang, H. S., Bae, J. H., Jung, J. M., and Lim, K. T., "The Sacrificial Oxide Etching of Poly-Si Cantilevers Having High Aspect Ratios using Supercritical $CO_2$ ," Microelectronic Eng., 87, 1696-1700 (2010). 

  18. Heyns, M., Mertens, P., Ruzyllo, J., and Leeman, M., "Advanced Wet and Dry Cleaning Coming Together for Next Generation," Solid State Technol., 42, 37 (1999). 

  19. Abe, H., Iwamoto, H., Toshima, T., Iino, T., and Gale, G. W., "Novel Photoresist Stripping Technology using Ozone/Vaporized Water Mixture," IEEE Trans. Semicond. Manuf., 16, 401-408 (2003). 

  20. Clark, P. G., and Christenson, K. K., "Non-Damaging Chemical Photoresist Strip Process for Copper/Low-k Interconnects," Adv. Semicond. Manuf. Conf., (2005). 

  21. Metselaar, J. W., Kuznetsov, V. I., and Zhidkov, A. G., "Photoresist Stripping in Afterglow of Ar- $O_2$ Microwave Plasma," J. Appl. Phys., 75, 4910 (1994). 

  22. Choi, K., Ghosh, S., Lim, J., and Lee, C. M.,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Contaminants on Si Wafer by Dry Cleaning using UV/ $O_3$ and ECR Plasma," Appl. Surf. Sci., 206, 355-364 (2003). 

  23. Maex, K., Baklanov, M. R., Shamiryan, D., Iacopi, F., Brongersma, S. H., and Yanovitskaya, Z. S., "Low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for Microelectronics," J. Appl. Phys., 93, 8793-8841 (2003). 

  24. Felix, N. M., Tsuchiya, K., and Ober, C. K., "High-Resolution Patterning of Molecular Glasses Using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dv. Mater., 18, 442-446 (2006). 

  25. Pham, V. Q., Ferris, R. J., Hamad, A., and Ober, C. K,. "Positive-Tone Photoresist Process fo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evelopment," Chem. Mater., 15, 4893-4895 (2003). 

  26. Hwang, H. S., Zakhidov, A. A., Lee, J. K., Andre, X., DeFranco, J. A., Fong. H. H., Holmes, A. B., Malliaras, G. G., and Ober, C. K., "Dry Photolithographic Patterning Proces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s a Solvent," J. Mater. Chem., 18, 3087-3090 (2008) 

  27. Christopher, F. K., and McHugh, M. A., "Phase Behavior of Polymers in Supercritical Fluid Solvents," Chem. Rev., 99, 565-602 (1999). 

  28. Ghaziaskar, H. S., and Nikravesh, M., "Solubility of Hexanoic Acid and Butyl Acetat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uid Phase Equilibria, 206, 215-22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