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4, 2017년, pp.27 - 34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English and Korean voiceless plosives from the Buckeye[15] and Seoul[16] corpus in terms of their static spectral characteristics. The plosives were automatically extracted by a Praat script. In order to estimate the percent correctness in the classificati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이 된 무성 파열음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이 된 무성 파열음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화자 번호, 성별, 연령대, 파열음 종류, 파열음 길이, 파열음 소속 단어, 단어/발화 내 위치(어두, 어중, 어말이나 발화초, 발화 중), 이전/이후 단어, 이전/이후 변이음, 개방 파열 시작/ 끝 시간, 중력중심값, 분산, 비대칭도, 첨예도 등이다. 특히, 중력중심값을 비롯한 네 가지의 값은 개방 파열 시작부터 (후속 모음 시작 지점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0, 20, 30, 40 msec 지점에서 해밍 윈도우를 씌워 추출한 다음 계산한 값을 기록하도록 하였다. | |
무성 폐쇄음의 개방 파열 스펙트럼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 무성 폐쇄음의 개방 파열(release burst) 스펙트럼이 조음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개방 파열 부분이 각 파열음의 조음 상태에 따른 공명 특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 |
파열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스펙트럼 차이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무엇인가? | 개방 파열 스펙트럼과 관련된 주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는 이스펙트럼 차이만으로 각 파열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나타낼 수있느냐 하는 점이다. 가장 오래된 연구 중 하나는 패턴 재생기 (pattern playback)를 활용한 연구[1]인데, 다양한 개방 파열 주파 수와 모음 포먼트를 조합하여 시행한 청취 실험 결과, 모음의제 2 포먼트의 영향을 받긴 했으나 개방 파열만으로도 파열음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다른 연구[2]에 의하면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영역이, 양순 파열음의 경우 대체로 500 ~ 1500Hz 정도였고, 치경 파열음의 경우 4000Hz 이상이며, 연구개 파열음의 경우는 그 중간인 1500 ~ 4000Hz 정도 였다고 한다. |
Cooper, F., Delattre, P., Liberman, A., Borst, J., & Gerstman, L. (1952). Some experiments on the perception of synthetic speech sound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4, 597-606.
Halle, M., Hughes, G., & Radley, J. (1957). Acoustic properties of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9, 107-116.
Stevens, K., & Blumstein, S. (1975). Quantal aspects of consonant production and perception: A study of retroflex stop consonants. Journal of Phonetics, 3, 215-233.
Stevens, K., & Blumstein, S. (1978). Invariant cues for the place of articulation in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4, 1358-1368.
Blumstein, S., & Stevens, K. (1979). Acoustic invariance in speech production: Evidence from measurements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6, 1001-1017.
Forrest, K., Weismer, G., Milenkovic, P., & Dougall, R. (1988). Statistical analysis of word-initial voiceless obstruents: preliminary data.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4, 115-123.
Winitz, H., Scheib, M., & Reeds, J. (1972). Identification of stops and vowels for the burst portion of the /p, t, k/ isolated from conversational spee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1, 1309-1317.
Cole, R., & Scott, B. (1974). Toward a theory of speech perception. Psychological Review, 81, 348-374.
Ohde, R., & Sharf, D. (1977). Order effect of acoustic segments of VC and CV syllables on stop and vowel identifica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0, 543-554.
Kewley-Port, D. (1983). Time-varying features as correlates of place of articulation in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3, 322-335.
Kewley-Port, D. (1983). Measurement of formant transitions in naturally produced stop consonant-vowel syllabl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2, 379-389.
Bonneau, A., Djezzar, L., & Laprie, Y. (1996). Perception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French stop burs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0, 555-564.
Smits, R., ten Bosch, L., & Collier, R. (1996). Evaluation of various sets of acoustic cues for the perception of prevocalic stop consonants. I. Perception experimen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0, 3582-3864.
Park, H. (2003). Spectral characteristics of release burs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pp. 159-162). (박한상 (2003). 개방 파열의 스펙트럼상의 특성. 대한음성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9-162.)
Pitt, M., Dilley, L., Johnson, K., Kiesling, S., Raymond, W., Hume, E., & Fosler-Lussier, E. (2007). Buckeye Corpus of Conversational Speech (2nd release). [www.buckeyecorpus.osu.edu] Columbus, OH: Department of Psychology, Ohio State University (Distributor).
Boersma, P. (2001). Praat, a system for doing phonetics by computer. Glot International, 5(9/10), 341-345.
R Studio Team. (2015). RStudio: Integrated Development for R. RStudio, Inc., Boston, MA. Retrieved from http://www.rstudio.com/ on March 31, 2016.
Steriade, D. (1999). Phonetics in Phonology: The Case of Laryngeal Neutralization. UCLA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2, 25-14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