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학령기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문제와 관련 요인
Health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of Socially Vulnerable School-age Children in Seoul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3, 2017년, pp.181 - 193  

강경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성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ith the purpose of identifyng the health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of socially vulnerable school-age children in Seoul, South Korea. Methods: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two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ven participants. They w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계층 아동이란? 우리나라에서 취약계층 아동이란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거나 가족의 결손이 존재하는 환경에 속한 아동을 취약계층 아동으로 일컫는다[1]. 아동의 물질적 복지와 경제적 측면은 대개 아동 빈곤율을 통해 파악하는데[2], 우리나라 아동의 상대적 빈곤율은 2016년 기준으로 약 8.
아동 빈곤율은 어떤 특성에 영향을 받는가? 1%[3]로, 이는 대략 아동 10명당 1명의 아동이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임을 말해준다. 또한 아동 빈곤율은 가족유형과 주 양육자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이는 부모가 모두 있는 가구의 경우보다 한부모 가구이거나 조손가구인 경우의 빈곤율이 12~19배가량 높다는 연구결과[4,5]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경제적 빈곤과 불안정한 가족구조와 기능 속에서 성장하게 되는 취약계층 아동은 신체적 ․ 정신사회적 건강위험요인에 노출될 가능성 또한 높지만, 이에 필요한 서비스와 지원이 제공될 가능성이 낮고 보호요인이 부족하여 대처능력이 취약하므로 여러 측면에서의 건강문제 발생의 위험이 높다[6,7].
취약계층 아동의 신체적 ․ 정신사회적 건강을 돌보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최근 몇 년간의 건강형평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에 의하면 빈곤이나 결손가정과 같은 취약한 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취약계층 아동건강의 경우, 식생활과 개인 위생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건강관리 및 행태 비율이 높고[9,10], 신체적 발달과 성장문제[11] 뿐 아니라 우울을 포함한 정서 문제의 빈도가 높으며[8,12], 인지발달 및 의사소통능력이 떨어진다고[13] 보고하고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의 대부분은 신체 ․ 정신사회적 건강영역을 대표하는 지표에 의한 양적 통계자료를 통해 제시되었기에, 이들 취약계층 아동이 실제적으로 겪고 있는 건강문제의 맥락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및 이들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SY, Choo JN.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vulnerable children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3):292-302.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3.292 

  2. Lee J. Child's quality of life measured by OECD child well-being modul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5:91-106. 

  3. Kang SW, Yu JY, Lee JM. Statistical Yearbook of Poverty 2016.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p. 10-12. 

  4. Kim M, Jeon J, Ha T, Kim H, Oh M, Jung E. Comprehensive survey for children's actual situation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 6-7. 

  5. Jeong E. Child poverty and social policy challenge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5;220:47-55. 

  6. Yoo JP, Slack KS, Holl JL. The impact of material hardship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trajecto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2;37:103-137. 

  7. Hwang JG, Lee HY, Yoo SR, Park EM, Jang SH. A panel survey on children & youths in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and welfare facilities II - Focusing o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school-academie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Seoul: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2011. p. 3-4. 

  8. Kim HJ. Analysing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re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8;139:33-42. 

  9. Kang YS, Kwon IS.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159-67. https://doi.org/10.4094/chnr.2013.19.3.159 

  10. Jang 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choolaged children on community child cent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2;15(2):51-59. 

  11. Cho KM. An analysis survey on physical development and health status of elementary children in poverty in Incheon area.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9;12(2):147-159. 

  12. Kim HR.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Status, and policy options for childhood health equali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2;188:55-66. 

  13. De Los Reyes-Aragon C, Amar Amar J, De Castro Correa A, Lewis Harb S, Madariaga C, Abello-Llanos R. The care and development of children living in contexts of povert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6;25(12):3637-3643. https://doi.org/10.1007/s10826-016-0514-6. 

  14. Morgan DL.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7. p. 1-74. 

  15.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https://doi.org/ 10.1111/j.1365-2648.2007.04569.x. 

  16. Kim SJ, Kim HJ, Lee KJ, Lee SO. Focus group study. Seoul: Hyeonmoonsa; 2000. p. 56-57. 

  17. Guba EG, Lincoln YS.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 Bury Park CA: Sage. 1989. 

  18. The Gyeonggi Welfare Newspaper. The incidence of ADHD in children of poverty families is high [Internet]. Gyeonggi-do: Oh H.; 2010 [cited 2017 April 25]. Available from: http://www.ggwelfare.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5 

  19. Cho KM, Kim EJ. A study on obesity and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children living in povert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140-148. https://doi.org/10.4094/chnr.2013.19.2.140 

  20. Klein B, Damiani-Taraba G, Koster A, Campbell J, Scholz C. Diagnos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involved with child protection services: Are current diagnostic guidelines acceptable for vulnerable population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15;41(2):178-185. https://doi.org/10.1111/cch.12168. 

  21. Min HY, Kim K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child-rearing and school-aged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family and non-low income family. Journal of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2007;25(6):33-41. 

  22. Kim KH. Developmental pathway from household poverty to depression/anxie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func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Social Science Research. 2015;39(3):129-159. 

  23. Kim KH. The effect of childhood poverty on depression and anxiety: Focusing on the duration, timing and extent of poverty. Studies on Korean Youth. 2010;21(1):5-31. 

  24. Lee HR, Lee DH. The impact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odes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on depression and externalized behaviors: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6;54(1):25-52. 

  25. Lee KH. The effect of poverty and parental behavior for predicting high level physical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4;25(5):1-9. 

  26. NIA.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p. 25-34. 

  27. Seo S, Yoo Y, Choung JT, Kim D, Paul C. Exploring household-level risk factors for self-reported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mong low-income households in Seoul, Korea.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Research. 2014;6(5):421-427. https://doi.org/ 10.4168/aair.2014.6.5.421 

  28. Park HS, Chung IJ, Ku IH. Adult-role burden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6;58(2):303-330. 

  29. Lee HJ, Kim HK. A structural model on the mental health in children from dysfunctional famil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2;13(3):13-31. 

  30. Kim H, Lee S, Choi J, Oh Y. Children's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low income families in Korea: Statu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p. 1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