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산성 여장의 사춤으로 사용된 조선시대 석회 모르타르의 광물학적 특성 연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 Mortars Used in Pointing of Namhansanseong Yeojang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0 no.4, 2017년, pp.179 - 186  

김은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안선아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문성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춤으로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에 사용된 석회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여장의 모르타르는 기질에 석영, 장석, 운모, 휘석과 불투명 광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XRD 분석을 통해 점토 광물인 녹니석, 카올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시료의 입도 분포가 넓고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입도의 60%가 모래영역에 해당되었다. XRF 분석 결과 석회의 주성분인 Ca은 8.71-11.18%로 나타났으며 토양에서 확인되는 $SiO_2$, $Al_2O_3$, $Fe_2O_3$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TG-DTA 분석 결과 약 $750^{\circ}C$ 부근에서 탄산칼슘의 탈탄산반응으로 인한 흡열피크와 약 10%의 중량감소율을 확인하였으며, SEM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결과 조밀하게 응집된 비정질, 능면상의 방해석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장의 사춤재는 석회와 토양이 혼합된 모르타르이며 여장의 위치나 사용부위에 따른 광물 조성 차이는 보이지 않으므로 당시 한봉성 여장은 동일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개축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 mortars used in pointing of Namhansanseon Yeojang from Joseon dynasty. Polarization microscopy revealed quartz, feldspar, mica, pyroxene and opaque minerals in the lime mortars. XRD analysis also confirmed clay minerals chlorite and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석회 재료의 복원을 위한 기초 연구로 남한산성 내 원형보존구간인 한봉성 여장에서 채취한 석회의 물리적⋅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회 시공법이 현대에 쓰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조선시대에서는 유회(油灰), 수회(水灰), 양상도회(樑上塗灰), 삼물회(三物灰) 등 석회를 주재료로 한 혼합재가 관영건축의 주요 재료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근대를 거치면서 석회 시공법의 전수가 거의 이뤄지지 못하였으며 고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시공법이 정량적이지 않아 현재 문화재 수리에는 현대 재료가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남한산성의 보수 공사를 계기로 성곽에 사용되었던 석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축용 전통 석회 재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의 구성광물은 어떠한가? 남한산성 한봉성 여장에 사용된 석회 모르타르를 분석하여 조선시대 석회 모르타르의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석회 모르타르는 석회와 토양이 바탕을 이루는 기질에 석영, 장석, 운모, 휘석이 분포되어 있고 XRD 분석을 통해 점토광물인 녹니석과 카올린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시료별로 유사한 구성광물은 포함하고 있다. 입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석회와 모래, 토양의 혼합조성으로 인해 평균적으로 넓은 입도 분포를 보이며 모래영역의 입도가 주를 이루고 있다.
KS 규격에서 석회를 어떻게 분류하는가? 석회는 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탄산염 광물로 주로 석회석(lime stone)에서 얻어지며 KS 규격에서는 석회석을 소성한 산화칼슘을 생석회(quick lime), 생석회를 소화(消和)시킨 수산화칼슘을 소석회(slaked lime)로 규정하고 있다(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 자연 상태의 석회석(CaCO3)은 고온에서 소성하면 탈탄산반응(decarbonization reaction)을 통해 산화칼슘(CaO)과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hurst, J. (1998) Practical building conservation, Gower Technical Press, London. 

  2.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j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p-1248p. 

  3. Cho, Y.M. (2014) A study on materials and method of Lyang-sang-do-heo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30, 143-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07) Hwasongsongyoukeugye Architectural glossary.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uwon, 26p (in Korean). 

  5. Hwaseong songyouk eugye No.1 (1801) (in Korean). 

  6. Jang, J.Y. (2016) A study on the conservation methods for Namhansanseong Yeojang.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oen, 1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H., Kim J.D., Kim T.N., and Kim T.W. (2005) A study on the analysis of lime mortar composition for the preservation of Myung Dong cathedral church,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4, 89-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 KS L 9700; Chemical analysis of refractory brcks and refractory mortar Chemical analysis of refractory brcks and refractory mortar Chemical analysis of refractory brcks and refractory mortar, 6-7. 

  9. Lee, C.H., Cho, J.H., and Kim, J. (2016) Interpretation of limestone provenance, materials and making characteristics for lime-soil mixture on tomb barrier of the Yesan Mokri site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 471-4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C.H., Eo, E.I., and Shin, S.C. (2017) Analysis on composition and strength of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at Guri Galmae site in Joseon dynasty. MUNHWAJAE, 50, 40-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C.W. (2006) A study on the constructing method of Namhansanseong Fortress. Masters'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 21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H.S. and Han, K.S. (2006) Study of lime finishing layer(intonaco) in Koguryo tomb mural. Journal of the conservation science, 19, 43-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Y. (2009a)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Focused on the lime plaster materials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8, 63-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Y. (2009b) A study on the lime of government construc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report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Emphasized on the production,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lim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8, 23-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S.O. and Chung, K.Y. (201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ing performance and property of lime mortar for building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5, 37-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ark, R. (1995) Architectural technology up to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MIT Press, Cambridge, 8-9. 

  17. Park, C.W., Lee, H.I., and Lee, G.Y. (2012) A research study on fundamental properties of traditional oil compound lime as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 107-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C.W., Lim, N.G., and Lee, G.Y. (2014) A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y of matters of traditional starch lime as eco-friendly plaster materi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0, 47-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Tae Y.C.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nghoe (lime) use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walls, Masters's Thesis, Myongji University, Yongin, 1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