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ion Exercise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4, 2017년, pp.31 - 39  

김경돈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or strengthe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대구 OO병원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PNF 짧은 목 굽힘 운동과 NMES 방법을 적용하여 삼킴 기능과 식이단계 개선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PNF 짧은 목 굽힘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은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new VFSS scale 중 Oral phage에서 2개 항목과 Phayngeal phage에서 7개 항목, new VFSS scale total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NF 짧은 목 굽힘 운동을 NMES와 비교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킴의 의미는 무엇인가? 삼킴이란 음식물을 구강으로 가져가 턱과 혀 등의 역동적인 운동으로 음식덩이를 만들어 뒤쪽으로 보냄으로써 삼킴이 유발되어 위장관까지 전달되는 일련의 기능을 말하고(김은정과 홍재란, 2012), 인두기의 복합적인 기전으로 기도 보호와 동시에 식도를 지나 위로 보내질 때, 신체적, 구조적, 생리학적인 문제로 인하여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장기연과 차태현, 2009). 즉, 삼킴 장애는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으로 옮기는 일에서의 어려움을 말한다(Logemann, 1998).
삼킴 장애의 증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삼킴 장애의 증상으로는 구강 전‧후 음식물 누출, 인두근육 수축의 감소, 후두개곡(vallecula)과 조롱박오목(pyriform sinus)에 잔유물, 후두개․목불뼈‧후두 이동의 감소, 후두 통과 또는 흡인, 인두식도 연접부의 이상 열림현상이나 인두 통과 시간의 지연 등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난다(백남종 등, 2005). 
연구 집단의 삼킴 기능이 향상되지 않는것 이외에 NMES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NMES의 단점을 제시한 연구들이 있었는데, Power 등(2006)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NMES를 적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지만 연구 집단의 삼킴 기능이 향상되지 않아 삼킴 장애 치료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기자극으로 근 수축을 유발하는 경우에 환자는 강한 수축력을 참아야 하며 통증, 불안, 공포 등을 유발할 수 있고, 결국 이는 NMES에 대한 거부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Delitto 등, 1992). 또한 반복적인 전기 자극 및 전기 자극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지근 운동 단위(slow-twitch motor units)보다 대사 요구가 높은 서근 운동단위(fast-twitch motor units)가 더 많이 동원되기 대문에 골격근은 수의적 수축을 하는 경우보다 반복적인 전기자극을 통한 수축을 하는 경우에 근피로의 발생율이 높으며 근육에 노폐물 등이 축적되어 심각한 근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Benton 등, 1981;Binder-Macheod & Snyder-Mackler, 1993; Binder-Macheod 등, 1995). 따라서 NMES는 환자에게 적용 시 다양한 양상에 따라 사용을 제한해야 하며, 여러 가지 효율성 면에서도 다른 전통적인 삼킴 치료법에 비해 이점이 크지 않다(Kiger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경돈(2015).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목 굽힘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두규, 이수정(2009). 상부 식도괄약근의 이완부전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Shaker운동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사례연구-. 대한연하재활학회지, 1(1), 55-60. 

  3. 김은정, 홍재란(2012). 식사 훈련 시 신경근전기자극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고령화건강정책학회지, 4(1), 65-71. 

  4. 김정환, 이건재, 김상준(2007). 연하 곤란을 동반한 뇌 병변 환자들에서 설골 상부 근육의 전기 자극 치료. 대한뇌졸중학회지, 9(2), 134-141. 

  5. 문태흥(2013). Shaker 운동과 신경근 전기자극 치료가 삼 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은정(2013).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 치료와 전통적 재활치료의 비교.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5(2), 19-27. 

  7. 배성수, 구봉오, 김용천 등(2003). 물리치료학개론. 5판, 서울, 대학서림. 

  8. 백남종, 김일수, 김정환 등(2005).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에 기초한 기능적 연하곤란척도의 임상적 타당도. 대한재활의학회지, 29(1), 43-49. 

  9. 우희순, 장기연, 차태현 등(2009). 국내 작업치료사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3), 67-77. 

  10. 윤용순, 임진택, 윤석봉 등(2006).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30(5), 417-423. 

  11. 은성종, 김성길, 홍재란(2010).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에서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검사의 유용성. 한국방사선학회지, 4(3), 19-25. 

  12. 이순현, 원영식(2015).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한 목근육 강화운동이 삼킴 장애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13(3), 163-168. 

  13. 장기연, 차태현(2009). 연하장애 재활의 개요. 대한연하재활학회지, 1(1), 1-7. 

  14. Adler SS, Beckers D, Buck M, et al(2000).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NF in practice. Berlin, Springer. 

  15. Benton L(1981).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 practical clinical guide. Rancho Los amigos Hospital Rehabilitation Engineering Centre. 

  16. Binder-Macleod SA, Halden EE, Jungles KA(1995). Effects of stimulation intensit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human motor units. Med Sci Sports Exerc, 27(4), 556-565. 

  17. Binder-Macleod SA, Snyder-Mackler L(1993). Muscle fatigue: clinical implications for fatigue assessment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Phys Ther, 73(12), 902-910. 

  18. Buckley DC, Kudsk KA, Rose B, et al(1987).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promotes muscle growth in immobilized patients. J Parenter Enteral Nutr, 11(6), 547-551. 

  19. Delitto A, Strube MJ, Shulman AD, et al(1992). A study of discomfort with electrical stimulation. Phys Ther, 72(6), 410-421. 

  20. Easterling C, Kern M, Nitschke T, et al(2000). Restoration of oral feeding in 17 tube fed patients by the Shaker Exercise. Dysphagia, 15, 105. 

  21. Freed ML, Freed L, Chatburn RL, et al(2001). Electrical stimulation for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stroke. Respir Care, 46(5), 466-474. 

  22. Groher ME, Crary MA(2009). Dysphagia: clinical management in adults and children. Missouri, Groher & Crary. 

  23. Keymling M(1994). Technical aspects of enteral nutrition. Gut, 35(1 Suppl), S77-80. 

  24. Kiger M, Brown CS, Watkins L(2006). Dysphagia management: An analysis of patient outcomes using $VitalStim^{TM}$ therapy compared to traditional swallow therapy. Dysphagia, 21(4), 243-253. 

  25. Kim HM, Choi KH, Kim TW(2013). Patients' radiation dose during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ies according to underlying characteristics. Dysphagia, 28(2), 153-158. 

  26. Kim KD, Lee HJ, Lee MH, et al(2015). Effects of neck exercises on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J Phys Ther Sci, 27(4), 1005-1008. 

  27. Klein DA, Stone WJ, Phillips WT, et al(2002).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 Aging Phys Act, 10(4), 476-488. 

  28. Kuhlemeier KV(1994). Epidemiology and dysphagia. Dysphagia, 9(4), 209-217. 

  29. Langmore SE, Miller RM(1994). Behavioral treatment for adul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Arch Phys Med Rehabil, 75(10), 1154-1160. 

  30. Lee KW, Kim SB, Lee JH, et al(2014). The effect of earl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in acute/sub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nn Rehabil Med, 38(2), 153-159. 

  31. Logemann JA(1998).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6(6), 395-400. 

  32. Logemann JA, Rademaker A, Pauloski BR, et al(2009). A randomized study comparing the Shaker exercise with traditional therapy: a preliminary study. Dysphagia, 24(4), 403. 

  33. Park CL, O'Neill PA, Martin DF(1997). A pilot exploratory study of oral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 function following stroke: an innovative technique. Dysphagia, 12(3), 161-166. 

  34. Power ML, Fraser CH, Hobson A, et al(2006). Evaluating oral stimulation as a treatment for dysphagia after stroke. Dysphagia, 21(1), 49-55. 

  35. Snyder-Mackler L, Delitto A, Bailey SL, et al(1995). Strength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lectrical stimulation. J Bone Joint Surg Am, 77(8), 1166-1173. 

  36. Wright RE, Boyd CS, Workman A(1998). Radiation doses to patients during pharyngeal videofluoroscopy. Dysphagia, 13(2), 113-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