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철계 구동부품 온간 정밀단조기술
Warm Precision Forging Technology of Ferrous Driven Part 원문보기

소성가공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s, v.26 no.6, 2017년, pp.378 - 386  

이영선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실용화연구단) ,  정기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성형기술그룹) ,  손동민 (세아창원특수강 제품연구2그룹)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동향소개와 함께 관련 산업체에서 증가하고 있는 온간단조 공정 적용에 필요한 사항들을 개발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주로 자동차부품 가운데 철계 구동부품을 위주로 단조소재는 탄소강과 합금강에 대한 필요사항을 금형강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온간단조금형과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이 시작된 국산 금형강에 대해 그 현황을 소개하고자한다.
  •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동향소개와 함께 관련 산업체에서 증가하고 있는 온간단조 공정 적용에 필요한 사항들을 개발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주로 자동차부품 가운데 철계 구동부품을 위주로 단조소재는 탄소강과 합금강에 대한 필요사항을 금형강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온간단조금형과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이 시작된 국산 금형강에 대해 그 현황을 소개하고자한다.
  • 이에 본고에서는 온간단조의 기본사항에 대한 점검과 주요핵심기술(조직제어, 금형수명)에 대한 개발 사례를 통해 온간단조기술을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인자들과 추진전략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의 기반기술이 성숙되면서 단조회사는 물론 소재회사의 적극적인 협조로 인해 전반 적인 기반기술의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합금설계(microalloyed medium carbon steel)와 제어열처리를 통해 단조 후 열처리 (quenching & tempering) 공정을 생략하고자 하는 이유는? 최근에는 합금설계(microalloyed medium carbon steel)와 제어열처리를 통해 단조 후 열처리 (quenching & tempering) 공정을 생략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고되고 있다. 결정립미세화제를 첨가하고 온간단조 영역에서 가공열처리 후 냉각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단조품의 후열처리 없이도 그 특성을 확보 하고자 하는 노력은 우수한 단조성과 가공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충격인성에 아직은 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다[8]. 또한, 미세화제 가운데 Nb의 첨가여부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Nb이 없을때는 연화 (softening)현상 발생과 함께 기계적 성질 저하현상이 발생됨을 발생원인 분석(동적재결정 발생 유무)에 대한 결과 함께 보고된 바 있다[9].
온간단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 두가지는? 온간단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대표적으로 2가지(조직제어, 금형수명)를 강조할 수 있다. 초창기에 온간단조 공정을 적용하고자 할 때 문제점으로 작용한 것 또한 동일한 2가지 문제(조직, 금형)이었지만, 현재는 과거와는 다른 수준에 놓여 있다.
온간단조공정의 장점은? 냉간과 열간의 중간온도(300 ~ 900℃)영역에서 가공하는 온간단조공정은 냉간단조와 열간단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에너지 경감, 인산염피막 불필요, 변형능 향상, 높은 치수정밀도 등)으로 인해 일부제품에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냉/열간의 단점(낮은 금형수명, 고난이도 조직제어 등)을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 H. Kang, S. S. Kang, 2001, Die Life on Warm Forging, Proceeding of Korean Forging Symposium, pp. 326-339. 

  2. J. H. Kang, B. H. Ko, J. S. Jae, S. S. Kang, 2005, Lubrication and Cooling Characteristics of Warm Forging Lubricants, Trans. Mater. Process., Vol.14, No. 7, pp. 619-623. 

  3. J. H. Kang, B. H. Ko, J. S. Jae, S. S. Kang, 2006, Contact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Finite Element Analysis in Warm Forging Processes, Trans. Mater. Process., Vol.15, No.3, pp. 183-188. 

  4. D. J. Jeong, D. J. Kim, B. M. Kim, 2001, Evaluation of Friction Shear Factor by the Lubricating Methods in Warm Forging, Trans. Mater. Process., Vol.10, No. 4, pp. 319-328. 

  5. A. K. Padap, G. P. Chaudhari, V. Pancholi, S. K. Nath, 2010, Warm Multiaxial Forging of AISI1060, Mater. Des., Vol. 31, pp. 3816-3824. 

  6. P. R. Spenda, D. Firrao, 2013, Thermomechanical Warm Forging of Ti-V, Ti-Nb, and Ti-B Microallyed Medium Carbon Steels, Mater. Sci. Eng., A, Vol. 560, pp. 208-215. 

  7. P. Springer, U. Prahl, 2016, Characterisation of Mechanical Behavior of 18CrNiMo7-6 Steel with and without nb under Warm Forging Conditions through Processing Maps Analysi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37, pp. 216-234. 

  8. C. Choi, A. Groseclose, T. Altan, 2012, Estimation of Plastic Deformation and Abrasive Wear in Warm Forging Die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12, No. 8, pp. 1742-1752. 

  9. E. Virtanen, C. J. Van Tyne, B. S. Levy, G. Brada, 2013, The Tempering Parameter for Evaluating Softening of Hot and Warm Forging Die Steels,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13, No. 8, pp. 1364-1369. 

  10. M. Kabirmohammadi, B. Avishan, S. Yazdani, 2016, Transformation Kinetics and Microstructural Features in Low-Temperature Bainite After Ausforming Process, Mater. Chem. Phys., Vol. 184, No. 1, pp. 306-317. 

  11. H. Hu, H. S. Zurob, G. Xu, D. Embury, G. R. Purdy, 2015, New Insights to the Effects of Ausforming on the Bainitic Transformation, Mater. Sci. Eng., A, Vol. 626, pp. 34-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