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중증 지적장애에서의 문제행동에 대한 억간산가미(抑肝散加味) 치험 1례 보고
A Case Report of Problem Behavior in Adult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reated with the Korean Herbal Medicine Yokukan-san-gami (Yigan-san-jiawei)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8 no.4, 2017년, pp.341 - 347  

최은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서효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정선용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김종우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ase report presents a 31-year-old male intellectual disability patient with problem behavior such as food refusal and temper tantrums. He was treat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Yokukan-san-gami) continuously for 56 days.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were measured by the fr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식사 거부, 분노 발작과 같은 문제행동이 동반된 중증 지적장애 환자에 대하여 억간산가미(抑肝散加 味)로 한약치료를 시행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장애에서의 문제행동은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이외에 공격행동, 자해행동, 분노발작, 과민, 초조, 상동행동과 같은 문제행동이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인구에 비해 그 비율이 훨씬 높다2,3). 지적장애에서의 문제행동은 보호자 및 교사들의 돌봄과 지도에 어려움을 야기하며 학습이나 사회적응에 문제를 초래하기도 하기에,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4). 그러나 약물치료의 경우 표준적인 치료가 확립되지 않았으며5,6) 이미 복용하고 있는 약물과의 상호작용 문제나 약물부작용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지적장애의 약물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지적장애에서의 문제행동은 보호자 및 교사들의 돌봄과 지도에 어려움을 야기하며 학습이나 사회적응에 문제를 초래하기도 하기에,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4). 그러나 약물치료의 경우 표준적인 치료가 확립되지 않았으며5,6) 이미 복용하고 있는 약물과의 상호작용 문제나 약물부작용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심리치료가 문제행동에 효과적이라는 근거 역시 아직 제한적이며7) 중증 지적 장애에서는 심리적 중재의 어려움이 있다.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란 무엇인가?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는 약 1% 정도의 유병률을 가진 발달장애로 18세 이전부터 인지기능과 함께 자기관리, 사회기술, 학업 등 적응기능 또한 저하되어 있을 때에 진단이 가능하다. 중증 또는 매우 중증의 지적장애 환자들에서는 보다 전반적인 기능장애가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돌봄이 필요하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 SK. Modern psychiatry. 6th ed. Seoul. Ilchokak. 2015:618-21. 

  2. Bowring DL, et al. Challenging behaviours in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 total population study and exploration of risk indices. Br J Clin Psychol. 2017;56(1):16-32. 

  3. Deb S, Thomas M, Bright C. Mental disorder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 The rate of behaviour disorders among a community-based population aged between 16 and 64 years. J Intellect Disabil Res. 2001;45(Pt 6):506-14. 

  4. James N. The formal support experiences of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also display challenging behaviour and/or mental health issues:what do carers say?. J Intellect Disabil. 2013;17(1):6-23. 

  5. Tyrer P, Oliver-Africano PC, Ahmed Z, et al. Risperidone, haloperidol, and placebo in the treatment of aggressive challenging behaviour in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8;371(9606):57-63. 

  6. Rana F, Gormez A, Varghese S.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self-injurious behaviour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4):CD009084. 

  7. Ali A, Hall I, Blickwedel J, Hassiotis A. Behavioural and cognitive-behavioural interventions for outwardly-directed aggressive behaviour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7;(4):CD003406. 

  8. Kim NY, Ko JS, Kim SW, Lee DH, Kim SH, Kim GW. A Case Report on the Communicating Hydrocephalus and Brain Lesions with Mental Retardation.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13;24(4):403-10. 

  9. Baek JN. Construct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Aberrant Behavior Checklist(ABC). J Intellect Disabil. 2015;17(4):1-17. 

  10. Aman MG, Singh NN. Aberrant behavior checklist-community. Supplementary manual. East Aurora, NY. Slosson Educational. 

  11. Martin J. Brodie,corresponding author Frank Besag, Alan B. Ettinger, et al. Epilepsy, Antiepileptic Drugs, and Aggression: An Evidence-Based ReviewAn external file that holds a picture, illustration, etc. Pharmacol Rev. 2016;68(3):563-602. 

  12. Oliver-Africano P, Murphy D, Tyrer P. Aggressive behaviour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efining the role of drug treatment. CNS Drugs. 2009;23(11):903-13. 

  13. Miyaoka T, Wake R, Furuya M, et al. Yokukansan (TJ-54) for treatmen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and Asperger's disorder: a 12-week prospective, open-label study. BMC Psychiatry. 2012;12:215. 

  14. Wake R, Miyaoka T, Inagaki T, et al. Yokukansan (TJ-54) for Irritability Associate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12-week Prospective, Open Label Study.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13;23:329. 

  15. Ikarashi Y, Mizoguchi K. Neuropharmacological efficacy of the traditional Japanese Kampo medicine yokukansan and its active ingredients. Pharmacol Ther. 2016;166:84-95. 

  16. Matsunaga S, Kishi T, Iwata N. Yokukansan in the Treatmen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 Update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Alzheimers Dis. 2016;54(2):635-43. 

  17. Youn JC, Lee WH, Choi JB. Comparis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Rating Scale for Dementia(BRSD) and Neuropsychiatric Inventory(NPI). Kor J Psychopathol. 2008;16,17(1,2):40-8. 

  18. Jeanne Lenzer. FDA warns about using antipsychotic drugs for dementia. MJ. 2005;330(7497):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