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 수록되지 않았던 억간산의 문헌상 흐름과 현대 한의학에서의 응용 현황
The Literary Trends of Herbal Prescription Ukgan-san and its Application in Moder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9 no.3, 2018년, pp.17 - 27  

조기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신경내과학교실) ,  김태훈 (경희대학교 한의약임상시험센터) ,  진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신경내과학교실) ,  이지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신경내과학교실) ,  권승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신경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Ukgan-san does not appear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lassics. However, it has been used in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in Korea. In this paper, we are aiming to examine the records concerned with Ukgan-san to the present, and announce the present usage state in Korea.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쉽게도 설기의 아버지이자 많은 저작물의 원저자로 알려진 설개의 약력이나 의철학과 관련된 흔적은 중국의학사에도 그다지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억간산을 처음으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설기에 대해 전해지는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여 서술한다5). 설기(1488~1558년)는 자(字)는 신포(新甫)이며, 호는 입재(立齋)로 강소(江蘇) 오현(吳縣) 사람이다.
  • 본 문헌에서는 억간산과 가미소요산의 감별 포인트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안절부절하지 못하는 갱년기에 처방할 때 가미소요산과의 감별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가미소요산은 평소 상태가 음성 신경증으로 밖으로 내뱉지 못하고 마음에 담아두는 경향의 사람에게 사용한다고 하였다.
  • 주목할 점은 현재 일본에서, 그리고 한국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억간산가진피반하(抑肝散加陳皮半夏)의 등장이다. 본 서적에서는 억간산 증후가 장기간 지속되어 허증(虛證)을 보이게 되고 특유의 복증(腹證)을 나타내면 진피와 반하를 추가할 수 있다며 억간산가진피반하를 제시했다. 억간산의 복증으로 왼쪽 옆구리와 복부근육의 긴장을 제시했는데, 이러한 증후가 만성화되면 복직근이 무력화되고, 왼쪽 복부대동맥의 동계가 심하게 항진된다는 내용으로 억간산가진피반하의 복후를 제시해두었다.
  • 흥미로운 점은 처방이 첫 기술된 중국 보다 바다 건너 수입했던 일본에서 억간산을 보다 폭넓게 활용했으며, 구체적 처방활용방법에 대한 탐색도 진행했다는 것이다. 본 항에서는 시대 순으로 중국과 일본의 의학자들이 억간산을 전승했던 기록을 탐색해보겠다(Table 1).
  •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억간산의 출전에 대한 여러 의견이 있지만, 본 서적에서는 오츠카 케이세츠(大塚敬節, 1900-80)의 고증에 따라 설개의 『보영촬요』를 효시로 본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적응증은 신경증 중 자극증상이 심하고, 일반적으로 간(癎)증상이 심한 상황으로 제시했다.
  • 하지만, 이 처방은 한국 한의학의 기본 텍스트인 『동의보감』에 수록되지 않아 기존의 한의학 교육을 받은 기성세대 한의사나 국내자료에만 의존하는 한의사에게는 다소 낯설다. 이에 저자들은 본고에서 억간산의원출전과 후대로 내려오며 축적된 여러 의가들의 의견을 정리하고, 현재 국내 억간산 관련 제제의 출시현황과 국내학계의 관심사항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명대(1368-1644년)의학의 특징은? 중국 명대(1368-1644년)의학의 한 특징은 소아과분야에서 새로운 경험과 지식이 축적된 소아과 관련 저작이 꽤 나왔다는 것이다. 그 대표격이 설개와 그의 아들 설기의 『보영촬요』이며 이 책은 총20권으로 구성되어 소아의 양육보호(養育保護), 발육(發育), 내과(內科), 외과(外科), 오관과(五官科), 전염병에 대해 논술하고 있다4).
우리나라에서 한의학의 글로벌리제이션 사례가 있나요? 이러한 현상을 대표하는 처방이 바로 중국 명대(明代)의 의학자 설개(薛鎧)가 저술한 『보영촬요(保嬰撮要)』를 원전으로 하는 억간산(抑肝散, 당귀 조구등 천궁 백출 복령 시호 감초로 구성됨)이다1). 현재, 억간산의 다양한 변방 중 하나인 억간산가반하진피(抑肝散加半夏陳皮)는 한국 식품의약안전처 의약품으로 인가를 받아 한약제제로 출시 시판되고 있으며, 국내 무작위배정 비교시험의 중재(intervention)로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처방은 한국 한의학의 기본 텍스트인『동의보감』에 수록되지 않아 기존의 한의학 교육을 받은 기성세대 한의사나 국내자료에만 의존하는 한의사에게는 다소 낯설다.
한국 한의학의 특징은? 고대 중국의학에서 기반하여 오늘날까지도 표준치료와 동등한 가치를 보이고 있는 동아시아 전통의학은 한국, 중국, 일본 각국이 그 콘텐츠를 공유하면서도 국가별 특색을 보이고 있다. 그 출발점이 같지만 후대로 내려오며 각국의 문화, 관습, 역사, 정치철학에 따라 변형 발전되었기 때문인데, 한국 한의학의 특징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한의학의 교육이나 임상은 대개 이 『동의보감』의 틀 안에서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inese Text Project. Boyeongchwalyo (保?撮要). 2016. Available at: URL:https://ctext.org/wiki.pl?ifgb&res664599 Accessed August 15, 2018. 

  2. Kinebuchi A, Kosoto H, Kimura Y, Fujii Y, Inaki K, Nagao S, et al. Yokukansan Desecriptions in the Original Texts. Kampo Med. 2014;65(3):180-4. 

  3. Chinese Text Project. Seolsiuian (薛氏醫案). 2016. Available at: URL:https://ctext.org/wiki.pl?ifgb&res942002 Accessed August 15, 2018. 

  4. 후웨이캉(傅維康). 카와이 마사히사(川井正久), 카와이 쥬코우(川合重孝), 야마모토 츠네히사(山本恒久) 역. 中???の?史. 이치카와:동양학술출판사(東洋學術出版社). 1997:462-3.(일본어) 

  5. 진대순. 맹웅재, 박현국, 박경남, 김남일, 신영일, 김용진, 안상우, 김훈, 김홍균, 차웅석 역. 각가학설: 중국편. 서울:대성의학사. 2001:281-296. 

  6. Chinese Text Project. Jeungchijunseung (證治準繩). 2016. Available at: URL:https://ctext.org/wiki.pl?ifgb&res227348 Accessed August 15, 2018. 

  7.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lassical DB Gyeongakjeonseo (景岳全書) volume 62. 2018. Availabe at: URL:https://mediclassics.kr/books/139/volume/62 Accessed August 15, 2018. 

  8. 후쿠이 후테이(福井楓亭). 방독변해(方讀弁解). 도쿄:명저출판(名著出版). 1981:172-3. (일본어) 

  9. 하세가와 미츠토. 물오약실방함구결석의(勿誤藥 室方函口訣釋義). 오사카:소겐샤(創元社). 1994:265-7. (일본어) 

  10. 야가즈 도메이. 임상응용 한방처방해설(臨床應用 漢方處方解說). 오사카:소겐샤(創元社). 1994:599-605. (일본어) 

  11. 오츠카 케이세츠, 야가즈 도메이, 시미즈 토타로. 한방진료의전(漢方診療醫典). 도쿄:난잔도(南山堂). 1986:424-6. (일본어) 

  12. 일약연한방전문위원회. 일반용 한방처방 매뉴얼 (一般用漢方處方の手引き). 도쿄:약업시보사(藥業時報社). 1995:244-7. (일본어) 

  13. 일본한방생약제제협회. 신 일반용 한방처방 매뉴얼(新一 般用漢方處方の手引き). 도쿄:주식회사 지호우(株式會社 じほう). 2014:298-300. (일본어) 

  14. Japanese Society of Neur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Dementia 2017 (認知症疾患診療ガイドライン2017). 2017. Availabe at: URL:https://www.neurology-jp.org/guidelinem/nintisyo_2017.html (Japanese) Accessed August 15, 2018. 

  15. Japanese Society of Geriatric Medicine. Safety Drug Therapy Guidelines for the Elderly 2015 (高?者の安全な?物療法ガイドライン2015). Tokyo; Medical Review Co. Ltd. 2015:141. (Japanese) 

  16. Japanese Society of Neurology. Parkinson's disease treatment guidelines 2011 (パ?キンソン病治療ガイドライン2011). Tokyo; Igakushoin. 2011:165. (Japanese) 

  17. Kim KN, Cho SH. Review of Clinical Trials about Herbal Medicine for Vascular Dementi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4):37-48. 

  18. Lee YE, Lee DH, Lee JH, Lu HY, Cho SY, Park JM, et al. Three Case Reports of Postural Instability and Gait Difficulty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Treated with Korean and Western Medicine. Korean Jounral of Acupuncture. 2014; 31(1):40-47. 

  19. Yang SB, Kim YJ, Lee HM, Lee HJ, Cho SY, Park JM, et al. Effects of Korean Medicine o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 Retrospective Study. J Int Korean Med. 2016;37(4):653-660. 

  20. Kim YJ, Yang SB, Kim JH, Lee BY, Cho SY, Park SU, et al. Case of Drug-Induced Parkinsonism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6;3\(2):381-388. 

  21. Park MJ, Lee MR, Kim GM, Cho KH, Moon SK, Kwon S, et al.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Lewy's Body Dementia and Insomnia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7;38(2):146-151. 

  22. Kim SY, Park JH, Ahn JH, Jo JJ, Lee SM, Kang JW, et al. A Case Report of a Right-sided Hemichorea Patient Diagnosed with Chorea Hyperglycemia Basal Ganglia Syndrome : A Combined Western-Korean Medicine Approach. The Acupuncture. 2016;33(1):117-125. 

  23. Park MC, Hong SU. Two cases of the treatment of hemifacial spasm improved by Ukgansangamibang(抑肝散加味方) and moxa-treatment. J Korean Orient Med Ophtal & Oto & Derm. 2007;20 (3):236-242. 

  24. Lee MR, Kim SB, Woo JM, Kang AR, Cho KH, Moon SK, et al.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Dystonia Due to Dystonic Cerebral Palsy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6;37(2):257-264. 

  25. Park SM, Kang BG, Lee JW, Na RH, Bang CH, Gang SO, et al. Clinical Case Report of Restless Leg Syndrome in Ischemic Stroke Patients. Korean J Oriental Physiol & Pathol. 2008;22(4):975-981. 

  26. Kim JH, Oh YL, Lee JH, Kim TH, Lyu YS, Kang HW.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6;17(3):157-164. 

  27. Seo JH, Kang HS, Kim JY, Sung WY, Na YJ, Kim JW.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Weakness of Heart and Gall bladder type Somatization disorder induced by Stres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7;18(3):249-260. 

  28. Jung H, Sung WY, Lee S, Son JH, Hang SH. A clinical report of a patient with Tourett's disorder.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3; 14(2):213-218. 

  29. Hyun WC, Lee SR. Studies on the Effect of AntiConvulsion and Analgesic by Ukgansan and Ukgansangami. J of Oreintal Neuropsychiatry. 1994;5(1):69-79. 

  30. Kim KS, Sung GK, Moon B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epileptic Effects of Ukgansan. KIMS. 1998;19(1):57-72. 

  31. Cho MY, Shin YJ, Ha YJ, Woo C, Kim TJ, You JY, et al. Protective Effects of Ukgan-san in $CoCl_2$ -induced Cell Death of C6 Glial Cells. Korean J Orient Int Med.2013;34(2):178-191. 

  32. Kim SM. Effects of Ukgan-san on the L-thyroxineindcued Rat Hyperthyroidis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2;26(5):679-686. 

  33. Shim YH, Park JY, Choi WW, Min IK, Park SU, Jung WS, et al.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drug-induced parkinsonism. J Altern Complement Med. 2015 May;21(5):273-80. 

  34. KCDC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Health. CRIS(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8. Availabe from: URL:https://cris.nih.go.kr/cris/index.jsp Accessed August 15, 2018. 

  3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Online Medicine Library. 2018. Availabe at: URL: http://drug.mfds.go.kr/html Accessed August 15,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