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체맥류 분쇄 사일리지 조제를 위한 적정 수확시기
An Optimum Harvest Time for Making Grinded Silage of Barley and Wheat for Whole Crop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7 no.4, 2017년, pp.264 - 270  

송태화 (국립식량과학원) ,  강천식 (국립식량과학원) ,  정영근 (국립식량과학원) ,  박종호 (국립식량과학원) ,  박태일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배합사료 대체용 분쇄사일리지를 조제하기 위한 보리와 밀의 적정 수확시기와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분함량은 새쌀보리와 금강밀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분감소는 새쌀보리가 금강밀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생육특성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초장길이의 변화는 없었고, 경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수량과 TDN수량은 새쌀보리는 출수 후 35일과 40일에서 출수 후 30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금강밀은 출수 후 40일과 45일에서 출수 후 35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새쌀보리와 금강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조섬유, 조지방 및 조회분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비슷하거나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NDF와 ADF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새쌀보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금강밀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TDN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새쌀보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금강밀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총체분쇄 사일리지의 발효 전 후 사료가치는 일반성분들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발효품질면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새쌀보리는 pH가 높아지고 젖산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금강밀은 pH가 비슷한 값을 보였고, 젖산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총체분쇄 사일리지를 조제하기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수량성과 품질을 같이 고려해보면 새쌀보리는 출수 후 35일이 적절하고, 금강밀은 출수 후 40~45일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for the making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substitute for formula feed.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of barley and wheat decreased with a late harvest, and barley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배합사료 대체용 맥류 사일리지의 조제방법을 기존의 베일링하는 작업이 아닌 수확과 동시에 분쇄한 후 비닐을 포함한 톤백에 저장하여 발효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리와 밀을 이용한 배합사료 대체용 사일리지를 기존의 베일이 아닌 분쇄방법으로 조제했을 때, 보리와 밀의 적정 수확시기와 사료가치, 발효품질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총체맥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에 배합사료 가격이 상승됨에 따라 그 대책으로 농산부산물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대체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며, 활용성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총체맥류는 조사료에 알곡이 30∼40% 포함되어 있고, 원료의 가공이나 이용방법에 따라 양돈이나 양계 등의 사료로 이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국내 고기 수요량의 증가와는 반대로 국민의 주식인 쌀 소비량은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에 있고, 농촌의 고령화, 농기계의 이용이 어려운 땅, 작물보상제의 확대 등으로 휴경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안정적인 축산경영에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배합사료 원료의 수입비중이 높으므로 안정적인 축산경영을 위해서는 사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 배합사료 가격이 상승됨에 따라 그 대책으로 농산부산물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대체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며, 활용성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사료용 총체맥류가 동물에게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휴경지를 이용하여 국내 식량 자급률 향상과 유휴경지 이용 및 농촌경제 활성화를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용 총체맥류를 경작하여 배합사료 원료의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사료비 절감과 고품질 육류생산을 도모할 수 있다. Kim(2009)은 청보리 포함 풀 발효사료 급여 시 혈구 중 CD4와 혈중 IgA이 증가하여 모돈 및 자돈의 면역력을 증가시킨다고 발표하였고, 청보리를 육계와 양돈에 급여 시, 혈중중성지질 함량 개선효과와 혈액 내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향상시키고 돈육의 DPPH 값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Jeong et al., 2012; Song et al., 2011). 또한 비육돈 사료 내 호맥사일리지를 3%로 급여할 경우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 내 cortisol 함량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고(Cho et al., 2007; Shin etal., 2007), 후보돈에서 배합사료 15% 제한급여와 호맥사일리지의 무제한 급여는 첫 발정시기를 단축하고 임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Cho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harmley, E. 2000. Towards improved silage quality-A review. Crops and Livestock Research Centre,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Nappan, Nova Scotia, Canada B0L 1C0. 

  3. Cho, J.H., Han, Y.K., Min, B.J., Chen, Y.J., Kim, H.J., Yoo, J.S., Kim, J.W. and Kim, I.H. 2006. Effect of feeding rye silage and feed restriction on both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in replacing gilt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8:69-76. 

  4. Cho, J.H., Han, Y.K., Chen, Y.J., Yoo, J.S., Kim, J.W. and Kim, I.H. 2007. Effect of feeding rye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7:235-243. 

  5. Cottyn, B.G., Boucque, C.H.V., Fiems, L.O., Vanacker, J.M. and Buysse, F.X. 1985. Unwilted and prewilted grass silage for finishing bulls. Grass and Forage Science. 40:119-125. 

  6. Gordon, F.J. 1981. The effect of wilting of herbage on silage composition and its feeding value for milk production. British Society of Animal Science. 32:171-178. 

  7. Gordon, F.J. 1989. An evaluation through lactating cattle of a bacterial inoculant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Grass and Forage Science. 44:169-179. 

  8. Goering, H.K.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9. Haigh, P.M. and Parker, J.W.G. 1985. Effect of silage additives and wilting on silage fermentation, digestibility and intake, and on liveweight change of young cattle. Grass and Forage Science. 40:429-436. 

  10. Holland, C., Kezar, W., Kautz, W.P., Lazowski, E.J., Mahanna, W.C. and Reinhart, R.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11. Heo, J.M., Lee, S.K., Lee, I.D., Lee, B.D. and Bae, H.C. 2005. Effect of different growing stages of winter cereal crops on the quality of silage materials and silage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7:877-890. 

  12. Hwang, J.J., Sung, B.R., Youn, K.B., Ahn, W.S., Lee, J.H., Chung, K.Y. and Kim, Y.S. 1985. Forage and TDN yield of several winter crops at different clipping dat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0:301-309. 

  13. Jeong, Y.D., Song, T.H., Park, T.I., Han, O.K. and Ryu K.S. 2012. Effect of supplemental levels of barley on growing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properties in swine.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6:127-135. 

  14. Ju, J.I., Lee, K.S., Min, H.I., Lee, B.J. Kwon, B.G. Gu, J.H. and Oh, M. J. 2007. Change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barley according to days after heading.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2:36-44. 

  15. Kim, C.H. 2009. Study of utilization livestock expansion of whole crop barle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est Research Report. pp.120. 

  16. Kwon, Y.U. 2003. Studies on growth, nutrient components and optimal harvesting time in winter forage crops. Dongguk university. 

  17. Marsh, R. 1979. The effects of wilting on fermentation in the silo and on the nutrutive value of silage. Grass and Forage Science. 34:1-10. 

  18.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2010. Task performance plan for test research business. pp. 45-54. 

  19. Patterson, D.C., Mayne, C.S., Gordon, F.J. and Kilpatrick, D.J. 1997. An evaluation of an inoculant/enzyme preparation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for dairy cattle. Grass and Forage Science. 52:325-335.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f analysis based on research(I). pp. 315-374. 

  21. SAS. 2002. SAS system, Release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22. Seog, H.M., Kim, J.S., Hong, H.D., Kim, S.S. and Kim, K.T. 1993.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6:449-455. 

  23. Shin, S.O., Han, Y.K., Cho, J.H., Kim, H.J., Chen, Y.J., Yoo, J.S., Whang, K.Y., Kim, J.W. and Kim, I.H. 2007. Effects of rye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carcass quality in finishing pigs.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7:392-400. 

  24. Song, T.H., Han, O.K., Park, T.I., Park, K.H., Kim, K.J., Yoon, M.J., Jeong, Y.D. and Ryu, K.S. 2011. Effect of feeding colored barley and whole crop barley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laying hens.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3:127-132. 

  25. Song, T.H., Han, O.K., Yun, S.K., Park, T.I., Seo, J.H., Kim, K.H. and Park, K.H. 2009. Chang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9:129-136. 

  26. Song, T.H., Oh, Y.J., Kang, H.J., Park, T.I., Chenong, Y.K., Kim, Y.K. and Kim, B.K. 2015. Effect of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of barley and wheat grain silag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0:174-179. 

  27. Song, T.H., Park, T.I., Han, O.K., Park, H.H., Cho, S.K., Oh, Y.J., Kang, H.J. Jang, Y.W. and Park, K.G. 2013. Effect of harvesting time and making method on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in silage of whole crop barley.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8:362-366. 

  28. Yun, S.K., Park, T.I., Seo, J.H., Kim, K.H., Song, T.H., Park, K.H. and Han, O.K. 2009. Effect of harvest time and cultivar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Journal of the Korean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9:12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