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 영동군 복합 지질지역에서 산출되는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 Occurring in Complex Geological Environment of Yeongdong Area, Chungbuk,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6, 2017년, pp.445 - 466  

문상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지하수생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동지역은 지체구조상 옥천습곡대의 중앙 남동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이들 경계부에는 백악기 영동분지가 분포한다. 따라서, 영동지역은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부터 옥천누층군, 고생대/중생대 퇴적암, 중생대 화성암을 거쳐 신생대 제4기 충적층에 이르기까지 지질시대와 암상이 다양한 복합 지질 환경을 가진다. 이들 다양한 지질과 지하수 수질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으며, 지하수 내 주요 이온 성분들의 기원 및 물-암석 반응 기작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는 충적/풍화대 관정 20개, 암반 관정 80개를 대상으로 한 현장 수질 측정 자료와 이온 함량 분석 자료가 활용되었다. 통계 분석 결과, 풍수기와 갈수기간의 수질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별로 수질 유형이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나, 충적/풍화대 뿐 아니라 암반 지하수에서도 $Ca-HCO_3$ 유형이 전체의 80~84 % 정도를 차지하였다. 충적/풍화대 지하수의 경우,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 쥬라기 화강암 지역 일부에서 $NO_3$, Cl 함량이 꽤 높은 것이 관찰되었고, 백악기 영동층군 퇴적암에서는 $Mg-HCO_3$ 유형이 관찰되었다. 암반 지하수에서는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 쥬라기 화강암 지역에서 $Ca-HCO_3$ 유형에서부터 $Ca-Cl/SO_4/NO_3$ 유형을 거쳐 $Na-HCO_3$, Na-Cl 유형까지 매우 다양한 수질 유형을 보였다. 이중 $Na-HCO_3$, Na-Cl 유형을 보이는 지하수는 F 함량이 높은 것들로서, 지하수 수질이 백악기 반암 및 화강암의 광화대 및 변질대에서의 물-암석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지역은 심부 대수층까지 $NO_3$에 의한 오염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특히 쥬라기 화강암 지역에서 현저하다. 지하수의 $HCO_3$/Ca, $HCO_3$/Na, Na/Si 몰비 등으로 볼 때, 충적/풍화대 지하수의 Ca, $HCO_3$ 성분은 대부분 방해석의 용해작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암반 지하수에서는 물 속의 Ca, $HCO_3$ 성분은 방해석 이외에 사장석의 용해작용과 관련되어 있어 보이나, 사장석이 고령토로만 변하는 단순 풍화작용의 기작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수질 특성을 보였다. 백악기 영동층군 퇴적암 지역의 지하수에서는 $HCO_3$ 기원이 방해석 이외에도 $MgCO_3$, $SrCO_3$ 등의 용해작용과도 관련이 있어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ongdong area is located in the contact zone between central southeastern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in which Cretaceous Yeongdong basin exists. Therefore, the study area has complex geological environment of various geological age and rock types such as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ge-u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지하수는 순환 과정에서 주변 암석이나 토양, 열극 내 2차 생성물질 등과 물-암석 반응을 겪게 되므로, 대수층의 지질, 지질구조와 암상에 따라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은 각기 광물조성이 서로 다르며, 화강암질 암석과 염기성 암석의 광물조성이 다르기 때문에,물-암석 반응에 의한 지하수의 수질 특성은 지질 특성에 의존하게 된다.
영동군의 지체구조상 특징은? , 1989) 등 6개의 도폭에 걸쳐 분포한다. 또한, 지체구조상으로는 옥천습곡대의 중앙 남동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그 경계부에는 백악기 퇴적분지인 영동분지가 분포함으로써,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으로부터 고생대 퇴적암, 중생대 화성암과 퇴적암, 신생대 제4기 충적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질시대와 다양한 암질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따라서, 이들 복합 지질과 관련된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유형 역시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산출될 것으로 여겨진다.
영동군의 지리적 특징은? 영동군은 행정구역상 충북 옥천군, 충남 금산군, 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와 상주시에 접하여, 1/250,000 지질도에서는 대전(Lee et al., 1996)과 안동(Hwanget al., 1996) 도폭에 걸쳐서 분포하며, 1/50,000 지질도에서는 설천(Yun and Park, 1968), 옥천(Kim et al.,1978), 무주(Hong et al., 1980) 영동(Kim et al., 1986),김천(Kim et al., 1989), 옥산동(Lee et al., 1989) 등 6개의 도폭에 걸쳐 분포한다. 또한, 지체구조상으로는 옥천습곡대의 중앙 남동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그 경계부에는 백악기 퇴적분지인 영동분지가 분포함으로써,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으로부터 고생대 퇴적암, 중생대 화성암과 퇴적암, 신생대 제4기 충적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질시대와 다양한 암질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drawanshi, C.K. and Patel, K.S. (1999) Fluoride deposition in Central Indi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55, no.2, p.252-265. 

  2. Choo, C.-O., Sung, I.-H., Cho, B.-W., Lee, B.-D. and Kim, T.-W. (1998)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at natural mineral water plant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Jour. Korean Soil Environ. Soc., v.3, no.3, p.93-107. 

  3. Hong, S.H., Lee, B.J. and Kim, W.Y. (1980)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Muju sheet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8p. 

  4. Hwang, J.H., Kim, D.H., Cho, D.R. and Song, G.Y. (1996) 1:250,000 Explanatory note of the Ando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67p. 

  5. Jeong, C.-H., Koh, Y.-K., Kim, S.-J. and Kim, C.-S. (1995) Hydrogeochemistry and water-rock interaction in the gneiss of the Samkwang mine area. Jour. Geol. Soc. Korea, v.31, no.2, p.91-105. 

  6. Jeong, C.H., Lee, Y.J., Lee, Y.C., Kim, M.S., Kim, H.K., Kim, T.S., Jo, B.U. and Choi, H.Y. (2016) Hydrochemistry and occurrences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from groundwater in various geological environment. Jour. Eng. Geol., v.26, no.4, p.531-549. 

  7. Kim, D.H., Chang, T.W., Kim, W.Y. and Hwang, J.H. (1978)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Ogcheon sheet (Sheet 6722 IV,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1p. 

  8. Kim, K.B. and Hwang, J.H.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Yongd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4p. 

  9. Kim, S.W., Yang, S.Y. and Lee, Y.J. (1989) Geological report of the Kimcheon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2p. 

  10. Kundu, M.C., Mandal, G. and Hazra, C. (2009) Nitrate and fluorid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of an intensively manage agroecosystem: A functional relationship.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407, no.8, p.2771-2782. 

  11. Lee, B.J., Kim, D.H., Choi, H.I., Kee, W.S. and Park, K.H. (1996) 1;250,000 Explanatory note of the Daejeon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9p. 

  12. Lee, D.S., You, H.S., Woo, Y.K. and Kim, Y.J. (1989) Geological report of the Oksandong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4p. 

  13. Lee, J.-U., Chon, H.-T. and John, Y.-W. (199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eep granitic groundwater in Korea. Jour. Korean Soc. Groundwater Environ., v.4, no.4, p.199-211. 

  14. Lee, J.-U., Chon, H.-T. and John, Y.-W. (199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Korea with different aquifer geology and temperature-Comparative study with granitic groundwater. Jour. Korean Soc. Groundwater Environ., v.4, no.4, p.211-222. 

  15. Misra, A.K. and Mishra, A. (2007) Study of quaternary aquifers in Ganga Plain, India: Focus on groundwater salinity, fluoride and fluorosi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 v.144, no.1-2, p.438-448. 

  16. Mondal, D., Gupta, S.D., Reddy, D.V. and Nagabhushanam, P. (2014) Geochemical controls on fluoride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from alluvial aquifers of the Birbhum district, West Bengal, Indi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145, p.190-206. 

  17.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4) Basic Research of Groundwater in the Okcheon district. 

  18.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6) Basic Research of Groundwater in the Yeongdong district. 

  19. Reddy, D.V., Nagabhushanam, P., Sukhija, B.S., Reddy, A.G.S. and Smedley, P.L. (2010) Fluoride dynamics in the granitic aquifer of the Wailapally watershed. Chemical Geology, v.269, no.3-4, p.278-289. 

  20. Sajil Kumar, P.J., Jegathambal, P., Nair, S. and James, E.J. (2015) Temperature and pH dependent geochemical modeling of fluoride mobilization in the groundwater of a crystalline aquifer in southern Indi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156, p.1-9. 

  21. Satsangi, G.R., Lakhani, A., Khare, P., Singh, S.P., Kumari, S.S. and Srivastava, S.S. (2002) Measurement of ion concentrations in settled coarse particles and aerosols at a semiarid rural site in India. Environment International, v.28, no.1-2, p.1-7. 

  22. Saxena, V.K. and Ahmed, S. (2003) Inferring the chemical parameters for the dissolution of fluoride in groundwater. Environmental Geology, v.43, no.6, p.731-736. 

  23. Singaraja, C., Chidambaram, S., Anandhan, P., et al. (2014) Geochemical evaluation of fluoride contamination groundwater in the Thoothukudi District of Tamil Nadu, India. Applied Water Science, v.4, no.3, p.241-250. 

  24. Srinivasa Rao, N. (1977) The occurrence and behavior of fluoride in the groundwater of the Lower Vamsadhara River basin, Indi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42, no.6, p.877-892. 

  25. Tirumalesh, K., Shivanna, K. and Jalihal, A.A. (2007) Isotope hydrochemical approach to understand fluoride release into groundwaters of Ilkal area, Bagalkot District, Karnataka, India. Hydrogeology Journal, v.15, no.3, p.589-598. 

  26. Tiwari, S., Chate, D.S., Bisht, D.S., Srivastava, M.K. and Padmanabhamurty, B. (2012) Rainwater chemistry in the North Western Himalayan Region, India. Atmospheric Research, v.104-105, p.128-138. 

  27. Viswanathan, G., Jaswanth, A., Gopalakrishnan, S., Sivailango, S. and Aditya, G. (2009) Determining optimal fluoride concentration in drinking water for fluoride endemic regions in South Indi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407, no.19, p.5298-5307. 

  28. Youn, S.-T. and Park, H.-I. (1991) Gold and silver mineralization in the Yonghwa mine.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now Econ. Environ. Geol.), v.24, No.2, p.107-129. 

  29. Yun, S.-T., Chae, G.-T., Koh, Y.-K., Kim, S.-R., Choi, B.-Y., Lee, B.-H. and Kim, S.-Y. (1998) Hydrogeochemical and environmental isotope study of groundwaters in the Pungki area. Jour. Korean Soc. Groundwater Environ., v.5, no.4, p.177-191. 

  30. Yun, S.K. and Park, B.K. (1968)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eolcheon sheet (Sheet 6722 II,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5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