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습곡관련 구조요소들을 이용한 다양한 습곡축 측정방법의 실제적 적용성과 문제점: 충북 단양지역에서의 예
Various Measurement Methods for Fold-axis from Fold-related Structural Elements: An Example from Danyang,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2 no.2, 2021년, pp.175 - 184  

최호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연성변형구조인 습곡에서 습곡축의 자세는 3차원 습곡구조의 발달양상뿐만 아니라 변형 당시의 최대 수평주응력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습곡축의 자세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습곡축이 노출되는 경우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습곡과 관련된 구조요소들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측정방법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이들 방법들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같은 습곡에 대해 다른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습곡축들을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습곡구조가 잘 발달해 있는 충북 단양지역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층들과 평안누층군의 만항층에 걸쳐 6곳의 노두에서 습곡구조의 습곡축 자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다른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들도 대부분 서로 잘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 다양한 측정방법들의 실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단양지역의 습곡구조는 서북서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노두에서 모두 북-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보였으며, 이는 서북서-동남동 내지 북서-남동 방향의 최대수평주응력 환경에서 만들어진 습곡들로 판단된다. 서북서 방향의 습곡축은 다른 시기의 습곡작용을 지시하는 것으로 보이며, 북-북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습곡구조와 북동 방향의 습곡축을 가지는 습곡구조 사이의 주향 차이는 하나의 습곡작용에서 습곡구조의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생긴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증거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d axis of fold, a representative ductile deformation structure, is importan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3D fold structure and the orientation of max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at the time of deformation. For this reason, several fold axis measurement methods based on the fold-rel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자는 얇은 습곡날개에 비해 두꺼운 힌지를 가지는 유사 습곡(similar fold)의 형태로 많이 만들어진다 (Ramsay, 196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습곡들의 형성기작은 고려하지 않고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습곡들의 생성과정에서 함께 발달하는 구조요소들을 이용한 습곡축의 측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습곡구조를 연구할 때 습곡축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습곡축의 측정방법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연성 변형 지역에서 발달하는 구조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 이미 알려진 다양한 측정 방법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 습곡구조가 잘 관찰되는 충북 단양지역에서 이러한 다양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이를 서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측정방법의 실제적 활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 이미 알려진 다양한 측정 방법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 습곡구조가 잘 관찰되는 충북 단양지역에서 이러한 다양한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획득하고 이를 서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측정방법의 실제적 활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2). 이미 잘 알려진 방법들이지만 이러한 방법들에 대해 본 장에서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는 야외조사를 기반으로 단양지역 6곳의 노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습곡축의 자세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토론하였다. 과거 선행연구들에 의해 알려진 측정법들을 실제로 적용하며 문제점을 확인한 결과 실제로 노두에서 명확한 습곡축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층리면의 자세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습득과 가능한 많은 자료를 측정한 후 평균값을 통해 측정오차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가설 설정

  • 대규모의 습곡은 노출되지 않거나, 야외규모에서의 관찰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층리와 엽리의 교차선구조를 통해 습곡축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측정방법들을 이용하면 습곡축이 노출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습곡축에 대한 정보를 얻어 큰 규모의 지질구조를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야외노두에서 관찰할 수 있는 규모의 습곡구조들이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발달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따라서 습곡구조를 연구할 때 습곡축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습곡축의 측정방법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연성 변형 지역에서 발달하는 구조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ngtson, C.A., 1980, Structural uses of tangent diagrams. Geology, 8, 599-602. 

  2. Cho, M.-S. and Kim, H.-C., 2005, Metamorphic Evolution of the Ogcheon Belt, Korea: A Review and New Age Constraints. International Geology Review, 47, 41-57. 

  3. Cho, M.-J., Choi, Y.-S., Kang, P.-C., and Choi, K.-H., 1986, A study on structural analysis for the southern part of Taebaegsan Region. Researches on Coal Resources, KR-86-2-10, 239-279. 

  4. Chough, S.-K., Lee, D.-J., Lee, J.-H., Choh, S.-J., and Woo, J.-S., 2016, Comment on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ebaeksan Basin, Korea-revisited" by Lee, Y.-I., Choi, T., and Lim, H.-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961-9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wae, U.-C., Hong, S.-H., Lee, B.-J., Hwang, J.-H., Park, K.-H., Hwang, S.-K., Choi, P.-Y., Song, K.-Y., and Jin, M.-S.,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6. Cluzel, D., Cadet, J.P., and Lapierre, H., 1990, Geodynamics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183(1-4), 41-56. 

  7. Dennis, J.G., 1967, International tectonic dictionary.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7, 196. 

  8. Fossen, H., 2016, Structural G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3 p. 

  9. Groshong, R.H., 1999, 3-D Structural Geology. Springer, 324 p. 

  10. Hatcher, R.D. and Bailey, C.M., 2020, Structural G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34 p. 

  11. Jung, S.-H., Gwon, O.-S., Kim, T.-H., Sambit, P.N., Lee, J.-H., Son, H.-R., and Kim, Y.-S., 2020, Value of Geologic.Geomorphic Resources of Danyang-gun and Its Application from Geotourism Perspective, Economic and Enviromental Geology, 53, 1, 45-69. 

  12. Kang, J.-H., Hayasaka. Y., and Ryoo, C.-R., 2012,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 129-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O.-J., 1972, Precambrian geology and structures of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 231-242. 

  14. Kim, J.-H., 2005, Geological Formation of Korea. Sigma Press, Seoul, 307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H. and Koh, H.-J., 1992,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Korea Society of Economic&Environmental Geology, 25, 61-72. 

  16. Lee, Y.-I., Choi, T.-J., and Lim, H.-S., 2016,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rbaeksan Basin, Korea-revisite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52, 67-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Y.-I., Choi, T.-J., and Lim, H.-S., 2016, Reply to the comment on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rbaeksan Basin, Korea-revisited" by Lee, Y.-I., Choi, T.-J., and Lim, H.-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52, 969-9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Ramsay, 1967, Folding and Fracturing of Rocks. New York: McGraw-Hill, New York, 568 p. 

  19. Uhmb, T.-H., 2018, Deformation-induced right-side-up pseudo-stratigraphy in the early Paleozoic Joseon Supergroup of Southeastern Danyang area, South Korea. Paper of master degre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88 p. 

  20. van der Plunijm, B. A., Marshak, S., 2007, Earth structure second edition, WWnorton & colnc, 656 p. 

  21. Won, C.-G. and Lee, H.-Y., 1967, Geological map of the Danya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 9, 15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