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방분화가 유도된 3T3-L1 세포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서 보리순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Barley Sprout Young Leaf on 3T3-L1 Cell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5 no.6, 2017년, pp.367 - 374  

강병만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심미옥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김민석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유승진 ((주)예다손) ,  여준환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  정원석 (한약진흥재단 한약자원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 imbalance i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can cause obesity, which is a major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type 2 diabetes, insulin resistance, cancers and hyperlipidemia.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a wa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순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마우스 유래 3T3-L1 세포에서 지방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보리순의 분화유도 억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동물모델에서 보리순 추출물에 따른 지방 축적 및 혈장 내 지방질 함량과 당에 미치는 효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 분화 조절을 위해서 C/EBPα, PPARγ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방세포 분화 (adipogenesis)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는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가 있다(Roncari et al., 1981; Yang et al., 2008). 이러한 전사인자들의 발현은 지방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조직 내의 지방산 생성을 증가시키고 중성지방을 합성하여 지방축적을 초래한다 (Rosen and Macdougald, 2006). 그러므로, 지방분화 조절 위해서는 C/EBPα, PPARγ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체내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과다 섭취하거나 섭취된 에너지보다 적게 소비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체 내의 에너지 불균형의 상태를 말한다. 비만의 원인은 호르몬의 변화, 유전, 정신 건강 문제,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되어 있으며,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제 2 형 당뇨병, 각종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병원인으로 간주된다 (Jung et al.
비만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나? 비만은 체내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과다 섭취하거나 섭취된 에너지보다 적게 소비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체 내의 에너지 불균형의 상태를 말한다. 비만의 원인은 호르몬의 변화, 유전, 정신 건강 문제,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되어 있으며,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제 2 형 당뇨병, 각종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병원인으로 간주된다 (Jung et al., 2014; Se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hall KM, Scholfield DJ and Hallfrisch J. (2004). Lipids significantly reduced by diets containing barley in moderately hypercholesterolemic me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3:55-62. 

  2. Choi SI, Kwak H, Kim JY, Choi JG and Lee JH. (2015). Antiadipogenic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in 3T3-L1 preadipocyt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3:245-252. 

  3. German BJ, Xu R, Walzem R, Kinsella JE, Knuckles B, Nakamura M and Yokoyama WH. (1996). Effects of dietary fats and barley fiber on total cholesterol and lipoprotein cholesterol distribution in plasma of hamsters. Nutrition Research. 16:1239-1249. 

  4. Jung HA, Jung HJ, Jeong HY, Kwon HJ, Ali MY and Choi JS. (2014).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edibl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exert anti-adipogenic activity on 3T3-L1 adipocytes by downregulating C/ $EBP{\alpha}$ and $PPAR{\gamma}$ . Fitoterapia. 92:260-269. 

  5. Kim DC, Kim DW, Lee SD and In MJ. (2006). Preparation of barley leaf powder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734-737. 

  6. Kim DG, Kang MJ, Suh HW, Kwon OO and Shin JH. (2016). Effect of Acacia catechu extract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1107-1113. 

  7. Kim MK and Kim DY. (2015). Anti-inflammatory effect of barley leaf ethanol extract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2:735-743. 

  8. Kown OJ. (2016). Anti-adipogenic effect of mori follium extract in 3T3-L1 cell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31:47-53. 

  9. Mclntosh GH, Whyte J, McArthur R and Nestel PJ. (1991). Barley and wheat foods: Influence o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3:1205-1209. 

  10. Nagai H, Tanaka T, Goto T, Kusudo T, Takahashi N and Kawada T. (2014). Phenolic compounds from leaves of Casimiroa edulis showed adipogenesis activity.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78:296-300. 

  11. Newman RK, Newman CW and Graham H. (1989). The hypocholesterolemic function of barley ${\beta}$ -glucans. Cereal Foods World. 34:883-886. 

  12. Roncari DAK, Lau DC and Kindler S. (1981). Exaggerated replication in culture of adipocyte precursors from massively obese persons. Metabolism. 30:425-427. 

  13. Rosen ED and Macdougald O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7:885-896. 

  14. Seo KH, Kim YH, Lee YM, Ghosh M, Park KM, Park DH, Kim JS and Lim BO. (2017).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Ganoderma lucidum cultured on hulled barle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29-36. 

  15. Sim MO, Ham JR, Lee HI, Seo KI and Lee MK. (2014). Longterm supplementation of umbelliferone and 4-methylumbelliferone alleviates high-fat diet induced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glycemia in mice.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216:9-16. 

  16. Sim MO, Lee HI, Ham JR, Seo KI and Lee MK. (2015). Longterm supplementation of esculetin ameliorates hepato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partly by activating AdipoR2-AMPK pathway in diet-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Functional Foods. 15:160-171. 

  17. Son HK, Lee YM, Park YH and Lee JJ. (2016). Effect of young barley leaf powder on glucose control in the diabetic ra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7:19-29. 

  18. Yang JY, Della-Fera MA, Rayalam S, Ambati S, Hartzell DL, Park JH and Baile CA. (2008). Enhanced inhibition of adipogenesis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3T3-L1 adipocytes with combinations of resveratrol and quercetin. Life Sciences. 82:1032-1039 

  19. Yoon TS, Sung YY, Jang JY, Yang WK, Ji Y and Kim HK. (2010).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 from Saussurea lapp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51-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