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에서 최종 구매결정 지연 발생의 영향요인: 인지적 종결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Delay of the Final Purchase Decision in Online Shopping: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658 - 669  

이애리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  김도훈 ((주)핑거블랑) ,  김경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쇼핑 이용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쇼핑에서의 실 구매 전환 비율은 3%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시 최종 구매결정 지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불확실성 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인터넷 쇼핑 시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상황적 환경에 대한 대응 행동이 다를 수 있고,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구매 지연 발생 정도를 조절하는 현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온라인 쇼핑 시 최종 구매 결정 단계에서 소비자의 망설임과 구매 지연을 줄이고 구매 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online shopping has been increased expeditiously, a significant portion of purchasing intention has not been converted into actual purchasing behavior without delay in online sp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causing a delay in online purchasing decision even after purchasing intenti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인지적 종결욕구”라는 개인적 특성에 의해, 이들 요인이 구매결정 지연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지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에서 최종 구매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실무적으로 최종 구매 단계에서의 이탈을 줄이고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설문조사 실시 전 관련 분야의 교수 및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문항의 적정성 및 내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설문조사 전문기관을 통해 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의한 차이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성별 및 연령대별 표본이 고루 수집되도록 하였다. 또한 최근 사용자들이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종합쇼핑몰, 전문쇼핑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특정 쇼핑몰 사이트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주 이용 쇼핑몰 사이트 형태를 다양하게 포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에서 최종 구매결정 지연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 시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불확실성 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이 구매결정 지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것이다.
  • 한편, 심리적 불확실성과 선호 불확실성은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나 자신의 선호 및 기호에 적합한 제품을 잘 선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염려와 불확실성에 기인한 것으로서, 이들 두 가지 요소는 유사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 검증 과정을 통해 이들 측면이 별개의 변수로 구분되는지 검토하도록 한다
  • 또한 “인지적 종결욕구”라는 개인적 특성에 의해, 이들 요인이 구매결정 지연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지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구매결정 지연 발생을 낮추고 실 구매 전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에서 최종 구매결정 지연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 시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불확실성 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이 구매결정 지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인지적 종결욕구”라는 개인적 특성에 의해, 이들 요인이 구매결정 지연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지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1: 정보 불확실성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심리적 불확실성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선호 불확실성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시간 압박성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부정적 과거경험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불확실성 요인이 구매결정 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이다.
  • H4: 인지적 종결욕구 수준에 따라, 상황적 요인이 구매결정 지연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매결정 지연이란? “구매결정 지연” 또는 “구매 지연” 이란 제품을 탐색하기 시작하여 구매 의사를 가지고 선택한 후 바로 구매하지 않고 장바구니에 담는 행동과 필요한 정보들을 더 찾아보거나 비교하는 등 최종 구매 의사결정 단계에서 구매 행위를 지연시키고 미루는 것을 뜻한다. Cho et al.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현상을 보이는 이유는? 즉, 온라인 쇼핑몰에서 여러모로 살펴본 제품에 대해 바로 구매하지 않고 심지어 구매 의도를 가지고 장바구니에 담았던 제품에 대한 결제와 최종 구매를 미루는 구매 지연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 시에는 오프라인 매장처럼 제품을 직접 만지거나 보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염려와 품질 평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에 노출되는 인터넷 서핑 환경 상, 오프라인 매장 방문 때와 같이 쇼핑에만 집중할 수 없어 제품 선택에 심사숙고할 충분한 시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온라인 쇼핑에서의 구매결정 지연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 온라인 채널 이용 시 장점은? 더욱이 온라인 쇼핑에서는 다양한 상품 검색과 가격 비교가 용이하고, 주문부터 결제/배송에 이르는 프로세스가 비교적 간편하며, 안전 결제 및 고객지원 기능 강화 등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온라인 채널 이용 시 마케팅 및 부대비용 감소와 24시간 판매, 신속한 효과 측정 등의 장점이 있기에 온라인 쇼핑 채널을 활용하는 판매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 추세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낮은 구매 전환율은 기업들의 큰 고민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통계청, "온라인쇼핑몰 취급상품범위별 거래액," 온라인 쇼핑 동향 조사, 2017(8). 

  2. The Monetate E-Commerce Quarterly, "Conversion rates to add-to-basket/cart and sale," 2016. 

  3. 김도훈, 온라인 쇼핑 시 지각된 불확실성, 상황적 요인, 인지적 종결욕구가 구매지연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 C. H. Cho, J. Kang, and H. J. Cheon, "Online shopping hesita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9, No.3, pp.261-274, 2006. 

  5. C. K. Anderson and J. G. Wilson, "Wait or buy? The strategic consumer: Pricing and profit implications," Journal of the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Vol.54, No.3, pp.299-306, 2003. 

  6. A. G. Close and M. Kukar-Kinney, "Beyond buying: Motivations behind consumers' online shopping cart us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3, No.9, pp.986-992, 2010. 

  7. M. Hsu, M. Bhatt, R. Adolphs, D. Tranel, and C. F. Camerer, "Neural systems responding to degrees of uncertainty in human decision-making," Science, Vol.310, No.5754, pp.1680-1683, 2005. 

  8. 김종욱, 서상혁, "인터넷 소비자의 구매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407-426, 2014. 

  9. K. Buhr and M. J. Duga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er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0, No.8, pp.931-945, 2002. 

  10. 이은진, 정욱환, "인터넷 쇼핑몰 유형별 패션 소비자의 불확실성, 후회경험 및 부정적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5권, 제5호, pp.763-776, 2013. 

  11. J. B. Schmidt and R. A. Spreng, "A proposed model of external consumer information searc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4, No.3, pp.246-256, 1996. 

  12. O. Svenson and A. J. Maule, Time pressure and stress in huma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New York: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1993. 

  13. P. A. Pavlou and D. Gefen, "Building effective online marketplaces with institution-based trus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5, No.1, pp.37-59, 2004. 

  14. M. F. Luce, "Choosing to avoid: Coping with negatively emotion-laden consumer deci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409-433, 1998. 

  15. S. Ram,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4, pp.208-212, 1987. 

  16. D. M. Webster and A. W. Kruglanski, "Individual differences in need for cognitive cl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6, pp.1049-1062, 1994. 

  17. D. Andrews, "The interplay of information diagnosticity and need for cognitive closure in determining choice confidence," Psychology & Marketing, Vol.30, No.9, pp.749-764, 2013. 

  18. R. Kivetz and I. Simonson, "Earning the right to indulge: Effort as a determinant of customer preferences toward frequency program rewar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9, No.2, pp.155-170, 2002. 

  19. 김남희, 천성용, 이은재, "지각된 위험과 인지종결 욕구가 가격 비교 사이트의 최저 가격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6호, pp.145-165, 2014. 

  20. 이성수, "구매 시 지각된 위험과 정보탐색의 관계에서 소비자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종결욕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78-379, 2008. 

  21. C. G. Kim, "The Impact of Knowledge Level and Need for Closure and on Overall Evaluations: Considering the Moderating Role of Situational Severity," Korea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ol.10, No.4, pp.115-131, 2009. 

  22. D. C. Houghton and R. Grewal, "Please, Let's Get an Answer. Any Answer: Need for Consumer Cognitive Closure," Psychology and Marketing, Vol.17, No.11, pp.911-934, 2000. 

  23. R. Dhar and S. M. Nowlis, "The effect of time pressure on consumer choice deferra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5, No.4, pp.369-384, 1999. 

  24.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fifth ed.), NY: Macmillan, 1998. 

  25. T. J. Hess, M. Fuller, and D. E. Campbell, "Designing interfaces with social presence: Using vividness and extraversion to create social recommendation agent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10, No.12, pp.889-919, 2009. 

  26. D. Gefen, D. Straub, and M. 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4, No.1, pp.1-77, 2000. 

  2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28. W. W. Chin, B. L. Marcolin, and P. R. Newsted,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voice mail emotion/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4, No.2, pp.189-217, 2003. 

  29. S. Akter, J. D'Ambra, and P. Ray, "Trustworthiness in m-Health information services: an assessment of a hierarchical model wi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2, No.1, pp.100-116, 2011. 

  30. W. W. Chin, How to write up and report PLS analyses, In Handbook of Partial Least Squares: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 Esposito Vinzi, V.; Chin, W.W.; Henseler, J.; Wang, H. (Eds.), Springer, Germany, pp.645-689, 2010. 

  31. K. K. Kim, N. S. Umanath, J. Y. Kim, F. Ahrens, and B. S. Kim, "Knowledge complementarity and knowledge exchange in supply channel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2, No.1, pp.35-4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