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 가치 특성이 구매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hopping Valu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3 no.1, 2017년, pp.147 - 158  

전병호 (서울여자대학교 기초교육원) ,  최재웅 (부천대학교 e-비즈니스과) ,  김재영 (고려대학교 융합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net is changing the way consumers shop and buy goods and services, and has rapidly evolved into a global phenomen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line shopping value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Economic value, emotional valu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온라인 쇼핑 가치가 구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별, 연령 및 소득의 개인 속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개인의 특성보다는 실질적 요인인 성별, 연령, 소득의 관점에서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고객 충성도 증가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전략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기존의 연구들이 온라인 쇼핑 구매 만족을 공급자의관점에서 분석한 데 비해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관점인 온라인 쇼핑 가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동기가 구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개별 속성인 성별, 소득, 연령에 따라 다른지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둘째, 온라인 쇼핑 가치가 구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별, 연령 및 소득의 개인 속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개인의 특성보다는 실질적 요인인 성별, 연령, 소득의 관점에서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 즉 온라인 쇼핑동기를 공급자 측면이 아닌 소비자 측면에서의 쇼핑가치가 구매 만족과 향후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연구들의 실용적 동기를 경제적 가치와 편의적 가치로 세분화하였으며 쾌락적 동기 뿐 아니라 사회적 동기와 제품 다양성을 추가하여 차별화를 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급자의 관점이 아닌 소비자인 관점인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가치 관점에서 온라인 쇼핑 구매 만족과 재이용 의도를 분석하고, 또한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의 개별 속성인 성별, 연령, 소득의 관점에서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쇼핑몰이 고객 충성도 확대를 위한운영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경제적 가치, 편의적 가치, 제품 다양성, 감성적, 가치의 관점에서 온라인 쇼핑구매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온라인 쇼핑 동기 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에 대한 구매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과 변수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과 같이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소비자의 쇼핑 동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온라인 쇼핑 동기를 경제적 가치, 감성적 가치, 편의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제품 다양성의 관계로 설정하였다.
  •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온라인 쇼핑몰의 서비스품질 측면이나 환경특성 관점에서 구매 만족을 분석한 것과 달리 소비자의 쇼핑가치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즉 온라인 쇼핑동기를 공급자 측면이 아닌 소비자 측면에서의 쇼핑가치가 구매 만족과 향후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연구들의 실용적 동기를 경제적 가치와 편의적 가치로 세분화하였으며 쾌락적 동기 뿐 아니라 사회적 동기와 제품 다양성을 추가하여 차별화를 꾀하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들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문제, 즉 온라인 쇼핑 구매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쇼핑 가치의 측면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온라인 쇼핑몰의 서비스품질 측면이나 환경특성 관점에서 구매 만족을 분석한 것과 달리 소비자의 쇼핑가치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한편 온라인 쇼핑 가치가 구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비자 특성 변수인 성별, 연령, 소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성별과 연령 간에 쇼핑 인식과 동기가 다른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쇼핑 동기란? 쇼핑 동기는 본질적으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쇼핑 행동 속에 담겨 있는 활동, 관심, 의견과 관련된 기본 토대로 정의할 수 있다[6]. 즉 소비자의 쇼핑 동기는 욕구 충족을 위한특정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 이유를 말하는 것으로[7],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내적인 욕구를 행동으로 옮기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8].
온라인 쇼핑몰의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가 제품구색의 다양성인 이유는? 온라인 쇼핑몰의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가 제품구색의 다양성이다[16]. 즉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채널에 비해 다양한 제품을 한자리에서 모두 쉽게 비교하고 구매하는 것을 선호한다[17]. 즉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제품다양성이 온라인 구매자들의 구매결정의 중요한 속성이 되는 것이다.
고객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장 고려해야 할 요인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객의충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고객 충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온라인 고객관리, 서비스 품질 요인 등의공급자 측면의 요인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소비자의 동기이다[4]. 즉 소비자의 쇼핑 동기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핵심요인 중 하나로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MC Media, "2016 쇼핑 시장의 현황과 전망," DMC 리포트, 2016. 

  2. 통계청, "통계로 본 온라인 쇼핑 20년," 통계청, 2016. 

  3. 고준. 최수정.안백성,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고객충성도의 결정요인 - 인터넷 쇼핑과 모바일 쇼핑의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2015, pp.486-500. 

  4. 문윤지, "소비자 쇼핑가치가 온라인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2016, pp.349-356. 

  5. 원성빈.손증군,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2016, pp.71-80. 

  6. Stone, G. P., "City shoppers and urban identification: observations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ity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60, No. 1, 1954, pp.36-45. 

  7. 서문수.박세운.신철, "중국소비자의 쇼핑동기가 e-스토어 속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3호, 2009. pp.1487-1511. 

  8. Tauber E. M., "Why do people shop?," The Journal of Marketing, Vol.36, No.4, 1972, pp.46-49. 

  9. 진천혜.회우진, "온라인 쇼핑 참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중비교연구 - C2C와 B2C 거래 유형의 차이 분석,"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1호, 2016, pp.293-316. 

  10. Sweeney, J.C. and Geoffrey N. Soutar,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Vol.77, No.2, 2001, pp.203-220. 

  11. Pihlstrom, M., and Gregory J. Brush, "Comparing the perceived value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mobile services," Psychology and Marketing, Vol.25, No.8, 2008, pp.732-755. 

  12. Dlodlo N., "Developing an online shopping value framework for consumers of non-store fashion brands," International Business & Economics Research Journal, Vol.13, No.6, 2014, pp.1359-1374. 

  13. B. J. Babin, W. R. Darden, and M. Griffin,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4, 1944, pp.644-656. 

  14. Meuter, M.L., Amy L. Ostrom, Mary J. Bitner and Robert Roundtree,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6, No.11, 2003, pp.899-906. 

  15. Zhang, X. and Victor R. Prybutok, "TAM: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Online Shopping," Journal of International Technology, Vol.12, No.2, 2005, pp.99-118. 

  16. Ganesh, J., K. E. Reynolds, M. Luckett and N. Pomirleanu, "Online Shopper Motivations, and e-Store Attributes: An Examination of Online Patronage Behavior and Shopper Typologies," Journal of Retailing, Vol.86, No.1, 2010, pp.106-115. 

  17. 이성호, "온라인 해외직접구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 15권, 제6호, 2014, pp.39-55. 

  18. Holbrook, M. B. and E.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2, 1982, pp.132-140. 

  19. Wong, Y. T., S. Osman, A. Jamaluddin, B. C. Yin-Fah, "Shopping motives, store attributes and shopping enjoyment among Malaysian youth,"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9, No.2, 2012, pp.240-248. 

  20. Childers, T. L., Carr, C. L., J. Peck, and S. Carson,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for Online Retail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Vol.77, 2001, pp.511-535. 

  21. M. Seraj, "We create, we connect, we respect, therefore we are: Intellectual, social, and cultural value in online communiti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26, No.4, 2012, pp.209-222. 

  22. A. Humphreys, Co-producing experience, in Medill on Media Engagement, Edward Malthouse and Abe Peck(Eds.), Pine Forge Press, New York, 2010. 

  23. 이제홍, "미국제품 쇼핑만족도에 따른 해외직접 구매 의도 및 타인추천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제12권, 제3호, 2016, PP.456-476. 

  24. 이성호.한상린, "해외직접구매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2015, pp.259-281. 

  25. Xie, Y., Peng, S., "How to repair customer trust after negative publicity: The roles of competence, integrity, benevolence, and forgiveness," Psychology & Marketing, Vol.26, No.7, 2009, pp.572-589. 

  26. 박철.전종근.이태민, "모바일 쇼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미국, 일본 4개국 비교," 국제경영연구, 제26권, 제2호, 2015, pp.99-128. 

  27. 전병호, "사용자 편익과 맞춤화가 스마트뱅킹 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6, pp.135-143. 

  28. 전병호.최재웅, "폐쇄형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5, pp.197-207. 

  29. 이종만.박한수.조현달, "국내 대학생과 중.몽골 유학생들의 인터넷 쇼핑몰 만족도에 미치는 서비스 품질요인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8권, 제3호, 2012, pp.213-228. 

  30. Howell, J. M. . & Higgins, C. A., "Champ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5, No. 2, 1990, pp. 317-341. 

  31. Hair, J. A.,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Multivariate data analysis(5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32.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94. 

  33. Fornell, C. & Lacker, D. 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2, 1981, pp. 39-50. 

  34. 김계수, SmartPLS 이용 쉬운 구조방정식모델, 청람,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