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한 중독 환자의 분석
Analysis of Poisoning Patients Using 2016 ED Based Injury in-depth Surveillance Data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5 no.2, 2017년, pp.86 - 93  

정성필 (연세의대 응급의학교실) ,  이미진 (경북의대 응급의학교실) ,  강형구 (한양의대 응급의학교실) ,  오범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  김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응급의학과) ,  전병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경환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ome advanced countries have reported annual statistics for poisoning based on data from poison control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baseline format and statistics of poisoning in Korea from a national representative database.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 중에서 2016년도 중독에 해당하는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사업은 2006년 5개 병원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23개 병원으로 확대되었다.
  • 그러나 미국의 NPDS처럼 매년 일정한 양식의 보고를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23개 병원에서 매년 수집되는 응급실 기반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독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매년 보고 가능한 형식을 만들어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경우 몇개의 중독관리센터가 운영되고 있는가? 중독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중독관리센터(poison control center, PCC)의 운영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현재 55개의 PCC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의료인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중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983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발간되는 중독 관련 National Poison Data System (NPDS) 연례보고서는 중독 원인이나 치료 추세의 변화에 대해서도 보여주고 있으며, 독성 물질의 조기 발견 및 중독의 예방, 교육, 임상 연구, 독성 물질의 생산 및 판매 규제 등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유독성 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노출에 의한 사망자의 비율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중독과 관련한 국가 차원의 통계는 정확하지 않다. 2015년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보면 유독성 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노출에 의한 사망은 10만명당 0.4명이라고 한다1). 그러나 이 결과는 고의적 자해가 제외된 것이다.
2016년 23개 응급실에 내원한 중독 환자들의 수와 그 남녀 비는 얼마인가? 2016년 23개 응급실에 내원한 중독 환자들은 총 7,820명으로 남자 3,661명, 여자 4,159명으로 남녀 비는 1:1.13이었다. 20세 이상의 성인이 84%를 차지하였으며, 대상 환자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는 Table 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 of 2015 statistics for death reason.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356345. 

  2. Shin SD, Suh GJ, Rhee JE, Sung J, Kim J.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Death by Poisoning in 1991-2001 in Korea. J Korean Med Sci 2004;19:186-94. 

  3. Park JK, Chung SP, Kim SH, Yoo IS, Park JS, Yoo JH, et al. The Toxic Exposure Patients of Daejon Province by Modified TESS Style.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4;2:1-6. 

  4. Choi WY, Kim HJ, Na JY, Lee SJ, Lee YJ, Park JT, et al. Analysis of Death due to Poisoning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as. Korean J Leg Med 2016;40:72-7. 

  5. Oh BJ, Kim W, Cho GC, Kan HD, Shon YD, Lee JH, et al. Research on poisoning data collection using toxic exposure surveillance system: retrospective preliminary surve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6;4:32-43. 

  6. So BH, Lee MJ, Kim H, Moon JM, Park KH, Sung AJ, et al. 2008 Database of Korean Toxic Exposures: A Preliminary Stud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0;8:51-60. 

  7. Sung AJ, Lee KW, So BH, Lee MJ, Kim H, Park KH, et al. Multicenter Survey of Intoxication Cases in Korean Emergency Departments: 2nd Annual Report, 2009.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2;10:22-32. 

  8. Kim SJ, Choa MH, Park JS, Lee SW, Hong Y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oxic Substance/poison Exposure Data that Collected from Pre-hospital Telephone Response and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4;12:1-7. 

  9. Mowry JB, Spyker DA, Brooks DE, Zimmerman A, Schauben JL. 2015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National Poison Data System (NPDS): 33rd Annual Report. Clin Toxicol (Phila). 2016;54:924-1109. 

  10. Cho MK, Kim YW, Lee KR, Lee KW, Lee JY, Cho GC,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tentional Carbon Monoxide Poisoning.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2;10:73-9. 

  11. Choi BH, Jeon J, Ryoo SM, Seo DW, Kim WY, Oh BJ, et al. Recent Epidemiologic Features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in Korea: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2;10:80-5. 

  12. Bae S, Lee J, Kim K, Park J, Shin D, Kim H, et al.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Emergency Department Based Injury In-depth Surveillance of Twenty Hospital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6;14:122-8. 

  13. Kim K, Choi JW, Park M, Kim MS, Lee ES. A nationwide study of patients hospitalised for poisoning in Korea based on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 from 2005 to 2009. BMJ Open 2015;5:e008823. 

  14. Ko DR, Chung SP, You JS, Cho S, Park Y, Chun B, et al. Effects of Paraquat Ban on Herbicide Poisoning-Related Mortality. Yonsei Med J 2017;58:859-66. 

  15. Lee JW, Hwang IW, Kim JW, Moon HJ, Kim KH, Park S, et al. Common Pesticides Used in Suicide Attempts Following the 2012 Paraquat Ban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5;30:1517-21. 

  16. Kim HJ, Kim YW, Kim H, Park CB, So BH, Lee KR, et al. Comparison between Emergency Patient Poisoning Cases and the Tox-Info System Database.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2;10:8-14. 

  17. Kim SJ, Chung SP, Gil HW, Choi SC, Kim H, Kang C, et al. The Poisoning Information Database Covers a Large Proportion of Real Poisoning Case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6;31:1037-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