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럭토올리고당 첨가가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extur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6, 2017년, pp.1310 - 1318  

김영호 (혜전대학교 제과제빵학과) ,  박주연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bread and rheology of flour dough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In the farinogram test, addi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changed stability and development time. Stability and development time increased as the amount of fructooligosacchar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그동안 제빵의 원료 주요 감미제로 사용해 오던 설탕을 대체하여 기능성 당으로 알려진 프럭토올리고당을 식빵 제조 시 첨가하여 반죽의 특성과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럭토올리고당은 무엇인가? 그러나 한편으로는 설탕의 과잉 섭취로 의하여 비만,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가져오고 충치를 발생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면이 근래에 크게 부각되고 있어, 설탕이 가진 이러한 부정적인 면을 개선하고, 설탕의 장점만을 지닌 새로운 감미 소재가 프럭토 올리고당이다(Kim 등 2002). 프럭토올리고당은 Aspergillus niger 또는 Aureobasidium pullulans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과당 전이 효소 β-fructofuranosidase을 설탕에 작용시켜서 설탕의 프럭토스 잔기에 1~3분자의 프럭토스를 β-결합시킨 올리고당이다(Kim 등 1995). 대부분의 당질이 체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하여 단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는데 비하여 프럭토올리고당은 인체의 장내 특히 소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하여 장내에서 유익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의 생육인자, 혈중콜레스테롤 개선, 저충치성, 식이섬유소로서의 기능, 면역력강화 등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갖는 감미제이다(Hitaka H 1983; Hojo 등 1983; Hover DG 1993; Ishibash 등 1993; Heo KT 1995).
설탕의 장점만을 지닌 새로운 감미 소재인 프럭토 올리고당의 장점은? 프럭토올리고당은 Aspergillus niger 또는 Aureobasidium pullulans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과당 전이 효소 β-fructofuranosidase을 설탕에 작용시켜서 설탕의 프럭토스 잔기에 1~3분자의 프럭토스를 β-결합시킨 올리고당이다(Kim 등 1995). 대부분의 당질이 체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하여 단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는데 비하여 프럭토올리고당은 인체의 장내 특히 소장에서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하여 장내에서 유익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의 생육인자, 혈중콜레스테롤 개선, 저충치성, 식이섬유소로서의 기능, 면역력강화 등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갖는 감미제이다(Hitaka H 1983; Hojo 등 1983; Hover DG 1993; Ishibash 등 1993; Heo KT 1995). 이러한 기능성을 가진 올리고당을 이용한 식품 관련 연구로서는 올리고당의 첨가가 케익의 품질과 노화에 미치는 영향(Kim YA 1998), 올리고당 첨가 가래떡의 텍스쳐 변화와 노화 억제에 대한 연구(Chung HY 등 2012a), 프럭토올리고당과 유화제 혼합사용 가래떡의 텍스쳐 특성(Chung HY 등 2012b), 올리고당을 사용한 스폰지케익의 물리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Lee KA 등 1999), 프럭토올리고당이 김치숙성에 미치는 영향(Park MK 등 2002) 등 올리고당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프럭토올리고당을 첨가한 빵의 물성과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감미제는 어떤 기능을 갖는 가? 빵, 과자 제품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미제는 풍미, 안정제, 발효조정, 이스트의 영양원 및 향과 색깔을 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 설탕(sucrose)은 자체의 뛰어난 감미의 질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식품가공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감미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ACC. 1985.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pproved Method. The Association st. Paul, Minn. sec 54-21 

  2. AACC. 1985.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pproved Method. The Association st. Paul, Minn. sec 54-10 

  3. Ahn JW, Hong SS, Park Kw, Sea JH. 1996. Reaction mode of transglucosidase from Aspergillus niger for produc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3-278 

  4. Chung HY, Sang SK, 2012a. Texture profil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with addition of oligosacchari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33-538 

  5. Chung HY, Kim SS. 2012b. Texture and descriptiv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emulsifi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23-828 

  6. Heo KT. 1995. Physiological effects of oliogosaccharides. Food Sci Industry 28:24-28 

  7. Hitaka H. 1983. Functions of fructooligosaccharides. Food Sci Industry 27:25-28 

  8. Hojo S, Matsukubo T, Miyake Y, Takaesu Y. 1983. Sugar composition and dental plagueformong potential of snack foods. J Japan Soc Nutr Food Sci 36:25-28 

  9. Hoseney RC. 1986. Principles of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pp.94-95.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10. Hover DG. 1993. Bifidobacteria-Activity and potential benefits. Food Tech 43:120-124 

  11. Ishibash N, Shimamura S. 1993. Bifidobacteria-research and development in Japan. Food Tech 35:12-134 

  12. Kim JR, Yook C, Kwon HK, Hong SY, Park KH. 1995. Physical and physiological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170-175 

  13. Kim SK, Cho NJ, Kim YH. 1999. Baking Science for Breadmaking. pp. 97, B&C World, Seoul, Korea 

  14. Kim SK, Cho NJ, Kim YH. 2009. Baking science for breadmaking. pp. 103-105. B&C World, Seoul, Korea 

  15. Kim YA. 1998.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on quality and staling of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875-880 

  16. Kim YJ, Lee JH, Chung KC, Lee SK, 2014. Effect of trehalose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flour dough. Kor J Food Sci Technol 46:341-346 

  17. Kim YH, Cho NJ. 2002. Baking Ingredient for Bread-making. pp.113-114. B&C World Seoul, Korea 

  18. Koo NS, Kim HS, Shin MS, Lee KA. 2001. Food Chemistry. pp.27. Kyomumsa, Seoul, Korea 

  19. Lee KA. Yoon JL, Ly SY. 1999. Effects of oligosaccharides on physical,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547-553 

  20. Mogoffin CD, Hoseney RC. 1974. A review of fermentation. Baker's Digest 48:22-29 

  21. Mplis C, Flourie B. Ouarne F, Gailing M, Lartigue S, Guigert A, Bornet F, Galmiche J. 1996. Digestion, excretion, and energy value of fructooligosaccharides in heathy humans. Am J Clin Nutr 64:324-328 

  22. Park MK, In MJ, Jung YC. 2002.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chlorella powder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760-764 

  23.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stry Test Methods. vol. II, In Baking Science and Techology. pp.891-895. Sosland Publishing Co. Kansas. USA 

  24. Tomomatus H. 1994. Healthy effects of oligosaccharides. Food Tech 48:61-65 

  25. Tong Q, Zhang X, Wu F, Tong J, Zhang P, Zhang J. 2010. Effect of honey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Food Res Int 43:2284-22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