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 설계
The Design of Dashboard for Instructor Feedback Support Based on Learning Analytic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6, 2017년, pp.1 - 15  

임성태 (충북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김은희 (충북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이러닝지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해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대시보드를 설계하여 교수자 관점에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교수자가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대시보드는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에서 적용된 LMS의 교육적 활용 데이터를 근거로 설계되었다. 총 2회에 걸쳐 8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육공학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대시보드 설계 전반에 대해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여 수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설계된 최종 대시보드 화면은 종합분석 대시보드, 학습자분석 요약 대시보드, 추천 피드백 안내 대시보드로서 크게 3부분이 있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로그인 분석 대시보드, 학습정보확인 분석 대시보드, 강의자료학습 분석 대시보드, 과제/시험 분석 대시보드, 게시글 분석 대시보드 화면으로 총 8개의 대시보드로 구성된다. 모든 대시보드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학습분석학 기반의 분석 정보 및 데이터에 따라 적합한 그래프 유형 및 표로 시각화 기법을 통해 적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dashboard for instructor feedback support based on learning analytics and to apply a LMS dashboard incorporating such taxonomy which allows an instructor to give a student personalized feedback according to the class content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자가 학습자 개인별로 적합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된 학습분석학 기반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김은희, 변호승, 2017)를 LMS의 대시보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한다.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를 대시보드에 적용함에 있어 교수자 관점에서 개별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교수자가 즉각적으로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증진 및 학습 촉진에 지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업의 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자가 학습자 개인별로 적합한 피드백을 주기 위한 학습분석학 기반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를 LMS의 대시보드 형태로 설계하는데 있다. 따라서 연구의 배경이 되는 교수자 피드백, 학습분석과 대시보드 및 데이터 시각화 분야 관련 선행 연구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를 대시보드로 설계하여 교수자 관점에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교수자가 즉각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로 종합분석 대시보드, 학습자분석 요약 대시보드, 추천 피드백 안내 대시보드로 크게 3부분이 있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로그인 분석 대시보드, 학습정보확인 분석 대시보드, 강의자료학습 분석 대시보드, 과제/시험 분석 대시보드, 게시글 분석 대시보드 화면으로서 총 8개의 대시보드로 구성된다.
  • 본 연구에서는 개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와 학습수행도에 대한 데이터 시각화 처리를 위해 아래와 같은 의 데이터 유형별 시각화 기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 UNESCO IITE(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ies in Education)의 Learning Analytics(2012) 보고서에서 분류한 학습분석학의 주요 6가지 영역에는 학습분석 대시보드(learning analytics dashboards),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tics), 적응형 학습분석(adaptive learning analytics),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tics), 담화 분석(discourse analytics),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활용한 평가(Assessment using ICT) 영역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역 중 학습분석 대시보드 영역에 초점을 두고자 하며,학습분석 대시보드는 학습 관련 데이터를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하여 이 결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폭넓게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와 관련된 해외 사례로 Perdue University에서는 학습분석을 기반으로 LMS상에서 학습자의 활동을 대시보드 형태로 보여주는 Course Signals(CS) 개발을 통해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중도 탈락을 예방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자가 학습자 개인별로 적합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된 학습분석학 기반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를 반영하여 대시보드를 설계하는 데에 있다. 교수자 관점에서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활용하기 위해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자가 학습자 개인별로 적합한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된 학습분석학 기반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김은희, 변호승, 2017)를 LMS의 대시보드 형태로 설계하고자 한다.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를 대시보드에 적용함에 있어 교수자 관점에서 개별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교수자가 즉각적으로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증진 및 학습 촉진에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대시보드는 기존의 통계 분석 위주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 형태와 달리 교과목 특성과 학습자 특성이 고려된 학습분석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추천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환 된다고 할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시각화란?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과정에서 데이터 유형별 시각화 적용은 매우 중요하다. 데이터 시각화란,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를 단순화 시켜서 텍스트보다 많은 정보를 담아 여러 정보들 간의 관계를 도식화 하는 것을 말한다(허균, 2006). 학습분석관점에서의 데이터 시각화는 교수자가 학습자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학습자의 온라인 활동을 포함하여 다른 학습자와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보여줌으로써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언급하였다(Duval, 2011).
학습분석은 무엇에 목적을 두고있는가? 최근 대학에서는 교수-학습의 향상을 위해 학습분석(Learning Anaytics)을 기반으로 교육성과를 해석하고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학습분석은 “교육적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여 이전의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자기 성찰 등의 행동을 촉진하고, 교수-학습활동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둔다(Dyckhoff, Zielke, Bültmann, Chatti, & Schroeder, 2012).” 교수자 관점에서의 학습분석은 학습자의 맥락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개별화 학습과 맞춤형 피드백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학습분석은 교육적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적 처방을 가함으로써 학습성과를 통제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하는데, 이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학습분석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만 국한하지 않으며, 교육적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적 처방을 가함으로써 학습성과를 통제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한다(Elias, 2011). 이는 학습을 촉진하고 교육적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으로 데이터마이닝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은희, 변호승 (2017). 학습분석학 기반의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 개발. 교육공학연구, 33(3), 741-772. 

  2. 김선희, 임철일 (2016). 디지털 매체 활용 포럼연극 수업설계의 개념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2(3), 453-486. 

  3. 나리리. (2015). 웹 기반 토론 학습에서 시각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 나일주, 임철일, 조영환 (2015). 학습분석 모델 및 확장 방안 연구. 창조 경제 비타민 L프로젝트 위탁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5. 박연정 a, 조일현 (2014).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교육공학연구, 30(2), 221-258. 

  6. 박연정 b, 조일현 (2014). 학습 분석학 기반 대시보드의 설계와 적용.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 191-216. 

  7. 성은모.진성희.유미나 (2016).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 데이터 탐색 연구. 교육공학연구, 32(3), 487-533. 

  8. 신종호?최재원?고욱 (2015). 대학교육에서 학습분석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수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1(2), 223-252. 

  9. 이용숙 (2009). 분류체계. 성분분석법 재개발 실행연구. 열린교육연구, 17, 99-128. 

  10. 이지현 (2013).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 피드백 설계 원리 및 전략에 대한 이론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517-540. 

  11. 이효정 (2015).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5(3), 377-400. 

  12. 진성희, 유미나 (2015).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연구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2), 185-213. 

  13. 허균 (2006). ICT 활용교육에서 교수 학습자료 제작을 위한 시각화 전략 탐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169-191. 

  14. Duval, E. (2011). Attention please!: Learning analytics for visualization and recommendatio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Analytics and Knowledge, pp. 9-17. 

  15. Dyckhoff, A. L., Zielke, D., Bultmann, M., Chatti, M. A., & Schroeder, U.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analytics toolkit for teacher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5(3), 58-76. 

  16. Elias, T. (2011). Learnig analytics: Definitions. process and potential. Learning, 23, 134-148. 

  17. Few, S. (2006). Information dashboard design. Sebastopol , CA: O'Reilly Media, Inc. 

  18. Few, S. (2013). Information dashboard design: Displaying data for at-a-glance monitoring (2nd ed.). Burlingame, CA: Analytics Press. 

  19. Fulantelli, G., Taibi, D., & Arrigo, M. (2013). A semantic approach to mobile learning analytic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ical Ecosystem for Enhancing Multiculturality, pp. 287-292. 

  20. Greller, W., & Drachsler, H. (2012). Translating learning into numbers: A generic framework for learning analytic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5(3), 42?57. 

  21. Mazza, R., & Dimitrova, V (2007). CourseVis: A graphical student monitoring tool for supporting instructors in web-based distance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5(2), 125-139. 

  22. Park, Y., & Jo, I. (2015). Development of the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J .Ucs, 21(1), 110-133. 

  23. Parson, R. (1997). An investigation into instruction available on the world wide web. master of education research project. Universidad De Toronto. 

  24. Shum, S. B., & Ferguson, R. (2012). Social learning analytic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5(3), 3-26. 

  25. Siemens, G., & Long, P. (2011). Penetrating the fog: Analytics in learning and education. EDUCAUSE Review, 46(5), 30. 

  26. Smith, V. C., Lange, A., & Huston, D. R. (2012). Predictive modeling to forecast student outcomes and drive effective interventions in online community colleg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16(3), 51-61. 

  27. UNESCO IITE(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ies in Education). (2012) Learning Analytics Report. http://iite.unesco.org/resources 

  28. Verbert, K., Duval, E., Klerkx, J., Govaerts, S., & Santos, J. L. (2013).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application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00027642134793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