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Rubric for Assessing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s and Programming Ability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6, 2017년, pp.27 - 36  

김재경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컴퓨팅 사고 과목은 초 중등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고등 교육과정에서도 필수 영역으로 개설하고 있다. 특히 고등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컴퓨팅 사고의 개념을 전공 분야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융합 인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목표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와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팅 사고 과목을 개념 교육과 프로그래밍 실습 교육의 두 가지 관점으로 평가하는 루브릭을 개발하고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고 이론과 실습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제안 루브릭은 고등 교육과정의 컴퓨팅 사고 개념 및 실습 학습을 평가하기 위하여 컴퓨팅 사고의 세부 요소를 4개의 분류 및 8가지의 항목으로 구성한 두 개의 루브릭을 정의하였다. 또한 제안 루브릭을 대학교 컴퓨팅 사고 관련 교양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a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is being introduced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curriculums.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a creative talent built on converge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various major fields. However, proper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mputational thi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교 정규 수업의 산출물에 제안 루브릭을 적용한 결과, 컴퓨팅 사고의 추상적 개념에 대한 학습도와 구체적 프로그래밍 구현 역량을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두 루브릭 간의 대응되는 항목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서 이론적 개념이 실제 기술로서 잘 습득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렇지 못한 경우 원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개설 수업에서 보완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사고의 개념과 실습에 대한 학습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두 단계로 구성된루부릭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제안 루브릭은 CollegeBoard의 Computational Thinking Practices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대학교 신입생의 이론과 실습 교육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이와 같은 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컴퓨팅 사고를 평가하도록 한다. 첫째, 컴퓨팅사고의 기본 개념을 학습자가 숙지하였는지 측정하고, 둘째, 컴퓨팅 사고 개념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표현되었는지를 측정한다.
  • 이 프레임워크는 2장에서 언급한 두 가지 개선점을 반영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컴퓨터과학의 이론적인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컴퓨팅 산출물(computational artifacts)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컴퓨팅사고 실습(Computational Thinking Practices)’이라는 제목처럼 사고와 실습 교육을 모두 고려한 교육과정을 목표로 한다.
  • 추가적으로 그룹별 문제 해결을 위한 구성원간의 소통(communication)과 협업(collaborating)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단순히 산출물에 대한 평가를 벗어나, 프로젝트 수행에 필수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컴퓨팅 사고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의 컴퓨팅 사고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대학 교양 수업에서 소프트웨어 비관련 전공자(이하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의 이론적인 개념을 교육한다. 나아가 학습자가 컴퓨팅 사고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한 개념이 단지 이론으로 그치지 않고 당면한 문제에 적용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컴퓨팅 기술로 습득하도록 한다.
디지털 문해력은 무엇인가? Wing[1]은 컴퓨팅 사고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컴퓨터 과학자뿐만 아니라 모든 학습자가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본 학습 능력에 추가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갖추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오늘날의 4차 산업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읽고 해석하고 새로운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인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이 사회 구성원의 기본소양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2].
컴퓨팅 사고를 평가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춰 수많은 교육 기관에서 컴퓨팅 사고 및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다양한 커리큘럼이나 교육 사례가 연구되고 있으며[7][8][9][10], 이 중에는 컴퓨팅 사고를 정형화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11]. 그러나 컴퓨팅 사고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사고 과정이고, 이는 지극히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이를 정형화하여 정의하고 학습 도를 평가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사례와 연구를 살펴보면 교육 과정의 수준, 관점 및 목표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개념과 범위 및 교육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 ACM, 49(3), 33-35. 

  2. Perez-Escoda, A. & Jose Rodriguez-Conde, M. (2015).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competences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USA and IEA contexts.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EM, ACM, NY, 355-360. 

  3.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teacher resources. 

  4.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5.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국내외 SW교육 운영현황 및 요구사항 조사 보고서, 정보통신 산업진흥원. 

  6. 전자신문 보도 (2016). http://www.etnews.com/20160825000363 

  7. 권정인, 김재현 (2017). Computational Thinking기반 SW교육과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9-10. 

  8. 안성훈 (2016). 초?중학교 SW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평가지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4), 11-20. 

  9. 전수진 (2017). SW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디자인 중심 모형(NDIS)의 효과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13-21. 

  10. 박성빈, 안성진 (2016). 컴퓨팅사고력의 역량탐색 연구: 소프트웨어개발자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5), 41-53. 

  11. Dierbach, C., Hochheiser, H., Collins, S., Jerome, G., Ariza, C., Kelleher, T., Kleinsasser, W., Dehlinger, J. & Kaza1, S. (2011). A Model for Piloting Pathways for Computational Thinking in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42nd ACM Computer science education, ACM, NY, 257-262. 

  12.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 1-25. 

  13. Barendsen, E. & Stoker, I. (2013). Computational thinking in CS teaching materials: a pilot study. 13th Koli Call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ACM, New York, 199-200. 

  14. Rodriguez, B., Kennicutt, S., Rader, C. & Camp, T. (2017). Assess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S Unplugged Activities. 2017 ACM SIGCSE Computer Science Education, ACM, New York, 501-506. 

  15. Gagne (1985). The conditions of learning (4th ed.). Newyork: Holt, Rinehart & Winston. 

  16. CollegeBoard (2017).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Including the Curriculum Framework, CollegeBoard. 

  17. Bort, H., Brylow, D. (2013). CS4Impact: Measuring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s Present in CS4HS Participant Lesson Plans, 44th ACM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ACM, NY, 427-432 

  18. Gouws, L., Bradshaw, K. & Wentworth, P. (2013). First year student performance in a test for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er Scientists and Information Technologists Conference, ACM, NY, 271-277. 

  19. Seiter, L. & Foreman, B., (2013). Modeling the learning progress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of primary grade students. 9th annual international ACM conference on International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ACM, NY, 59-66. 

  20. Veronica Catete, V., Snider, E. & Barnes, T. (2016). Developing a Rubric for a Creative CS Principles Lab. 2016 ACM Conferenc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ACM, NY, 290-295. 

  21. Eugene, K., Stringfellow, C. & Halverson, R. (2016). The usefulness of rubrics in computer science. Journal of Computer Science. Coll, 31(4), 5-20. 

  22. 최형신 (2014).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8(1), 57-64. 

  23. 김민자, 유길상, 김현철 (2017).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1-10. 

  24. Bienkowski, M., Snow, E., Rutstein, D. & Grover, S. (2015). Assessment design patte rns for computational thinking practices in secondary computer science:A first look (S RI technical report). Menlo Park, CA: SRI International . 

  25.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6), 13-22. 

  26. 권정인, 김재현 (2017). Computational Think ing기반 SW교육과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지, 21(1), 9-10 

  27. Fitzgerald S., Hanks, B., Lister, R., McCa uley, R., & Murphy, L. (2013). What are w e thinking when we grade programs? 44th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 cience education. ACM, NY, 471-47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