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Escherichia coli and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oysters Crassostrea gigas,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and corb shells Cyclina sinensis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June through November 2013. The anti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패류 생산해역의 위생관리를 위한 육상오염원 저감화 대책과 패류 생산해역에서의 항균제 내성균 출현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해안 주요 패류 생산해역에서 양식되는 굴, 바지락 및 가무락에서 대장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 균주가 가진 항균제 내성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항균제 사용 추세는 어떠한가? 항균제는 수산양식 및 축산분야 등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약제임은 분명하며, 국내에서 판매되는 항균제는 2011년 878톤, 2012년 855톤, 2013년 765톤으로 매년 항균제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수산용 항균제의 경우 2011년 239톤, 2012년 227톤, 2013년 213 톤으로 매년 일정한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다(KMFDS, 2015).항균제 내성균의 출현은 질병의 치료 및 예방뿐만 아니라 성장 촉진 목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Van den Bogaard and Stobberingh, 1999), 항균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 증가는 어류 및 가축의 질병 치료를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공중보건학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Souli et al.
장염비브리오균은 무엇인가?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은 그람 음성, 무포자, 호염성 간균으로 기수 지역과 해양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해양 상재 세균이며(Su and Liu, 2007; Ceccarelli et al., 2013), 급성 장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고(Zarei et al.
항균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 증가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 2008). 특히 항생제 내성균이 가진 내성유전자는 식품, 환경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균 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낮은 농도의 항균제라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세균의 약제 내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다제내성균 으로 발전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하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올바른 항균제 사용과 오·남용 방지는 무엇보다 중요하다(Van denBogaard and Stobberingh, 2000; Tendencia and Pena, 2001).패류양식장은 마을, 가축사육시설 등이 위치한 육상과 인접한 연안해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패류는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 섭식 과정을 통해 먹이를 섭취하는 생리 특성 때문에 주변 해수 중에 존재하는 세균들을 체내에 축적하게 되며, 강우 발생으로 다량의 육상 오염물질이 패류 생산해역으로 유입되며 패류 중의 세균학적 오염도는 크게 증가한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car JF and Goldstein FW. 1991. Disk susceptibility test. In: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Lorian V,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U.S.A., 17-52. 

  2. Baker-Austin C, McArthur JV, Tuckfield RC, Najapro M, Lindell AH, Gooch J and Stepanauskas R. 2008. Antibiotic resistance in the shellfish pathogen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the coastal water and sediment of Georgia and South Carolina USA. J Food Protect 71, 2552-2558. 

  3. Ceccarelli D, Hasan NA, Hug A and Colwell RR. 2013.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epidemic and pandemic Vibrio parahaemolyticus virulence factors. Front Cell Infect Microbio 3, 1-9. http://dx.doi.org/10.3389/fcimb.2013. 00097. 

  4. CLSI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2.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CLSI document M100-S22.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 Wayne, Pa. U.S.A., 44-128. 

  5. Dennesen PJ, Bonten MJ and Weinstein RA. 1998. Multiresistant bacteria as a hospital epidemic problem. Ann Med 30, 176-185. 

  6. Elliot EL, Kaysner CA, Jackson L and Tamplin ML. 1995. Vibrio cholerae,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and other Vibrio spp. I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ed. FDA, Arlington, U.S.A., 9.01-9.27. 

  7. Figueira V, Serra E and Manaia CM. 2011. Differential pattern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population subset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waste and surface waters. Sci Total Environ 409, 1017-1023. 

  8. Haley B, Kokashvili T, Taskshvediani A, Janelidze N, Mitaishvil N, Grim C, Magny G, Chen A, Taviani E, Eliashvili T, Tediashvili M, Whitehouse C, Colwell R and Huq A. 2014. Molecular diversity and predicta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long the Georgian coastal zone of the Black Sea. Front Microbial 5, 1-9. 

  9. Jo MR, Park YS, Park K, Kwon JY, Yu HS, Song KC, Lee HJ, Oh EG, Kim JH, Lee TS and Kim PH. 2016.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hellfish Farms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13-19. http://dx.doi.org/10.5657/KFAS.2016.0013. 

  10. Kirs M, DePaola A, Fyfe R, Jones JL, Krantz J, Van Laanen A, Cotton D and Castle M. 2011. A survey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New Zealand for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cus. Int J Food Microbiol 147, 149-153. 

  11. Kim S, An S, Park B, Oh EG, Song KC, Wan KJ and Yu H. 2016. Virulence factors and antimicrobials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Korean J Fish Aquat Sci 49, 116-123. http://dx.doi.org/10.5657/KFAS.2016.0116. 

  12. KMFDS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2014 Antimicrobial use and monitoring of antimicrobial resistance. MFDS, Osong, Korea, 1-107. 

  13. Kotlarska E, Luczkiewicz A, Pisowacka M and Burzynski A. 2015. Antibiotic resistance and prevalence of class 1 and 2 integron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two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their receiving waters (Gulf of Gdansk, Baltic Sea, Poland). Environ Sci Pollut Res Int 22, 2018-2030. http://doi.org/10.1007/s11356-014-3474-7. 

  14. Kwon SJ, Lee KJ, Jung YJ, Park SG, Go KR, Yang JH and Mok JS. 2016.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farms and inland pollution sources in the Changseon ar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564-572. http://dx.doi.org/10.5657/KFAS.2016.0564. 

  15. Lee TS, Oh EG, Yu HD, Ha KS, Yu HS, Byun HS and Kim JH. 2010.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406-414. 

  16. Levin BR, Lipsitch M, Perrot V, Schrag S, Antia R, Simonsen L, Walker NM and Stewart FM. 1997. The population genetics of antibiotic resistance. Clin Infect Dis 24, 9-16. 

  17. Moura A, Pereira C, Henriques I and Correia A. 2012. Novel gene cassettes and integrons in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urban wastewaters. Res Microbiol 163, 92-100. 

  18. Neela FA, Nonaka L and Suzuki S. 2007. The diversity of multidrug resistance profiles in tetracycline resistant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coastal sediments and seawater. J Microbiol 45, 64-68. 

  19. Oh EG, Son KT, Ha KS, Yoo HD, Yu HS, Shin SB, Lee HJ and Kim JH. 2009.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strains from Brackish Water on the Coast of Gyeongsangnamdo. Korean J Fish Aquat Sci 42, 335-343. http://dx.doi.org/10.5657/-KFAS.2009.42.4.335. 

  20. Oh EG, Son KT, Yu HS, Lee TS, Lee HJ, Shin SB, Kwon JY, Park KBW and KIM JH. 2011.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algin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Farmed Fish in Korea during 2005-2007. J Food Prot 74, 380-386. http://dx.doi.org/10.4315/0362-028X.JFP-10-307. 

  21. Park K, Jo MR, Lee HJ, Kwon JY, Son KT and Lee TS. 2011.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dischatged water from Bong stream after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angjinm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622-629. 

  22. Park K, Jo MR, Kim YK, Lee HJ, Kwon JY, Son KT and Lee TS. 2012.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Narodo ar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414-422. Http://dx.doi.org/10.5657/KFAS.2012.0414. 

  23. Park K, Park JY, Jo MR, Yu HS, Lee HJ, Kim JH, Oh EG, Shin SB Kim YK and Lee TS. 2013.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hellfish farm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528-533. http://dx.doi.org/10.5657/KFAS.2013.0528. 

  24. Souli M, Galani I and Gianmarellou H. 2008. Emergence of extensively drug-resistant and pandrug resistnace gram negative bacilli in Europe. Euro Surveill 47, 1-11. 

  25. Son KT, Oh EG, Lee TS, Lee HJ, Kim PH and Kim JH. 2005.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alginolyticus from fish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8, 365-371. 

  26. Su CY and Liu C. 2007. Vibrio parahaemolyticus: a concern of seafood safety. Food Microbiol 24, 549-558. http://dx.doi.org/10.1016/j.fm.2007.01.005. 

  27. Tendencia EA and Pena LD. 2001. Antibiotic resistance of bacteria from shrimp ponds. Aquaculture 195, 193-204. 

  28. Vam den Bogaard AE and Stobberingh EE. 1999. Antibiotic usage in animals: impact on bacterial resistance and public health. Drugs 58, 589-607. http://dx.doi.org/10.2165/00003495-199958040-00002. 

  29. Van den Bogaard AE and Stobberingh EE. 2000. Epidemiology of resistance to antibiotics: Links between animals and humans. Int Antimicrob Agents 14, 327-335. http://dx.doi.org/10.1016/S0924-8579(00)00145-X. 

  30. Yu HS, Oh EG, Shin SB, Park YS, Lee HJ, Kim JH and Song KC. 2014.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Korean Shellfish. Korean J Fish Aquat Sci 57, 508-515. http://dx.doi.org/10.5657/KFAS.2014.0508. 

  31. Zhang L and Orth K. 2013. Virulence determinants for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 Curr Opin Microbiol 16, 70-77. http://dx.doi.org/10.1016/j.mib.2013.0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