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 급성노출에 의한 바이오플락 사육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 및 항산화반응의 변화
Alterations i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Antioxidant Responses in the Biofloc-reared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Ammonia Exposur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6, 2017년, pp.750 - 755  

김준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기욱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배선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종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raised in biofloc system (mean length $27.6{\pm}3.1cm$, mean weight $280.4{\pm}26.5g$) were exposed for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mmonia (0, 8, 16, 32, and $64mg\;{NH_4}^+/L$) for 7 days. Following ammonia exposure, hematolog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노출에 사용된 암모니아는 NH4 Cl (Sigma Chemical, St. Louis, MO, ≥99.0%)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표준원액 10,000 mg NH4+/L를 제조 후, 0, 8, 16, 32 및 64 mg NH4+/L의 농도로 노출하였다.
  • 사전 노출실험을 실시하여, 바이오플락 사육수에 의한 암모니아의 감소 시간을 확인한 결과, 3일째 암모니아 농도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바이오플락 사육수에 의한 암모니아 제거효과에 대한 간섭을 막기 위해, 사육수는 2일에 한번 완전 환수 후, 암모니아 농도를 다시 조정하여 노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모니아 노출 후, 실제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는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2010)에 따라 측정하였다.
  • 암모니아 노출 후, 실제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는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2010)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 완료 후, 생존개체는 동물실험 윤리에 따라 ethyl-3-aminobenzoate methanesulfonate salt를 이용하여 완전 마취하여 채혈 및 조직을 분리하였다.
  • 항산화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CAT)를 분석하였다. 항산화효소를 측정하기 위해, 간과 아가미 조직을 분리 후, 0.
  • 혈액은 헤파린 처리한 1 mL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미부정맥에서 채혈 후 분석하였다. 혈액학적 성상인 hemoglobin 농도는 임상용 kit (Asan Pharm.
  • 혈장 성분 분석을 위해 채취한 혈액은 4°C에서 10,000 rpm 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무기성분으 로 calcium과 magnesium을 측정하였다. Calcium은 OCPC 법, magnesium은 Xylidyl blue-I법에 따라 임상용 kit (Asan Pharm.
  • ,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유기성분으로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을 측정하였다. Glucose는 GOD/POD법, cholesterol은 enzyme method, total protein은 Biuret법에 따라 임상용 kit (Asan Pharm.
  • ,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효소 성분인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minase), ALP (Alkaline phosphatase)를 측정하였다. AST와 ALT는 505 nm에서 ReitmanFrankel법, ALP는 King-King법으로 500 nm에서 임상용 kit (Asan Pharm.

대상 데이터

  • 0%)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표준원액 10,000 mg NH4+/L를 제조 후, 0, 8, 16, 32 및 64 mg NH4+/L의 농도로 노출하였다. 실험어는 150 L 원형수조에 각 5마리씩 총 25마리를 수용하였고, 노출환경 및 노출 수조의 실제 암모니아 농도는 Table 1-2와 같다. 사전 노출실험을 실시하여, 바이오플락 사육수에 의한 암모니아의 감소 시간을 확인한 결과, 3일째 암모니아 농도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 평균 무게 6.8±1.1 g의 치어를 분양 받아, 바이오플락 사육환경에서 6개월간 양식한 넙치(평균 체장 27.6±3.1 cm, 평균 체중 280.4±26.5 g)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험 분석 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SPSS 통계 프로그램(SPSS Inc.)을 이용하여 ANOVA test를 실시하고, 사후검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P<0.05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론/모형

  • 혈장효소 성분인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minase), ALP (Alkaline phosphatase)를 측정하였다. AST와 ALT는 505 nm에서 ReitmanFrankel법, ALP는 King-King법으로 500 nm에서 임상용 kit (Asan Pharm. Co., Lt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Louis, M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im and Kang, 2015a). CAT 활성은 CAT assay kit (Sigma Chemical, St. Louis, M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im and Kang, 2017a). 각 조직의 단백질 농도는 bovine plasma albumin (Sigma Chemical, St.
  • 혈장 무기성분으 로 calcium과 magnesium을 측정하였다. Calcium은 OCPC 법, magnesium은 Xylidyl blue-I법에 따라 임상용 kit (Asan Pharm. Co.,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유기성분으로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을 측정하였다.
  • 혈장 유기성분으로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을 측정하였다. Glucose는 GOD/POD법, cholesterol은 enzyme method, total protein은 Biuret법에 따라 임상용 kit (Asan Pharm. Co.,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효소 성분인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minase), ALP (Alkaline phosphatase)를 측정하였다.
  • 균질화한 뒤 4°C에서 10,000 rpm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OD 활성은 WST-1의 환원반응에 대한 50% 억제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의 SOD assay kit (Sigma Chemical, St. Louis, M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Kim and Kang, 2015a). CAT 활성은 CAT assay kit (Sigma Chemical, St.
  • 각 조직의 단백질 농도는 bovine plasma albumin (Sigma Chemical, St. Louis, MO)을 기준으로 하여 Bradford’s method (1976)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따라서, 바이오플락 사육수에 의한 암모니아 제거효과에 대한 간섭을 막기 위해, 사육수는 2일에 한번 완전 환수 후, 암모니아 농도를 다시 조정하여 노출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모니아 노출 후, 실제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는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2010)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험 완료 후, 생존개체는 동물실험 윤리에 따라 ethyl-3-aminobenzoate methanesulfonate salt를 이용하여 완전 마취하여 채혈 및 조직을 분리하였다.
  • 혈액은 헤파린 처리한 1 mL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미부정맥에서 채혈 후 분석하였다. 혈액학적 성상인 hemoglobin 농도는 임상용 kit (Asan Pharm. Co., Ltd)를 이용하여 Cyanmethemoglobin법으로 측정하였으며, hematocrit는 모세관 내로 혈액을 넣어, Microhematocrit centrifuge (VS-12000, 한국)에서 12,000 rpm, 10분간 원심분리 후 Micro-hematocrit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계환경에서 암모니아는 어떤 물질인가? 수계환경에서 암모니아는 농업 폐수 및 폐기물 분해 뿐만 아니라, 양식장에서 남은 사료 및 생물의 배설물 등을 통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이다(Randall and Tsui, 2002; Kim et al., 2017a).
이온형태의 암모니아(NH4+)는 어떤 문제는 일으킬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암모니아(NH3)는 비극성이며, 지질에 쉽게 용해 되기 때문에, 이온형태의 암모니아(NH4+) 보다 매우 높은 독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암모늄 이온(NH4+) 역시, Na+ -K+ ATPase 와 Na+ /K+ /2Cl- 공동 수송에서 칼륨이온(K+) 이온을 대체함으로써 어류의 수분조절 및 이온 균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신경세포의 전기 화학적 구배교란에 의해 흥분, 과잉행동 유발, 경련과 사망을 초래한다(Roumieh et al., 2013).
의높은 농도 암모니아 노출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 노출은 수계 생물에게 치명적이며, 일반적으로 고밀도의 양식장환경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암모니아 노출은 수중생물의 중추신경계에 독성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평형상실, 경련, 삼투 및 이온조절 실패와 과민반응 등을 유발한다(Kim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https://doi.org/10.1016/0003-2697(76)90527-3. 

  2. Cheng CH, Yang FF, Ling RZ, Liao SA, Miao YT, Ye CX and Wang AL. 2015. Effects of ammonia exposure on apoptosis, oxidative stress and immune response in pufferfish (Takifugu obscurus). Aquat Toxicol 164, 61-71. https://doi.org/10.1016/j.aquatox.2015.04.004. 

  3. Das PC, Ayyappan S, Jena JK and Das BK. 2004. Acute toxicity of ammonia and its sub-lethal effects on selected haematological and enzymatic parameters of mrigal, Cirrhinus mrigala (Hamilton). Aquacult Res 35, 134-143. https://doi.org/10.1111/j.1365-2109.2004.00994.x. 

  4. Day SB, Salie K and Stander HB. 2016. A growth comparison among three commercial tilapia species in a biofloc system. Aquacult Int 24, 1309-1322. https://doi.org/10.1007/s10499-016-9986-z. 

  5. Eddy FB. 2005. Ammonia in estuaries and effects on fish. J Fish Biol 67, 1495-1513.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5.00930.x. 

  6. Firat O and Kargin F. 2010.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heavy metals on serum biochemistry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8, 151-157. https://doi.org/10.1007/s00244-009-9344-5. 

  7. Hegazi MM, Attia ZI and Ashour OA. 2010.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enzymes in liver and white muscle of Nile tilapia juvenile in chronic ammonia exposure. Aquat Toxicol 99, 118-125. https://doi.org/10.1016/j.aquatox.2010.04.007. 

  8. Jeney G, Nemcsok J, Jeney Z and Olah J. 1992. Acute effect of sublethal ammonia concentrations o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II. Effect of ammonia on blood plasma trasaminases (GOT, GPT), G1DH enzyme activity, and ATP value. Aquaculture 104, 149-156. https://doi.org/10.1016/0044-8486(92)90145-B. 

  9. Kim JH and Kang JC. 2014. The selenium accumulation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red sea 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waterborne selenium. Ecotoxicol Environ Saf 104, 96-102. https://doi.org/10.1016/j.ecoenv.2014.02.010. 

  10. Kim JH and Kang JC. 2015a. Oxidative stress, neurotoxicit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red sea 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different waterborne selenium concentrations. Chemosphere 135, 46-52. http://dx.doi.org/10.1016/j.chemosphere.2015.03.062. 

  11. Kim JH and Kang JC. 2015b. The lead accumulation and hematological findings in juvenile rock fish Sebastes schlegelii exposed to the dietary lead (II) concentrations. Ecotoxicol Environ Saf 115, 33-39. https://doi.org/10.1016/j.ecoenv.2015.02.009. 

  12. Kim SH, Kim JH, Park MA, Hwang SD and Kang JC. 2015. The toxic effects of ammonia exposure on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s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during thermal stress. Environ Toxicol Pharmacol 40, 954-959. https://doi.org/10.1016/j.etap.2015.10.006. 

  13. Kim JH and Kang JC. 2016a. Oxidative stress, neurotoxicity, and metallothionein (MT) gene expression in juvenile rock fish Sebastes schlegelii under the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hromium ( $Cr^{6+}$ ) exposure. Ecotoxicol Environ Saf 125, 78-84. https://doi.org/10.1016/j.ecoenv.2015.12.001. 

  14. Kim JH and Kang JC. 2016b. The chromium accumulation and its physiological effects in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exposed to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hromium ( $Cr^{6+}$ ) concentrations. Environ Toxicol Pharmacol 41, 152-158. https://doi.org/10.1016/j.etap.2015.12.001. 

  15. Kim JH and Kang JC. 2017a. Growth performance, oxidative stress,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by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Fish Physiol Biochem 43, 1421-1431. https://doi.org/10.1007/s10695-017-0382-z. 

  16. Kim JH and Kang JC. 2017b. Effects of sub-chronic exposure to lead (Pb) and ascorbic acid in juvenile rockfish: Antioxidant responses, MT gene expression, and neurotransmitters. Chemosphere 171, 520-527.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16.12.094. 

  17. Kim JH, Park HJ, Hwang IK, Han JM, Kim DH, Oh CW, Lee JS and Kang JC. 2017a. Toxic effects of juvenil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by ammonia exposure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Environ Toxicol Pharmacol 54, 169-176. https://doi.org/10.1016/j.etap.2017.07.008. 

  18. Kim JH, Park HJ, Hwang IK, Han JM, Kim DH, Oh CW, Lee JS and Kang JC. 2017b. Alterations of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nstituents in th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depending on ammonia concentrations. Fish Aquat Sci 20, 20:4. https://doi.org/10.1186/s41240-017-0049-9. 

  19. Kim JH, Oh CW amd Kang JC. 2017c. Antioxidant responses, neurotoxicity, and metallothionein gene expression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under dietary lead exposure. J Aquat Anim Health 27, 112-119. http://dx.doi.org/10.1080/08997659.2017.1307286. 

  20. Kosenko E, Kaminsky M, Kaminsky A, Valencia M, Lee L, Hermenegildo C and Felipo V. 1997. Superoxide produc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 ammonia intoxication in rats. Free Radical Res 27, 637-644. http://dx.doi.org/10.3109/10715769709097867. 

  21. Kwon JY and Chang YJ. 1996. Effects of ammonia concentration on hist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us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Korean J Fish Aquat Sci 29, 828-836. 

  22. Lemaire P, Drai P, Mathieu A, Lemaire S, Carriere S, Giudicelli J and Lafaurie M. 1991. Changes with different diets in plasma enzymes (GOT, GPT, LDH, ALP) and plasma lipids (cholesterol, triglycerides) of sea-bass (Dicentrarchus labrax). Aquaculture 93, 63-75. https://doi.org/10.1016/0044-8486(91)90205-L. 

  23. Norenberg MD, Jayakumar AR, Rao KVR and Panickar KS. 2007. New concepts in the mechanism of ammonia-induced astrocyte swelling. Metab Brain Dis 22, 219-234. https://doi.org/10.1007/s11011-007-9062-5. 

  24. Rama S, Manjabhat SN. 2014. Protective effect of shrimp carotenoids against ammonia stress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Ecotoxicol Environ Saf 107, 207-213. https://doi.org/10.1016/j.ecoenv.2014.06.016 

  25. Randall DJ and Tsui TKN. 2002. Ammonia toxicity in fish. Mar Pollut Bull 45, 17-23. https://doi.org/10.1016/S0025-326X(02)00227-8. 

  26. Roumieh R, Barakat A, Abdelmeguid NE, Ghanawi J and Saoud, IP. 2013.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aqueous ammonia on marbled spinefoot rabbitfish, Siganus rivulatus (Forsskal 1775). Aquacult Res 44, 1777-1790. https://doi.org/10.1111/j.1365-2109.2012.03188.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