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엽추출물의 지방분해효소 조절을 통한 국소 지방분해 효능
Effect of Eriobotrya folium on Local Fat via Regulation of Lipase Secretion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7 no.2, 2017년, pp.101 - 110  

이운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  최유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  양웅모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lipolytic effects of Eriobotrya folium extract (EFE) on local fat was investigated in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ity mouse and 3T3-L1 adipocytes. Methods: C57BL/6J mice (5 weeks) were fed HFD for 6 weeks to induce obesity. EFE (20 mg/ml, $100{\mu}l$)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EFE의 국소 부위 처리를 통한 국소 부위 지방 감소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이 연구된 논문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 EFE를 서혜부에 투여한 후 국소 지방의 지방분해 효능과 그에 따른 약리기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소지방치료에는 어떠한 것들이 사용되는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국소지방치료로는 지방분해 주사, 삼투압 원리를 이용한 저장성 지방용해(hypotonic pharmacologic lipo-dissolution) 주사, 이산화탄소의 팽창 압력을 이용한 카복시테라피(carboxy therapy), 림프 순환을 촉진하여 지방분해하는 lypolytic lymph drainage, 약침 등 다양하지만10), 여러 부작용들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콩에서 추출된 성분인 phosphaticdyl choline (PPC)로 “리포빈”, “리피씨”, “리포스타빌” 등 국소 지방분해 주사의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종창, 멍, 이상감각 등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11,12).
기존에 사용되던 국소지방치료에 사용되던 주사들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국소지방치료로는 지방분해 주사, 삼투압 원리를 이용한 저장성 지방용해(hypotonic pharmacologic lipo-dissolution) 주사, 이산화탄소의 팽창 압력을 이용한 카복시테라피(carboxy therapy), 림프 순환을 촉진하여 지방분해하는 lypolytic lymph drainage, 약침 등 다양하지만10), 여러 부작용들로 인해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콩에서 추출된 성분인 phosphaticdyl choline (PPC)로 “리포빈”, “리피씨”, “리포스타빌” 등 국소 지방분해 주사의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종창, 멍, 이상감각 등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11,12). 이외에도, PPC 주사의 용매제로 사용되는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가 암을 유발하고13), 주사부의 열감, 붉어짐, 피부 괴사, 섬유화 증가, 지방 세포막의 파괴, 지방층의 염증, 대식세포의 침윤, 위축 등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따라서 기존 치료법들의 광범위한 부작용과 위험성으로 인해 독성이 적으면서 체중감소에 효과적인 천연물을 이용한 비만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5,16).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肥滿)은 과다한 지방조직의 축적 상태로서, 음식에서 섭취되는 칼로리가 신체 활동 등으로 소비되는 양보다 축적되는 양이 많아 야기되는 대사 불균형 상태로 정의된다1). 연령, 인종, 사회 경제적인 요소, 유전, 신경 내분비 변화 및 장내 미생물 등의 다양한 요인이 비만과 관계되어 있으며2), 최근 20년 사이 우리나라의 비만 유병률은 경제 성장과 더불어 식습관 및 생활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Wyatt HR. Update on treatment strategies for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13 ; 98(4) : 1299-306. 

  2. Hamer M, Johnson W, Bell JA. Improving risk estimates for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mortality using a refined healthy reference group. Eur J Endocrinol. 2017 ; 177(2) : 169-74. 

  3. Kim DM, Ahn CW, Nam SY.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Obes Rev. 2005 ; 6(2) : 117-21. 

  4. Ahn BC, Joung HJ.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J Nutr Health. 2005 ; 38(9) : 786-92. 

  5. Peebles R. Adolescent obesity: etiology, office evaluation, and treatment. Adolesc Med State Art Rev. 2008 ; 19(3) : 380-405. 

  6. Despres JP. Cardiovascular disease under the influence of excess visceral fat. Crit Pathw Cardiol. 2007 ; 6(2) : 51-9. 

  7. Segula D. Complications of obesity in adults: a short review of the literature. Malawi Med J. 2014 ; 26(1): 20-4. 

  8. Shin HY, Kwon HJ, Lee YK, Lim SC, Jung TY, Lee BH, et al. The effect of thread-embedding therapy on 9 patients with partial obesity. J Korean Acupunct Moxib Soc. 2011 ; 28(6) : 27-34. 

  9. Shin SU, Choi YM, Shim WJ, Lee HC, Kim KS. Effects of high frequency therapy on localized obesity. J Korean Orient Assoc Study Obes. 2006 ; 6(2) : 75-83. 

  10. Jayasinghe S, Guillot T, Bissoon L, Greenway F. Mesotherapy for local fat reduction. Obes Rev. 2013 ; 14(10) : 780-91. 

  11. Li H, Lee JH, Kim SY, Yun HY, Baek KJ, Kwon NS, et al. Phosphatidylcholine induces apoptosis of 3T3-L1 adipocytes. J Biomed Sci. 2011 ; 18 : 91. 

  12. Duncan DI, Palmer M. Fat reduction using phosphatidylcholine/sodium deoxycholate injections: standard of practice. Aesthet Plast Surg. 2008 ; 32(6) : 858-72. 

  13. Milovic V, Teller IC, Faust D, Caspary WF, Stein J. Effects of deoxycholate on human colon cancer cells: apoptosis or proliferation. Eur J Clin Investig. 2002 ; 32(1) : 29-34. 

  14. Noh YJ, Heo CY. The effect of phosphatidylcholine and deoxycholate compound injections to the localized adipose tissue: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murine model. Arch Plast Surg. 2012 ; 39(5) : 452-6. 

  15.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et al.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Bhem. 2006 ; 49(3) : 221-6. 

  16. Cho YS, Jang EM, Jang SM, Chun MS, Shon MY, Kim MJ, et al. Effect of grape seed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high-h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 36(12) : 1537-43. 

  17. Lee BJ, Kim SH. The study of record relate with the noti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obesity. J Korean Orient Med Res Inst, Daejeon Univ. 1998 ; 13(1): 533-41. 

  18. Kim S, Jin SH, Kim TH. A study on etiological factors, symptoms of a disease, and treatments of obesity based on Dong-Yi BoGam. J Korean Orient Med. 1998 ; 19(2) : 126-36. 

  19. Jang YJ, Cho JH, Song BJ. Effect of Taeyeumjowee-tang and electroacupuncture combined-therapy on obesity. J Korean Orient Assoc Stud Obes. 2001 ; 1(1) : 77-83. 

  20.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herbology. Herbology. 3rd ed. Seoul : Young Lim Sa. 2010 : 511-2. 

  21. Park YW. Cellulite and aesthetic mesotherapy. Seoul : Hanmibook. 2004 : 61-71. 

  22. Professor of Physiology, National Oriental Medical College. Physiology of Korean medicine. Seoul : Jib Mun Dang. 2008 : 274-5. 

  23. Heo J. Donguibogam. Seoul : bubinbooks. 1999 : 157-78. 

  24.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 40(5) : 673-81. 

  25. Shih CC, Lin CH, Wu JB. Eriobotrya japonica improves hyperlipidemia and reverses insulin resistance in high-fat-fed mice. Phytother Res. 2010 ; 24(12) : 1769-80. 

  26. Herbal Medicene Compilation Committee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 : Yong-Lim Company. 2004 : 509-10. 

  27. Sharma BR, Oh J, Kim HA, Kim YJ, Jeong KS, Rhyu DY. Anti-obesity effects of the mixture of eriobotrya japonica and nelumbo nucifera in adipocyte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Am J Chin Med. 2015 ; 43(4) : 681-94. 

  28. Lee JS, Lee SH. The reductiv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on the body fat and abdominal obesity. J Korean Soc Stud Obes Res. 2001 ; 1 : 33-42. 

  29. Tanaka K, Tamaru S, Nishizono S, Miyata Y, Tamaya K, Matsui T, et al. Hypotriacylglycerolemic and antiobesity properties of a new fermented tea product obtained by tea-rolling processing of third-crop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eaves and loquat (Eriobotrya japonica) leave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0 ; 74(8) : 1606-12. 

  30. Roh SS, Lim JS, Yim SC. The efficacy of Eriobotryae folium pharmacopuncture on local fat of high fat induced obesity mice. Acupunct. 2013 ; 30(3) : 15-25. 

  31. Garaulet M, Perex-Llamas F, Fuente T, Zamora S, Tebar FJ. Anthropometric, computed tomography and fat cell data in obese population: relationship with insulin, letin, tumor necrosis factor-alpha, sex hormome-binding globulin and sex hormones. Eur J Endocrinol. 2000 ; 143(5) : 657-66. 

  32. Frayn KN, Karpe F, Fielding BA, Macdonald IA, Coppack SW. Integrative physiology of human adipose tissue. Int J Obes. 2003 ; 27(8) : 875-88. 

  33. Holm C. Molecular mechanisms regulating hormone-sensitive lipase and lipolysis.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2003 ; 31(6) : 1120-4. 

  34. Brasaemle DL. Thematic review series: adipocyte biology. The perilipin family of structural lipid droplet protein: stabilization of lipid droplets and control of lipolysis. J Lipid Res. 2007 ; 48(12) : 2547-59. 

  35. Londos C, Brasaemle DL, Gruia-Gray J, Servetnick DA, Schultz CJ, Levin DM, et al. Perilipin: unique proteins associated with intracellular neutral lipid droplets in adipocytes and steroidogenic cells. Biochem Soc Transact. 1995 ; 23(3) : 611-5. 

  36. Fushiki H, Hayakawa Y, Gomori A, Seo T, Tewari S, Ozaki S, et al. In vivo imaging of obesity-induced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0 ; 391(1) : 674-8. 

  37. Ruiz-Ojeda FJ, Ruperez AI, Gomez-Llorente C, Gil A, Aguilera CM. Cell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for studying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relation to obesity: a review. Int J Mol Sci. 2016 ; 17(7) : 1040. 

  38. Seo BI.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and side effects of Eriobotryae Folium. J Jehan Orient Med Acad. 2012 ; 10(1) : 65-8. 

  39. Ducharme NA, Bickel PE. Minireview: lipid droplets in lipogenesis and lipolysis. Endocrinology. 2008 ; 149(3) : 94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