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3, 2017년, pp.43 - 58  

주유미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대윤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모영호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손성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응급의료재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 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group of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test its effect. Methods : We set the grocery shopping task for the theme of the program and we applied this program for 9 s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다양한 훈련프로그램 중 마트장보기 훈련프로그램은 주로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많이 개발되고 시행되어져 오고 있으며, 정신장애인 중 발달장애인들에게도 중요한 수단적 일상생활 영역으로 간주되어 적절한 중재의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Arbesman &Logsdon, 2011; Rempfer, Hamera, Brown & Cromwell,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설거주 발달장애인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통합의 개념은 어떤 이해를 바탕으로 두는가?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차별 없는 사회통합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를 보완하여 어느 수준 이상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며 본인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독립적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회통합의 개념은 장애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작업에 참여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며, 그 안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인간(Human-being)이라는 근본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Lee, 1999).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차별 없는 사회통합은 무엇인가? 발달장애인들의 재활에 있어 진정한 지역사회로의 통합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차별 없는 사회통합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를 보완하여 어느 수준 이상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며 본인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독립적인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회통합의 개념은 장애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작업에 참여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며, 그 안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인간(Human-being)이라는 근본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Lee, 1999).
발달 장애인들이 특정 사회적 상황 속에서 일탈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발달장애인의 경우 마트장보기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마트의 복잡하고 자극이 많은 환경을 두려워하기도 하며 이런 익숙하지 않은 감정들의 변화 속에서 공격적 행동을 보이거나 돌발행동을 빈번히 보인다. 또한, 발달장애인들은 일반적으로 인지능력 및 학습능력이 저하되었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시 눈 맞춤이나 응시 행동, 몸짓, 얼굴표정을 제한되게 사용하며 상대방의 감정표현에 무관심하다. 따라서 감각, 운동, 정서적 감정, 상호작용 기술이 통합되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 속에서 일탈적 특성이 두드러진다(Yu,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besman, M., & Logsdon, D. W. (2011).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employment and education fo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238-246. 

  2. Baek, J. Y. (2004). Effectiveness study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o improv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3. Beak, D. R., & Jung, H. R. (2016). Effect of client-centered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on activity participation of clients with a special dementia ratings: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2), 83-98. 

  4. Brown, C., Rempfer, M., & Hamera, E. (2009).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 Bethesda: AOTA press. 

  5. Byun, M. S. (2005). Research for community integration experiences in group home for people with disability.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6. Cha, M. H. (2013). A study on effects of social adjustment raining program on community adjust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7. Jo, U. Y., Shin, K. A., Kim, Y. I., Kim, E. J., Jeon, E. K., & Kang, H. S. (2013).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ethical dilemma at intellectual disability residential serv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1), 233-258. 

  8. Kim, M. O., & Kim, G. E. (2010).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Korea Social Welfare, 62(1), 317-342. 

  9. Kim, N. Y. (2005). A study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rogram of rehabilitation center.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0. Kim, Y. O. (2007). The major principles and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o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under-achievements in inclusive education.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1), 45-67. 

  11. Lee, I. S. (1999). A study on the index of social integr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its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8(1), 206-333. 

  12. Lee, J. K. (2009). An effect of community-centered transi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ty adjustment skills of school-aged intellectu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13. Park, A. R. (2001). Day care program management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4. Porter, J., Capra, S., & Watson, G. (2000). An individualized food-skills programm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47, 51-61. 

  15. Rempfer, M. V., Hamera, E. K., Brown, C. E., & Cromwell, R. L. (2003). The relations between cognition and the independent living skill of shopping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Psychiatry research, 117(2), 103-112. 

  16. Scaffa, M. E., & Reitz, S. M. (2013).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based practice settings(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17. Son, S. M., Lee, K. R., & Jeon, B. J. (2016). Effects of leisure time-us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a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Korea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cademic Journal, 6(2), 51-59. 

  18. Wilson, F. R., Pan, W., & Schumsky, D. A. (2012). Recalculation of the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5(3), 197-210. 

  19. Yu, H. Y. (2013). The effect of teacher leded role play activities on communication development and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autism.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