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교류기억체계(TMS)기반 협력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M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Facilitating Learning Transfer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6, 2017년, pp.993 - 1003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수자들은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협업능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을 기르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생들은 단순분업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할 뿐 아니라 학습전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이 협업의 시너지를 내고 서로의 지식을 이용하여 학습전이를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교류기억체계(TMS)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교류기억체계 기반 협력학습 모형은 과학개념을 학습하면서 동료의 전문성을 파악하는 교류기억체계 개발 단계, 간단한 협력적 문제해결을 통해 신뢰를 기르는 교류기억체계 정교화 단계, 마지막으로 조직화된 지식처리를 하는 교류기억체계 적용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동료교수법을 통해 과학개념을 학습함과 동시에 그룹 구성원이 서로 어떤 지식을 잘 알고 있는지 전문성을 파악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잘 정의된 실험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며 근전이를 경험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근전이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원전이를 통해 빈약하게 정의된 문제를 해결한다. 이 모형을 기반으로 기하광학과 음파에 관한 15주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이 중 프로젝트 1개를 적용한 5주간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일반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그룹의 TMS변화는 유의하지 않았음에 비해, 교류기억체계 기반 협력학습모형을 적용한 그룹의 TMS는 단계적으로 향상되었고, 첫째 주와 마지막 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프로젝트 수행에서 학습전이가 더 잘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얻는 방법을 익히고, 학습한 내용을 문제해결에 잘 적용하도록 하는데 교류기억체계기반 협력학습 모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ers expect team-based project learning to help students develop collaborative and real-world problem solving skills. In practice, however, students tend to solve problems with simple division of labor,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learning transfer does not occur in solving problems. The purpo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류기억체계란? , 2007). 즉, 교류기억체계는 그룹 구성원의 기억의 집합체이자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대한 포괄적 시스템이다(Wegner, 1987). 이러한 교류기억체계는 개인의 기억체계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구성원 모두가 보다 풍부한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교류기억체계의 효과는? 즉, 교류기억체계는 그룹 구성원의 기억의 집합체이자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대한 포괄적 시스템이다(Wegner, 1987). 이러한 교류기억체계는 개인의 기억체계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구성원 모두가 보다 풍부한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원 개개인이 가진 전문성을 집단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Shin& Suh, 2010), 높은 수준의 교류기억체계를 가지고 있을수록 그룹은 더 높은 성과를 보인다(Austin, 2003; Faraj & Sproull, 2000; Lewis,2004; Lewis et al.
협력적인 학습전이가 일어나기 조건에는 무엇이 있는가? 협력적인 학습전이가 일어나기 위한 조건은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그룹 구성원들은 전이되어야 할 지식을 학습을 통해 배워서 알고 있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구성원들이 교수자가 의도한 수준과 양의 지식을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ustin, J. R. (2003). Transactive memory in organizational groups: the effects of content, consensus, specialization, and accuracy on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66. 

  2. Baldwin, T. T. & Ford, J. K. (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1), 63-105. 

  3. Barrows, H. S. (1996).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996(68), 3-12. 

  4. Barron, B. J., Schwartz, D. L., Vye, N. J., Moore, A., Petrosino, A., Zech, L., &Bransford, J. D. (1998). Doing with understanding: Lessons from research on problem- and project-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3-4), 271-311. 

  5. Chard, S. (1998). The Project Approach: Book Two, Managing Successful Projects. NY: Scholastic Inc 

  6. Clark, R. E., & Voogel, A. (1985). Transfer of training principles for instructional design. Ectj, 33(2), 113. 

  7. Diehl, W., Grobe, T., Lopez, H., & Cabral, C. (1999). Project-based learning: A strategy for teaching and learning. Boston, MA: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and Education, Corporation for Business, Work, and Learning 

  8. Faraj, S., & Sproull, L. (2000). Coordinating expertise in software development teams. Management science, 46(12), 1554-1568. 

  9. Henry, H. R., Tawfik, A. A., Jonassen, D. H., Winholtz, R. A., & Khanna, S. (2012). "I Know This is Supposed to be More Like the Real World, But...": Student Perceptions of a PBL Implementation in an Undergraduate Materials Science Course.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6(1), 43-81. 

  10. Hmelo, C. E., Guzdial, M., & Turns, J. (1998). Computer-support for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to support student engagement.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9(2), 107-129. 

  11. Holton III, E. F., & Baldwin, T. T. (2003).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12. Hyun, Y. S. (2011)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am Trust and Supports for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Far Transfer.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3(1), 75-97. 

  13. Jang, E. J. (2004). The Effects of goal structure strategy and team effectiveness on performance of students in wbe-based Project-Bas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20(2), 53-82. 

  14. Jang, S. Y. & Lee, M. (2012). Development of Scaffolding Design Model for Supporting Learners' Task Performing in a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28(2), 371-408. 

  15. Jin, Y. H., & Son, J. W. (2011).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703-718. 

  16. Jung, H. H. (2011). A Study on the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y -Focusing on Team Environment, Team Dynamics, Knowledge Sharing, and Team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40, 81-114. 

  17. Jung, H. C., Ryu, C. R., & Chae, Y. J. (2012).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43-264. 

  18. Kanawattanachai, P., & Yoo, Y. (2007). The impact of knowledge coordination on virtual team performance over time. MIS quarterly, 783-808. 

  19. Laker, D. R. (1990). Dual dimensionality of training transf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3), 209-223. 

  20. Lee, S. M., Olson, D. L., & Trimi, S. (2012). Co-innovation: convergenomics, collaboration, and co-creation for organizational values. Management Decision, 50(5), 817-831. 

  21. Lewis, K. (2003). Measuring transactive memory systems in the field: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4), 587-603. 

  22. Lewis, K. (2004).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knowledge-worker teams: A longitudinal study of transactive memory systems. Management science, 50(11), 1519-1533. 

  23. Lewis, K., Lange, D., & Gillis, L. (2005). Transactive memory systems,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rganization Science, 16(6), 581-598. 

  24. Lin, T. C., Cheng, K. T., & Wu, S. (2014). Knowledge Integration in ISD Project Teams: A Transactive Memory Perspective. Ope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2(4), 360-371. 

  25. Majchrzak, A., Malhotra, A., & John, R. (2005). Perceived individual collaboration know-how development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enabled contextualization: Evidence from distributed team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6(1), 9-27. 

  26. Moreland, R. L., & Myaskovsky, L. (2000). Exploring the performance benefits of group training: Transactive memory or improved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2(1), 117-133. 

  27. Oshri, I., Van Fenema, P., & Kotlarsky, J. (2008). Knowledge transfer in globally distributed teams: the role of transactive memory. Information Systems Journal, 18(6), 593-616. 

  28. Park, M. J. (2007).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through project-bas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265-288. 

  29. Shin, K. S., & Suh, A. (2010). Transactive Memory System of a Virtual Team: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5(2), 137-166. 

  30. Torp, L., & Sage, S. (1998).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ASCD. 

  31. Wegner, D. M. (1987). Transactive memory: A contemporary analysis of the group mind. In Theories of group behavior (pp. 185-208). Springer New York. 

  32. Woo, Y., Herrington, J. A., Agostinho, S., & Reeves, T. C. (2007). Implementing authentic tasks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Educause Quarterly, 30(4), 36-43. 

  33. Yoo, Y., & Kanawattanachai, P. (2001). Developments of transactive memory systems and collective mind in virtual team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9(2), 187-208. 

  34. Zhang, Z. X., Hempel, P. S., Han, Y. L., & Tjosvold, D. (2007). Transactive memory system links work team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6), 1722-17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