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상의 침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Burn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ase Controlled Trial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4, 2017년, pp.19 - 30  

이지은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정서윤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최유민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정민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upuncture treatment for burns by reviewing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nd case controlled studies. Methods In the review, ten academic literature archives; NDSL, OASIS, PubMed, Cochrane library, CNKI, WANFANG, CINAHL, J-STAGE, C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화상에 대한 침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RCT와 CCT를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소아 화상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찾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소아를 단독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광범위한 연령대의 화상 환자를 모집하여 연구가 진행된 경우가 많았기에 모든 연령대 범위에서의 연구를 포함시켰다.
  • 본 연구는 화상의 침 치료에 대한 근거 중심의 침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4편의 RCT와 2편의 CCT를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화상에 대한 외과적 치료의 한 가지 대안으로서 침 치료를 알리고자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련 문헌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였고, 화상에 대한 침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살펴보고 향후의 화상 치료와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상이란 무엇인가? 화상은 화염 또는 뜨거운 물이나 물체와의 접촉, 전기, 섬광, 방사능, 강산이나 강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에 의한 피부 및 조직의 손상을 뜻한다1). 소아기에 화상은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특히 약 85%는 가정에서 발생하며2) 정수기나 커피포트 등의 전열 제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화상 발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
소아기에 화상의 발생 특징과 추세는 어떠한가? 화상은 화염 또는 뜨거운 물이나 물체와의 접촉, 전기, 섬광, 방사능, 강산이나 강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에 의한 피부 및 조직의 손상을 뜻한다1). 소아기에 화상은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특히 약 85%는 가정에서 발생하며2) 정수기나 커피포트 등의 전열 제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화상 발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 이러한 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자료로도 알 수 있는데, 화상(T20-T26, T31)의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 명당 9세 이하가1,88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약 2배 정도로 진료인원이 많으며, 이는 16.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자료에 나타나는 소아기에 화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소아기에 화상은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특히 약 85%는 가정에서 발생하며2) 정수기나 커피포트 등의 전열 제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화상 발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 이러한 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지급자료로도 알 수 있는데, 화상(T20-T26, T31)의 건강보험 지급자료 분석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 명당 9세 이하가1,88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약 2배 정도로 진료인원이 많으며, 이는 16.9%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9세 이하 중에서도 1~4세의 비중이67.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ational Oriental Medical School Dermatology & Surgery Textbook Editing Board.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 Sun Wo Publisher. 2007:263-70. 

  2. An HS. Hongchangui pediatrics (10th ed). Seoul: Mirae-N. 2013:1206-9. 

  3. Cho KH, Jang YC, Lee JW, Koh JH, Seo DK, Choi JK. Clin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with age in cases of pediatric burn patients. J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g. 2011;38(4):445-50.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y child 'Burn', initial emergency care is important [Internet]. 2015 [Cited 2015 Aug 7].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4936. 

  5. Singer AJ, Dagum AB. Current management of acute cutaneous wounds. N Engl J Med. 2008;359(10):1037-46. 

  6. Atiyeh BS, Costagliola M, Hayek SN, Dibo SA. Effect of silver on burn wound infection control and healing: review of the literature. Burns. 2007;33(2):139-48. 

  7. Fuller FW. The side effects of silver sulfadiazine. J Burn Care Res. 2009;30(3):464-70. 

  8. DRUG INFO. Medical supplies search: silver sulfadiazine [Internet]. [Updated 2016 Aug 29]. Available from: http://www.druginfo.co.kr/cp/msd/detail/product_detail_ cp.aspx?cppid6583&cpingPid1506&cpingPid_List1506. 

  9. Jo HG, Park AR, Choi JB. Therapeutic effects of acupuncture and herbal external preparation on healing of deep partial thickness burn wound in rats. J Korean Med Rehabil. 2014;24(3):87-98. 

  10. Kopp J, Wang GY, Horch RE, Pallua N, Ge SD. Ancie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burn treatment: a historical review. Burns. 2003;29(5):473-8. 

  11. Jewo PI, Fadeyibi IO, Babalola OS, Saalu LC, Benebo AS, Izegbu MC, Ashiru OA. A comparative study of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Moist Exposed Burn Ointment (MEBO) and silver sulphadiazine. Ann Burns Fire Disasters. 2009;22(2):79-82. 

  12. Hirsch T, Ashkar W, Schumacher O, Steinstraesser L, Ingianni G, Cedidi CC. Moist Exposed Burn Ointment (MEBO) in partial thickness burns - a randomized, comparative open mono-center study on the efficacy of dermaheal (MEBO) ointment on thermal 2nd degree burns compared to conventional therapy. Eur J Med Res. 2008;13(11):505-10. 

  13. Jull AB, Rodgers A, Walker N. Honey as a topical treatment for wound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4):CD005083. 

  14. Maenthaisong R, Chaiyakunapruk N, Niruntraporn S, Kongkaew C. The efficacy of aloe vera used for burn wound healing: a systematic review. Burns. 2007;33(6): 713-8. 

  15. Lee JA, Jeong HJ, Park HJ, Jeon S, Hong SU. Acupuncture accelerates wound healing in burn-injured mice. Burns. 2011;37(1):117-25. 

  16. Kwon HY, Kim JH. An overview of Korean medicine for burn injury. Korean J Acupunct. 2009;26(4):157-72. 

  17. Ku YH, Choi IH. A case of second degree burn on the feet.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16(3):260-7. 

  18. Won SH, Owi JS, Choi EJ, Kwon KR. A clinical case study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burned hand. Acupunct. 2005;22(1):13-7. 

  19. Jung SY, Kang EK, Seo HS. One case of second degree burn wound.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20(1):285-93. 

  20. Jung HS, Nam JS, Li DH, Jang IS, Seo ES. A case report of scald burns treated with pharmacoacupuncture. 2009;12(3):89-95. 

  21. Im JY, Jang IS, Kim MS, Jeong MJ. A case report on superficial second-degree burn of an infant's forearm. J Pediatr Korean Med. 2016;30(4):1-7. 

  22.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uh HS, Shin CM.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1st ed.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65-92. 

  23. Lewis SM, Clelland JA, Knowles CJ, Jackson JR, Dimick AR.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like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on pain levels following wound care in patients with burns: a pilot study. J Burn Care Rehabil. 1990;11(4):321-9. 

  24. Tian XY, Cao Q, Zhao JJ. Observation of the analgesic effect of using wrist-ankle acupuncture in dressing change for patients with burns. Heilongjiang Nurs J. 2002; 8(11):826-7. 

  25. Luo CQ, Li GF, He QY, Zhou PX, Zhou JD, Zhu J, Peng H, Chen TF, Li P. Dermal needle in association with MEBO scar lotion in treating hypertrophic scar. Chin J Burns Wounds Surf Ulcers. 2003;15(1):68-70. 

  26. Qin J, Zhao JJ, Shen FP. Feasibility of using wrist-ankle acupuncture as an analgesic treatment in dressing change for patients with burns. Int J Nurs Sci. 2004;19(18):6-8. 

  27. Gao JF, Wang PP, Huang TF. Observing and nursing by treating burn injuries pruritus with acupuncture. Med J Ind Enterp. 2004;17(3):50-1. 

  28. Li P, Luo CQ, Xu YC, Xu D. Effect of acupuncture therapy on VEGF and endostatin in hypertrophic scar. J Biomed Res. 2010;36(16):1888-91. 

  29. Cho AR. Effect of silver sulfadiazine on the skin cell proliferation and wound healing process in hairless mouse 2nd degree burn model. J Korean Pharm Investig. 2002;32(2):113-7. 

  30. Sheridan RL. Burncare: results of technical and organizational progress. JAMA. 2003;290(6):719-22. 

  31. Atiyeh BS, Hayek SN, Gunn SW. New technologies for burn wound closure and healing-review of the literature. Burns. 2005;31(8):944-56. 

  32.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Gukyeokchijongjinam. Daejeon: BooksandPeople. 2007:128. 

  3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Gukyeoksaeuigyeongheombang. Daejeon: BooksandPeople. 2007:74. 

  34.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medicine. 1st ed. Seoul: Hanmibook. 2016: 133-5, 231-55, 28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