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유즙분비부전에 대한 침 치료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The Clinical Effect on Acupuncture Treatment of Postpartum Hypogalactia: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3, 2017년, pp.79 - 91  

김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박경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황덕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overview and evaluate the effect on postpartum hypogalactia after acupuncture treatment. Methods: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identified by database searches in Embase, Pubmed, CENTRAL, CNKI, KISS. Searching keyword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산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연구로는 침 치료를 시행한 임상연구 논문9) 단 한 편뿐이며 산후 유즙분비부전의 침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국내 연구로는 이 연구9)가 유일하다. 따라서 산후 유즙분비부전의 침 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저자는 산후 유즙분비부전에 침 치료가 어떤 임상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 뒤 향후 시행될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후에 유즙분비 저하를 보이는 산모에게 침 치료를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그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8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과 배제기준을 거쳐 최종 선정된 논문은 총 5편이었다.
  • 실제 산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연구로는 침 치료를 시행한 임상연구 논문9) 단 한 편뿐이며 산후 유즙분비부전의 침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국내 연구로는 이 연구9)가 유일하다. 따라서 산후 유즙분비부전의 침 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저자는 산후 유즙분비부전에 침 치료가 어떤 임상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한 뒤 향후 시행될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하지만 본 연구는 산후 유즙분비부전에 대한 침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도된 체계적 논문 고찰 이라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모유량 부족으로 수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모에게 침 치료 효과에 대한 근거 자료로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향후 유즙분비부전에 대한 통일된 치료효과의 준거가 마련이 되고, 논문 설계의 질을 향상하여 추후 유즙분비부전으로 고생하는 산모들의 치료방안에 대한 임상적 근거 자료들이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량 부족의 원인은? 여성의 고학력화와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며 만혼과 함께 고령임신 및 출산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난산과 제왕절개 분만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3),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많은 여성들은 모유수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다수는 모유량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4).
모유란? 모유는 6-23개월 영아에게 중요한 에너지 및 영양 공급원이며 생후 1시간 내 모유수유를 시작하면 신생아를 감염으로 부터 보호하여 영아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생후 6개월 동안 완전 모유수유를 시행하면 영유아의 위장관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영아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은? 모유는 6-23개월 영아에게 중요한 에너지 및 영양 공급원이며 생후 1시간 내 모유수유를 시작하면 신생아를 감염으로 부터 보호하여 영아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생후 6개월 동안 완전 모유수유를 시행하면 영유아의 위장관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ant and young chile feeding[cited May 24, 2017]. Available from:URL: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42/en. 

  2. Korean committee for UNICEF. A Survey of Breatfeeding in korea. Seoul:Korean committee for UNICEF. 2016:17, 33. 

  3. Park HJ, et al. Pregnancy outcomes in women aged 35 and older. Korean J Obstet Gynecol. 2006;49(10):2066-74. 

  4. Cho JS, Ahn S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Breast Engorgement following Cesarean Birth. J Korean Acad Nurs. 2014;44(2):170-8. 

  5. Qin WD, et al. Effects of precondition of acupoint embedding thread on enterokinesia and lactation in the post -cesarean parturient.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7;27(6):417-20. 

  6.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Seoul: Euiseongdang. 2012:692-3, 805-7. 

  7. Lee AY, et al. Effects of Boheotang-gagam on Milk Production and Factors Related Lactation in Postpartum Mice.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1):35-52. 

  8. Song YH, Kim TH. Effect on Factors Related Lactation after Administration of Palmul-ta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1):12-29. 

  9. Kim TH, et al.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the Change of Milk Production. J Korean Obstet Gynecol. 2007;20(4):74-86. 

  10. Kim SY, et al. NECA's guidance for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1st edition. Seoul:National Evidencebased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65-91. 

  11. Cheng KC. The study of Clinical Study on Acupuncture Treatment of Postpartum Hypogalactia. Collection of dissertation of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2. 

  12. Lei JP. Clinical observation of acupuncture combined with local massage in the treatment of postpartum. Guide of China Medicine. 2014;12(7):219-20. 

  13. Li QX, Li JH. Clinical Study on Acupuncture Treatment of Postpartum Hypogalactia in Qi-blood deficiency. Journal of Clinical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6;32(12):28-30. 

  14. Li Z, Chen YC, Su Lq. Time phase modulation method of acupuncture in treatment of postpartum hypogalactia. Journal of Changchun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6;32(1):139-40. 

  15. Zhou HY.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Post-cesarean Hypogalactia by Auricular Points Sticking-Pressing. Chin J Integr Med. 2009;15(2):117-20. 

  16. Kim YN. Study on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immune components in breast milk. Collection of dissertation of Ewha Woman's graduate school. 1992. 

  17. Kim JY, et al. Analysis of online breast-feeding consultation on the website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Korean J Pediatr. 2008;51(11):1152-7. 

  18.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revised, updated and expanded for integrated care. Seoul: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2009:76-7, 96-108. 

  19. Seo JW, et al.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Breast-feeding in pregnant woman. J Korean Pediatr Soc. 2002;45(5):575-87. 

  20. Choe YH, et al.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Status of Formula Feeding in Infants. J Korean Pediatr Soc. 2000;43(7):878-88. 

  21. Kim HR. Issue & Focus.:Kim YH. The trend of breast feeding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political measures for promoting breast feeding.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1-8. 

  22. Moon GY, et al. Breat Feed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Breast-Feeding Problem during the First Week of Postpartum.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8;4(3):416-28. 

  23. Lim YK, et al.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Volume I). 5th edition. Gangwon-do:Yibang medicalbook center. 2010:259, 447. 

  24. Lim YK, et al.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Volume II). 5th edition. Gangwon-do:Yibang medicalbook center. 2010:1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