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따른 대시호탕(大柴胡湯) 투여와 압출치료를 병행하여 호전된 성인 여드름 증례보고
A Case Report for Adult Acne treated by Daesiho-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with Extrusion therapy 원문보기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v.9 no.1, 2017년, pp.59 - 73  

김형섭 (양감보건지소 한의과 진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report the effect of Daesiho-tang on adult acne by Shanghanlun provisions with extrusion therapy. Methods : According to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aeyang-byung Gyeolhyung and treated by Daesi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드름이 젊은 나이의 환자보다 나이가 많은 환자의 삶을 더 손상시키는 이유는?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있는데 외모에 관심이 더 많은 어리거나 젊은 나이의 환자보다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더 삶의 질의 손상을 크게 느낀다는 것이다17). 자신과 같은 여드름을 앓는 동료가 많은 어린 연령대에서는 오히려 여드름의 발생이 삶의 질의 손상으로 잘 연결되지 않는 반면, 비교적 여드름의 발생이 드문 30-40대 환자들은 여드름의 발생이 삶의 질의 손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진행한 "피부 상태 때문에 느끼시는 가장 불편한 점은 무엇입니까?"라는 주관식 질문에 대하여 61명의 여드름 환자 중 8명이 "성인임에도 발생한 여드름"이란 답을 한 것으로 뒷받침 될 수 있다17). 따라서 성인 여드름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드름은 무슨 질환인가요? 여드름은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염증질환으로 면포, 구진,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pseudocyst)등 다양한 병터가 나타나며, 활동병터의 후유증으로 흉터를 남기기도 한다. 주로 사춘기에 발생하는 피부질환으로 사춘기 청소년의 85 %에서 관찰되지만, 최근에는 25세 이후까지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성인기 여드름이 증가하고 있으며1) 발생율이 33.6%에 이른다2). 장기간 지속되면 환자는 스스로의 외모에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이 심해져 대인관계를 회피하므로써, 사회공포증이나 우울증 같은 정신과적인 문제로 발전할 위험성도 있어3)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에 여드름은 성인기에서도 매우 중요한 피부 질환이다.
여드름의 한의학적 중재 방법은? 한의학적 중재 방법으로는 내복 한약과 침, 뜸, 부항을 비롯해 약침, 외용제, 미세다륜침(MTS)등이 있는데, 이들 중 여드름을 만성적인 내과적 전신질환의 관점에서 치료하는 가장 주된 수단은 한약이라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extbook of Dermatology. 6th ed. Seoul : Daehaneuihak. 2014:528-535. 

  2. YH Lee. A Study on the Degree of the Knowledge of the Acne and the Research upon the Actual Condition in Adult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Chung-Ang University. 2001. 

  3. JY Jung. Acne. MD world. 2007:15,186,518. 

  4. RE Rakel, DP Rakel. Textbook of Family Medicine. 8th ed. Elsevier. 2013:802-803. 

  5. HR Park. Clinical Studies of Herbal Treatment for Acne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2016. 

  6. SW Ju. A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und Screening and HPLC/TLC analysis of Commercial Extract Granule for Developing Standard of Extract Granules in Korean Market -Daesihotang Extract Granul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2017. 

  7. HG Lee, YK Jeong, MH Jung, WS Jung, SK Moon, KH Cho. Clinical Report on a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Paralytic Ileus Treated by Bo-ryu Enema and Daeshiho-tang. J. Int. Korean Med. 2016;37(2):225-231. 

  8. MH Moon, YK Cho, YJ Gug, JY Park, CH Choi, JC Hur, H Kim, DG Baek, G Moon, JH Won. Clinical Report of an Aspect Soyangyangmyunghabbyung Patient with Acute Pyelonephriti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19(6):1706-1709. 

  9. HY Kim, SH Hong, IH Park, SH Shin,YM Kwon. Twenty-two Case of Acne Treated by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Therapy Combined with Herbal Medicine and Extrus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3):114-125. 

  10. SJ Lee, JE Lim.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11. JK Chang. Gangpyeong Shanhanlun.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3. 

  12. KJ Sung, YS Rho, EH Choi, JJ Oh, JH Lee, SW Kim, NI Kim. Korean Acne Grading System. Korean J Dermatol. 2004;42(10):1241-1247. 

  13. MM Chren. The Skindex Instruments to Measure the Effects of Skin Disease on Quality of Life. Dermatol Clin. 2012;30(2): 231-236. 

  14. BK Ahn, SJ Lee, K Namkoong, YL Chung, SH Lee. The Korean Version of Skindex-29. Korean J Dermatol. 2004;42(1):9-15. 

  15. SI Lee. Comparison of Shanghanlun. Seoul:KMediACs publishing house. 2015:31,35,38,95,99,103,208. 

  16. Jowett S, Ryan T. Skin disease and handicap: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kin conditions. Soc Sci Med. 1985;20(4):425-429. 

  17. BK Ahn, SJ Lee, K Namkoong, YL Chung, SH Lee.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5;43(1):6-14. 

  18. YS Ha. Chinese Character Etymology Dictionary. Three. 2015:17,207,559,692. 

  19. http://www.chineseetymology.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