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유방암 환자들의 인지 기능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Complaining Cognitive Declin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36 - 144  

이선아 (연세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박경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김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치료를 마친 유방암 환자들에서 인지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인지 저하는 항암치료, 암이라는 질병 자체의 영향, 우울과 불안을 포함하는 정서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지 저하가 항상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객관적 인지기능 검사와 관련성이 있는지, 인지 저하의 관련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치료 종료 후 6개월이 지난 유방암 환자들 중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29명의 환자군과 동일한 연령대의 20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였고,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신경심리검사 점수와 우울, 불안을 포함하는 정서 요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고, 연령, 교육수준, 공존 질환과의 연관성도 함께 알아보았다. 결 과 유방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 신경심리검사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방암 환자군에서 우울(p=0.002) 및 불안(p<0.001) 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유방암 환자군 내에서 연령, 교육수준, 공존 질환을 통제하였을 때 실행기능의 저하는 높은 우울(${\beta}=-0.336$, p=0.001), 불안(${\beta}=-0.273$, p=0.009)의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주의력 저하도 높은 우울(${\beta}=-0.375$, p=0.023) 및 불안(${\beta}=-0.404$, p=0.013)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연구 결과 환자들의 주관적 인지 저하와 객관적 인지기능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스트레스의 지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Cognitive complaints are reported frequentl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s. The causes of cognitive decline are multifactorial, a result of the effect of cancer itself, chemotherapy,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However, cognitive decline does not alway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하는 인지 저하와 관련한 연구가 국외에서 꾸준히 실시되어 온 것에 반해 국내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방사선 및 항암 치료를 마친 유방암 환자에서 인지 기능 검사를 통해 객관적 인지 저하 여부를 평가하고, 인지 저하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 저하의 원인은? 연구목적 치료를 마친 유방암 환자들에서 인지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인지 저하는 항암치료, 암이라는 질병 자체의 영향, 우울과 불안을 포함하는 정서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지 저하가 항상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인지기능이란? 치료를 마친 유방암 환자들은 피로, 수면 장애 등 비특이적인 증상을 흔히 호소하는데, 2) 이러한 증상들 중 삶의 질 3)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지 저하가 1990년대 후반부터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인지기능이란 주의력, 기억력, 판단력, 언어 능력, 시공간기능, 실행기능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지적 능력을 말한다. 4) 특히 항암치료가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보고됨에 따라 케모 브레인(chemo-brain)이라는 개념이 생겨났고, 5-7) 항암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기억력, 주의력, 처리속도 등 다양한 영역의 인지 저하를 호소하였으나 특히 기억력 및 주의력 저하를 호소했다.
유방암 관련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먼저 적은 연구 대상자수로 인해 위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방암 환자군에서 치료 전의 인지기능을 측정하지 않아 실제로 치료 전에 비해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이전 여러 연구들에서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성을 보였던 폐경 여부,43) 유방암 진단 후 기간44) 등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분석하지 못한 것과 치료 종결 후의 기간을 조사하고 통일하지 못한 점 또한 한계다. 마지막으로, 대조군에서는 인지기능과 정서요인 사이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 우울과 불안 점수의 변량이 낮아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결과로 유방암 환자군에서만 고유하게 정서요인과 인지기능이 관련있다고 판단할 수는 없으면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ancer.go.kr. Cancer survival rate.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302000000. Accessed December 20, 2016. 

  2. Bower JE. Behavioral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survivors. J Clin Oncol 2008;26:768-777. 

  3. Wefel JS, Vardy J, Ahles T, Schagen SB. International Cognition and Cancer Task Force recommendations to harmonise studies of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ancer. Lancet Oncol 2011;12:703-708. 

  4. McAllister TW.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affective disorders. Compr Psychiatry 1981;22:572-586. 

  5. Wefel JS, Schagen SB.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Curr Neurol Neurosci Rep 2012;12:267-275. 

  6. Falleti MG, Sanfilippo A, Maruff P, Weih L, Phillips KA. The nature and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adjuvant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of the current literature. Brain Cogn 2005;59:60-70. 

  7. Collins B, MacKenzie J, Tasca GA, Scherling C, Smith A.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a dose-response study. Psychooncology 2013;22:1517-1527. 

  8. Wefel JS, Lenzi R, Theriault RL, Davis RN, Meyers CA. The cognitive sequelae of standard-dose adjuvant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rcinoma: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longitudinal trial. Cancer 2004;100:2292-2299. 

  9. Hermelink K, Untch M, Lux MP, Kreienberg R, Beck T, Bauerfeind I, Munzel K. Cognitive function during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result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longitudinal study. Cancer 2007;109:1905-1913. 

  10. Hermelink K. Chemotherapy and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So-Called Chemo Brain. J Natl Cancer Inst Monogr 2015;2015:67-69. 

  11. Pullens MJ, De Vries J, Van Warmerdam LJ, Van De Wal MA, Roukema JA. Chemotherapy and cognitive complaint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13;22:1783-1789. 

  12. Van Dyk K, Ganz PA, Ercoli L, Petersen L, Crespi CM. Measuring cognitive complaints in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tient's assessment of own functioning inventory. Support Care Cancer 2016;24:4939-4949. 

  13. Debess J, Riis JO, Engebjerg MC, Ewertz M.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vant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0;121:91-100. 

  14. Jenkins V, Shilling V, Deutsch G, Bloomfield D, Morris R, Allan S, Bishop H, Hodson N, Mitra S, Sadler G, Shah E, Stein R, Whitehead S, Winstanley J. A 3-year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s on cognition in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 J Cancer 2006;94:828-834. 

  15. van Dam FS, Schagen SB, Muller MJ, Boogerd W, vd Wall E, Droogleever Fortuyn ME, Rodenhuis S.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women receiving adjuvant treatment for high-risk breast cancer: high-dose versus standard-dose chemotherapy. J Natl Cancer Inst 1998;90:210-218. 

  16. Schagen SB, van Dam FS, Muller MJ, Boogerd W, Lindeboom J, Bruning PF. Cognitive deficits afte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rcinoma. Cancer 1999;85:640-650. 

  17. Hermelink K, Kuchenhoff H, Untch M, Bauerfeind I, Lux MP, Buhner M, Manitz J, Fensterer V, Munzel K. Two different sides of 'chemobrain': determinants and non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cognitive dysfunction in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Psychooncology 2010;19:1321-1328. 

  18. 한오수, 홍진표. DSM-IV의 제1축 장애의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 SCID-I 연구용 판: 하나의학사;2000. 

  19. Callahan CM, Hendrie HC, Tierney WM. Docu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rimary care patients. Ann Intern Med 1995;122:422-429. 

  20. Mortamais M, Portet F, Brickman AM, Provenzano FA, Muraskin J, Akbaraly TN, Berr C, Touchon J, Bonafe A, le Bars E, Menjot de Champfleur N, Maller JJ, Meslin C, Sabatier R, Ritchie K, Artero S. Education modulates the impact of white matter lesions on the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 J Geriatr Psychiatry 2014;22:1336-1345. 

  21. Rock PL, Roiser JP, Riedel WJ, Blackwell AD. Cognitive impairment in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l Med 2014;44:2029-2040. 

  22. Breckenridge LM, Bruns GL, Todd BL, Feuerstein M. Cognitiv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amoxifen and aromatase inhibitors in employed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2;21:43-53. 

  23. Fortier-Brochu E, Beaulieu-Bonneau S, Ivers H, Morin CM. Insomnia and daytime cognitive performance: a meta-analysis. Sleep Med Rev 2012;16:83-94. 

  24. Mandelblatt JS, Stern RA, Luta G, McGuckin M, Clapp JD, Hurria A, Jacobsen PB, Faul LA, Isaacs C, Denduluri N, Gavett B, Traina TA, Johnson P, Silliman RA, Turner RS, Howard D, Van Meter JW, Saykin A, Ahles T.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efore systemic therapy: is there an interaction between cancer and comorbidity? J Clin Oncol 2014;32:1909-1918. 

  25.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0;23:56-62. 

  26. Thompson E.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Occup Med(Lond) 2015;65:601. 

  27.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28.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803-812. 

  29.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40:373-383. 

  30. Yeom TH PY, Oh JK, Kim TH. Korean versio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Seoul: Korean Guidance;1992. 

  31. 김홍근.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2001. 

  32. Stroop JR.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Ph D]. Nashville, Tenn.: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1935. 

  33. Raven J, Raven, J.C., & Court, J.H. Manual for Raven's Progressive Matrices and Vocabulary Scales. San Antonio, TX: Harcourt Assessment;2003. 

  34. Abdel-Khalek AM, Raven J. Normative data from the standarization of Raven's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in Kuwait in an international context.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006;34:169-180. 

  35. Miklewska A, Kaczmarek M, Strelau J.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intelligence: Cross-sectional study in successive age group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6;40:643-654. 

  36. Kim HK. What are real differences between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141-158. 

  37. Schilder CM, Seynaeve C, Linn SC, Boogerd W, Beex LV, Gundy CM, Nortier JW, van de Velde CJ, van Dam FS, Schagen SB. Self-reported cognitive functioning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before and during endocrine treatment: findings from the neuropsychological TEAM sidestudy. Psychooncology 2012;21:479-487. 

  38. Hutchinson AD, Hosking JR, Kichenadasse G, Mattiske JK, Wilson C.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chemotherapy for cancer: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 Rev 2012;38:926-934. 

  39. Bender CM. Chemotherapy may have small to moderate nega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ing. Cancer Treat Rev 2006;32:316-319. 

  40. Oh SW. Review of the Korean Wechlet adult intelligence scalerevised Wonkwang Psychiatry 1995;11:27-47. 

  41. Kim LS, Hwang HS, Jon DI, Ham BJ, Seok JH. Dysfunction of the neural network associated with sustained attention in cancer patients with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Neurosci Lett 2008;447:1-6. 

  42. Dirnberger G, Jahanshahi M. Executive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a review. J Neuropsychol 2013;7:193-224. 

  43. Janelsins MC, Kohli S, Mohile SG, Usuki K, Ahles TA, Morrow GR. An update on cancer- and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current status. Semin Oncol 2011;38:431-438. 

  44. Hedayati E, Alinaghizadeh H, Schedin A, Nyman H, Albertsson M.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 on cognitive function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Eur J Oncol Nurs 2012;16:315-322. 

  45. Wefel JS, Saleeba AK, Buzdar AU, Meyers CA. Acute and late onset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2010;116:3348-3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