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현황 조사연구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Disabling Mental Illness in Korea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45 - 152  

한명훈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지웅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도윤 (충청남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  박혜선 (릿쿄대학교 커뮤니티복지학부) ,  박한선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 ,  황태연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 ,  서용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  김승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우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상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정신장애인의 관리에서 있어서 탈원화와 공중보건 기반의 치료가 오랫동안 지속되어왔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실태와 현황 및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정신질환자에게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과 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화 및 전자 메일을 통하여 기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시행 중에 있는 국내 108개 기관에 설문 양식을 배포하였다. 전체 응답률은 40.74% 였다. 결 과 각 기관의 직업재활 담당은 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47.8%)였으며, 조사 대상기관 중 100만원 미만 예산이 대부분(61.5%)이었다. 가장 보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사례 관리 서비스(23.1%)였고, 그 다음은 정신사회 재활 프로그램(21.2%), 작업 훈련(17.9%) 이었다. 가장 효과가 좋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은 사례관리 서비스(27.4%)였으며, 정신사회 재활 프로그램(19.8%), 작업훈련(17.9%) 순이었다. 직업 재활에 대한 주요 장애물로 조사된내용은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수혜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에 대한 우려'였다. 결 론 본 연구 조사의 결과 직업재활프로그램이 필요하나 정부와 기관의 기본적인 지원이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re has been long lasting trend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public health centered care in management of individuals with disabling mental illness. We aimed to investigate curr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tate and effectiveness of system in korea. Methods : We carried basic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의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에 관한 연구들이 늘어남에 따라 현황 파악, 문제 분석, 개선 방안을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의 실태에 대한 현황과 포괄적인 개관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한 제시를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설문 문항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최근의 직업재활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기관, 운영 인력, 직업재활에 할당된 예산 비율 등에 따른 직업재활의 운영, 업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업재활의 운영, 업무의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전체 환자 중 직업 재활 등록회원 비율, 장애인 등록 비율, 담당자의 만족도 여부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설문 문항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최근의 직업재활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기관, 운영 인력, 직업재활에 할당된 예산 비율 등에 따른 직업재활의 운영, 업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1%)으로 다수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실태에 따른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한 제시를 통해 보다 나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직업재활 모델의 발전과 도입에도 불구하고 보호작업장 모델 만을 선택하여 직업재활을 운영하는 비율이 사회복귀시설의 반 가까이(44.
  • 또, 각 기관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 직업재활 담당인력 존재 여부, 담당 인력의 타 업무 병행 여부, 프로토콜 존재 여부, 담당자의 만족도 여부, 보호작업장 모델만을 선택하여 운영 중인지 여부를 정하고 교차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관별 효과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전체 기관의 전체 예산 중 직업재활에 할당된 예산의 비율 별로 등록 회원 비율, 장애인 등록 비율, 담당자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예산 비율은 연속 변수이기 때문에 0%, 0~5%, 5~10%, 10%초과인 경우로 범주화 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등록 회원 비율 및 장애인 등록 비율과의 연관성을 종속변수로 놓고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장애인의 낮은 취업률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정신장애인의 낮은 취업률은 사회기술능력, 직업적 기능 저하와 같은 환자의 개인적 요인 이외에도, 사회의 구조적, 정책적 문제 등으로부터 비롯된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재활을 시행하는 기관의 역할 분배, 접근성, 재정적 지원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들이 있어왔다.
우리나라에서 정신장애인의 낮은 취업률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한 정책은? 정신장애인의 낮은 취업률은 사회기술능력, 직업적 기능 저하와 같은 환자의 개인적 요인 이외에도, 사회의 구조적, 정책적 문제 등으로부터 비롯된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재활을 시행하는 기관의 역할 분배, 접근성, 재정적 지원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들이 있어왔다.10) 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시 적절한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직업재활은 어떻게 제공되는가? 직업재활은 작업 훈련, 보호작업장프로그램, 지지고용프로그램, 독립고용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되는데, 고전적인 형태의 보호작업장프로그램에서 실제 사회로의 복귀를 장려하는 지원고용프로그램으로 방향이 바뀌고 있다.5) 그 동안 국내에서도 정신장애인의 사회 복귀를 위해 직업 훈련 후 실 근무지로의 고용으로 이어지는 직업재활을 많이 시도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arske G, Stewart Jay. Stigmatic and Mythical Thinking: Barriers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J Rehabil 1999;65:4-8. 

  2. 최희철. 한국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과 발전방안.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15;12:39-54. 

  3. William CT, Kim TM, Gregory HM, Robert ED. Self-Esteem as an Outcome Measure in Studi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Psychiatric Services 2000;51:229-233. 

  4. Dunn EC, Wewiorski NJ, Rogers 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mployment to people in recovery from serious mental illness. Results of a qualitative study. Psychiatr Rehabil J 2008;32:59-62. 

  5. 김혜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근거 중심 지원 고용 모델과 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애와 고용 2013;23:57-81. 

  6. Lehman AF, Kreyenbuhl J, Buchanan R, Buchanan RW, Dickerson FB, Dixon LB, Goldberg R, Green-Paden LD, Tenhula WN, Boerescu D, Tek C, Sandson N, Steinwachs DM. The Schizophrenia Patient Outcomes Research Team(PORT): updated treatment recommendations 2003. Schizophr Bull 2004;30:193-217. 

  7. Bond GR. Supported employment: evidence for an evidencebased practice. Rehabilitation Journal 2004;27:345-359. 

  8. Mueser KT, Salyers MP, Mueser PR. A prospective analysis of work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01;27:281-296. 

  9. 하경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2011년 2월. 

  10. 황태연.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 장애인고용 2003;48:5-20. 

  11. 나운환, 장원주. 정신장애인 고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정신보건전문가와 직업재활전문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2002;12:147-168. 

  12. 이혜경, 김민, 이수연. 중증장애인직업재활사업 예산지급 가 이드라인 개발 연구: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 장애인개발원[편]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2016. p.113-120. 

  13. 김수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시설의 운영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2005년. 

  14. 서동명. 2011 16개 시, 도 장애인복지, 인권 비교연구.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2011. 

  15. 손성원. 정신보건전문요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이학석사 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2016. 

  16. Dorothea Jackel MA, Zeno Kupper, Sibylle Glauser MA, Kim T Mueser, Holger Hoffmann. Effects of Sustained Competitive Employment on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and Quality of Life. Psychiatric Services June 2017;68:603-609. 

  17. Kinoshita Y, Furukawa TA, Kinoshita K, Honyashiki M, Omori IM, Marshall M, Bond GR, Huxley P, Amano N, Kingdon D. Supported employment fo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 Issue 9. 

  18. Tom Burns, Jocelyn Catty, Thomas Becker, Robert E Drake, Angelo Fioritti, Martin Knapp, Christoph Lauber, Wulf Rossler, Toma Tomov, Jooske van Busschbach, Sarah White, Durk Wiersma, for the EQOLISE Group. The effectiveness of supported employment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7;370:1146-1152. 

  19. 박경수. 전인재활로서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고찰.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