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직업재활실무자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479 - 490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배은미 (태화샘솟는집) ,  신숙경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  박동진 (한영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해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제공하는 직업재활서비스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직업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직업재활서비스의 정체성을 찾도록 매뉴얼과 지침의 정비가 요구되었으며, 직업재활서비스에 참여하는 근로자에게 맞는 세부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 장애인과 동등하고,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직업재활서비스의 운영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서비스의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related to their services, then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strategic plans for the services. To this purpose, data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재활이 갖는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직업재활은 신체적 및 정신적 손상을 비롯해서 이에 따른 영향으로 인하여 직업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질 뿐 아니라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으로서 경험해야 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1]. 특히 직업재활이 가지는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이 본인의 능력 및 적성에 부합되는 직종을 탐색하여 취업을 하고, 그 일에 높은 만족감을 느끼면서 적응할 뿐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2]. 지금까지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정신장애인 대상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해서는 아직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직업재활이란 무엇인가? 직업재활은 신체적 및 정신적 손상을 비롯해서 이에 따른 영향으로 인하여 직업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질 뿐 아니라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으로서 경험해야 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1]. 특히 직업재활이 가지는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이 본인의 능력 및 적성에 부합되는 직종을 탐색하여 취업을 하고, 그 일에 높은 만족감을 느끼면서 적응할 뿐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2].
정신장애 관련 기관들에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심을 갖고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은 1999년에 개정되어 장애인의 범주가 확대되었고, 2000년부터는 정신질환자들이 이 법에 근거한 재활서비스 대상에 포함되었다[4]. 이에 따라 많은 정신장애 관련 기관들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들을 위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J. Park., D. Y. Lee & S. W. Lee. (2003). A Study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amo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3(2), 101-127. UCI : G704-001534.2003.13.2.002 

  2. K. S. Kim. (1999). Vocational rehabilitation tasks and measures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minar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Korea Employment Promo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31-41. 

  3. M. Y. Yun. (2013). A Study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trategy for Psychaiatric Disabled,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Cheonan 

  4. S. J. Ki. (2005). A Study on the Operation of Work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Mentally Disabl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5. M. H. Jung. (2017).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sychiatric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45(1), 201-228. DOI : http://doi.org/10.24301/MHSW.2017.03.45.1.201 

  6. H. C. Choi. (2015). Present Codi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12(1), 39-54.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2020 Mental Health Business Information,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C. K. Kim. (1996). Overview of Family Therapy for Schizophrenia, Pusan Psychiatry, 5(1), 99-130. 

  9. H. S. Park., I. S. Chae & J. E. Kang. (2011). A Case Stud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Mental Health & Social Work, 37, 443-457. UCI : G704-000500.2011..37.012 

  10. H. K. Chang., J. S. Ha. (2017), Work Experience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in Recovery Paradigm -With a Focus on 'EM Practice'-,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7, 153-192. DOI : http://doi.org/10.22779/kadw.2017.37.37.153 

  11. Y. M. Kim & K. H. Lee. (2018).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4), 1129-1144. DOI : http://dx.doi.org/10.22143/HSS21.9.4.79 

  12. M. Kim., K. Y. Rhee & S. J. Jo. (2015). The Effects of Vo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4), 253-274. DOI : http://dx.doi.org/10.15870/jsers.2015.12.54.4.253 

  13. K. H. Ha. (2015).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s of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6(4), 115-135. DOI : http://doi.org/10.16999/kasws.2015.46.4.115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National Mental Health Statistics 3rd Pilot Study, Seoul :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15. Y. P. Lee. (2007). Case study on the growth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 for mentally disabled person: focused on social capital theory,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7(2), 5-29. UCI : G704-001534.2007.17.2.002 

  16. K. R. Shin., M. S. Koh., B. H. Kong., K. S. Kim., M. Y. Kim., E. H. Kim.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7. O. K. Kim., H. H. Paek. (2020).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8(2), 99-114. DOI : http//doi.org/10.14519/kjot.2020.28.2.08 

  18. M. H. Han., J. W. Kim., D. Y. Kim., H. S. Park., H. S. Park., T. Y. Hwang., Y. J. Seo., S. J. Kim., W. Y. Im & S. M. Lee. (2017).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Disabling Mental Illn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5(2), 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