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회복탄력성을 통한 주관적 불면의 심각도와 자살사고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Suicidal Idea Through Resilienc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93 - 199  

정사임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주가원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상익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신철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손정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시경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불면은 자살사고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어떻게 자살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불면 증상이 회복탄력성과 자살사고와 상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이 불면증상과 자살사고의 매개요소가 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4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및 관련 검사를 수행하였다. 불면증 심각성 척도, 한국판 코너-데이비드슨 회복탄력성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 및 벡 무망감 척도를 활용하여 불면증상, 자살사고, 회복탄력성, 무망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각 요소간의 상관분석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불면증상이 심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았고, 자살사고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망감, 연령, 성별, 동거가족, 가정 내 월수입을 통제하여도 유의하였다. 더불어 입면의 어려움과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와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하여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복탄력성도 유의하게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회복탄력성이 불면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중재자가 됨을 확인하였다. 결 론 수면상태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평가 및 개입이 자살사고를 낮추어 자살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somnia may be one of the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by which sleep disturbances confer risk for suic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amine whether insomnia severity would be associated with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력이 불면의 정도와 자살사고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불면 증상의 심각도가 직접적으로 회복탄력성과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고,간접적으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저자들은 첫째, 불면증상과 낮은 회복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자살사고를 증가시킨다는 가설과 둘째, 불면증상이 회복력을 저하시켜 자살사고를 증가시킨다라는 가설을 세우고,본 연구에서 이를 입증하려고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이 연구를 통해 수면의 어려움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져, 자살사고를 예측하고 통제하는데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에 대한 체계적인고 과학적인 대책이 필요한 이유는? 5배나 더 많은 실정이다.2)이에 자살예방대책을 세우고, 자살률감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는 있으나 아직은 감소수준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살의 위험요소를 감소시키고, 자살충동을 억제하는 방어인자를 파악하여 강화시키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불면이 회복탄력성과 자살사고와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는 무엇인가? 불면증 심각성 척도, 한국판 코너-데이비드슨 회복탄력성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 및 벡 무망감 척도를 활용하여 불면증상, 자살사고, 회복탄력성, 무망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각 요소간의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불면증상이 심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았고, 자살사고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망감, 연령, 성별, 동거가족, 가정 내 월수입을 통제하여도 유의하였다. 더불어 입면의 어려움과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와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하여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복탄력성도 유의하게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회복탄력성이 불면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중재자가 됨을 확인하였다. 결 론 수면상태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평가 및 개입이 자살사고를 낮추어 자살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회복탄력성의 정의는? 회복탄력성 또한 자살사고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 중 정신과적 영역에서 주목하고 있는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회복탄력성은 아동기 학대 등 심각한 후유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정적인 경험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적응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16) 현대적 모델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동적인 체계의 안정성, 생존력, 발달등을 위협하는 중대한 도전에 견디거나 회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폭넓게 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201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2017.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7. 

  3. Currier D, Mann JJ. Stress, genes and the biology of suicidal behavior. Psychiatr Clin North Am 2008;31:247-269. 

  4. Wojnar M, Ilgen MA, Wojnar J, McCammon RJ, Valenstein M, Brower KJ. Sleep problems and suicidality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J Psychiatr Res 2009;43:526-531. 

  5. Wong MM, Brower KJ. The prospectiv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roblems and suicidal behavior in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J Psychiatr Res 2012;46: 953-959. 

  6. Wong MM, Brower KJ, Zucker RA. Sleep problems, suicidal ideation, and self-harm behaviors in adolescence. J Psychiatr Res 2011;45:505-511. 

  7. Turvey CL, Conwell Y, Jones MP, Phillips C, Simonsick E, Pearson JL, Wallace R. Risk factors for late-life suicide: a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Am J Geriatr Psychiatry 2002;10:398-406. 

  8. Bae SM, Lee YJ, Cho IH, Kim SJ, Im JS, Cho SJ.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of the general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3;28:602-607.. 

  9. Lapierre S, Boyer R, Desjardins S, Dube M, Lorrain D, Preville M, Brassard J. Daily hassles, physical illness, and sleep problems in older adults with wishes to die. Int Psychogeriatr 2012;24:243-252. 

  10. Kodaka M, Matsumoto T, Katsumata Y, Akazawa M, Tachimori H, Kawakami N, Eguchi N, Shirakawa N, Takeshima T. Suicide risk among individuals with sleep disturbances in Japan: a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Sleep Med 2014;15:430-435. 

  11. Goldstein TR, Bridge JA, Brent DA. Sleep disturbance preceding completed suicide in adolescents. J Consult Clin Psychol 2008;76:84-91. 

  12. Ribeiro JD, Pease JL, Gutierrez PM, Silva C, Bernert RA, Rudd MD, Joiner TE. Sleep problems outperfor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in young adults in the military. J Affect Disord 2012;136:743-750. 

  13. Bernert RA, Turvey CL, Conwell Y, Joiner TE. Association of poor subjective sleep quality with risk for death by suicide during a 10-year period: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of late life. JAMA Psychiatry 2014;71:1129-1137. 

  14. Bernert RA, Joiner TE. Sleep disturbances and suicide risk: A review of the literature. Neuropsychiatr Dis Treat 2007;3:735-743. 

  15. Chu C, Hom MA, Rogers ML, Ringer FB, Hames JL, Suh S, Joiner TE. Is Insomnia Lonely? Exploring Thwarted Belongingness as an Explanatory Link between Insomnia and Suicidal Ideation in a Sample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J Clin Sleep Med 2016;12:647-652. 

  16. Rutter M. Implications of resilience concepts for scientific understanding. Ann N Y Acad Sci 2006;1094:1-12. 

  17. Masten AS. Resilience in children threatened by extreme adversity: frameworks for research, practice, and translational synergy. Dev Psychopathol 2011;23:493-506. 

  18. Liu DW, Fairweather-Schmidt AK, Roberts RM, Burns R, Anstey KJ. Does resilience predict suicidality? A lifespan analysis. Arch Suicide Res 2014;18:453-464. 

  19. Youssef NA, Green KT, Beckham JC, Elbogen EB. A 3-year longitudinal study examining the effect of resilience on suicidality in veterans. Ann Clin Psychiatry 2013;25:59-66. 

  20. Min JA, Lee CU, Chae JH. Resilience moderates the risk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on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or anxiety disorders. Compr Psychiatry 2015;56:103-111. 

  21. Liu DW, Fairweather-Schmidt AK, Burns R, Roberts RM, Anstey KJ. Psychological Resilience Provides No Independent Protection From Suicidal Risk. Crisis 2016;37:130-139. 

  22. Bastien CH, Vallieres A, Morin CM.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 2001;2:297-307. 

  23.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24.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 Anxiety 2003;18:76-82. 

  25.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0;7:109-115. 

  26.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343-352. 

  27. Lee HS, Kwon JH. Validation for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wi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9;28:1155-1172. 

  28. Beck AT, Weissman A, Lester D, Trexler L.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 Consult Clin Psychol 1974;42:861-865. 

  29.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직 관계에 대한 분석. Korean J Clin Psychol 1990;9:1-19. 

  30. Hong SH.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 Clin Psychol 2000;19:161-177. 

  31. Cruess DG, Antoni MH, Gonzalez J, Fletcher MA, Klimas N, Duran R, Ironson G, Schneiderman NL. Sleep disturbance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mune status among HIV-positive men and women on combination antiretroviral therapy. J Psychosom Res 2003;54:185-189. 

  32. Chatburn A, Coussens S, Kohler MJ. Resilienc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sleep on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Nat Sci Sleep 2013;6:1-9. 

  33. Pedersen ER, Troxel WM, Shih RA, Pinder E, Lee D, Geyer L. Increasing resilience through promotion of healthy sleep among service members. Mil Med 2015;180:4-6. 

  34. Antunez JM, Navarro JF, Adan A. Circadian typology is related to resilience and optimism in healthy adults. Chronobiol Int 2015;32:524-530. 

  35. Kim CK, Kim, SH, Cho MK. The Influences of Self-Control and Resilience on the Experience of Bully of Middle Schoolers Depending on Sleep Duration. J Emot Behav Disord 2016;32:147-163. 

  36. Cicchetti D. Resilience under conditions of extreme stress: a multilevel perspective. World Psychiatry 2010;9:145-154. 

  37. Jan JE, Reiter RJ, Bax MC, Ribary U, Freeman RD, Wasdell MB. Long-term sleep disturbances in children: a cause of neuronal loss. Eur J Paediatr Neurol 2010;14:380-390. 

  38. Tononi G, Cirelli C. Sleep and synaptic homeostasis: a hypothesis. Brain Res Bull 2003;62:143-150. 

  39. Tononi G, Cirelli C. Sleep and the price of plasticity: from synaptic and cellular homeostasis to memory consolidation and integration. Neuron 2014;81:12-34. doi: 10.1016/j.neuron.2013.1012.1025. 

  40. Diekelmann S, Born J. The memory function of sleep. Nat Rev Neurosci 2010;11:114-126. 

  41. Novati A, Roman V, Cetin T, Hagewoud R, den Boer JA, Luiten PG, Meerlo P. Chronically restricted sleep leads to depression-like changes in neurotransmitter receptor sensitivity and neuroendocrine stress reactivity in rats. Sleep 2008;31:1579-1585. 

  42. Elmenhorst D, Kroll T, Matusch A, Bauer A. Sleep deprivation increases cerebral serotonin 2A receptor binding in humans. Sleep 2012;35:1615-1623. 

  43. McCall WV, Black CG. The link between suicide and insomnia: theoretical mechanisms. Curr Psychiatry Rep 2013;15:389. 

  44. Chatzittofis A, Nordstrom P, Hellstrom C, Arver S, Asberg M, Jokinen J. CSF 5-HIAA, cortisol and DHEAS levels in suicide attempters. Eur Neuropsychopharmacol 2013;23:1280-1287. 

  45. Miller JM, Hesselgrave N, Ogden RT, Sullivan GM, Oquendo MA, Mann JJ, Parsev RV.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quantification of serotonin transporter in suicide attempter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Biol Psychiatry 2013;74:287-295. 

  46. Horn SR, Charney DS, Feder A. Understanding resilience: New approach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TSD. Exp Neurol 2016;284:119-132. 

  47. Trockel M, Karlin BE, Taylor CB, Brown GK, Manber R.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on suicidal ideation in veterans. Sleep 2015;38:259-265. 

  48. Kuo WH, Gallo JJ, Eaton WW. Hopelessness, depression, substance disorder, and suicidality--a 13-year communitybased stud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4;39:497-5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