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들의 불면증 및 우울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nsomnia and Depress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in a Cit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200 - 209  

조모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지역사회의 노인 불면 및 우울 증상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변수들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광명시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 및 우울 정도를 평가하고 그와 관련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6년 4월 20일부터 2016년 12월 1일까지의 기간 동안 ${\bigcirc}{\bigcirc}{\bigcirc}$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위탁 광명시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광명시에 위치한 복지관과 경로당을 방문하여 경기도 광명시에 거주하는 노인 총 8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항목과 불면 증상, 우울 증상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ISI와 S-GDS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다. 결 과 연령(70대 미만, 70대, 80대, 90대 이상), 의료보장형태(건강보험, 의료보호), 주거 형태(자가, 비자가), 결혼 상태(미혼, 기혼, 이혼 및 사별)에 따른 S-GDS 평균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대해서는 초졸 또는 무학인 경우와 대졸 이상인 경우를 비교했을 때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3.227, p=0.012). S-GDS 10점 이상과 미만군으로 나누어 인구사회학적 인자들을 비교한 결과, 연령, 의료보장형태, 주거 형태, 동거 가족의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ISI로 측정한 불면 증상은 인구사회학적 항목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우울 증상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p<0.05). 불면 증상이 심할수록 우울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더 높았으며 또한 우울 증상을 보이는 노인들의 경우 더 심한 불면 증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노인 우울증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 의료보장형태, 주거 형태, 결혼 상태, 학력 및 동거 가족의 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노인 우울증의 주요 증상인 불면 증상은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진단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and insomnia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depression. Methods : The severities of insomnia and depression in elderly ag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명시에 거주하는 83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및 불면 증상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성별, 의료보장 형태, 주거 형태, 결혼 상태, 자녀 수, 동거 가족의 수, 학력, 종교와의 관련성 및 우울증과 불면 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 보았다.
  • 본 연구는 일 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에 대한 인구사회 학적 요인의 체계적 평가와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수준에서 노인 우울증에 대한 조기 평가 및 개입을 통한 관리의 중요 성과 우울증의 주요 증상인 불면증과 우울증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대규모, 다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표본에 대한 선택 바이어스를 줄이고 선행 연구에서 알려진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추가하여 조사하는 것 이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일지역사회의 노인 불면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 과 관련 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 우울증, 불면 증상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변수들이 우울증과 불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 역사회 차원에서 노인 우울증과 주요 증상인 불면 증상의 평가와 개입의 효율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할 것이다.
  • 연구는 광명시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의 노인 837명을 대상으로 불면 및 우울 정도를 평가하고 그와 관련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6년 4월 20일부터 2016년 12월 1일까지의 기간 동안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 과 위탁 광명시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광명시에 위치한 복지 관과 경로당을 방문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우울증은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3%를 차지하고 있다. 3) 이 중 특히 노인 우울증은 노인 인 구 특성상 가족이나 간병을 해야 하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 향을 끼치게 되므로 많은 직간접적인 사회적 비용의 손실을 가져온다. 4,5) 노인의 불면 및 우울 증상은 노인 우울증에서 가장 흔하 게 동반되는 증상이자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 인자 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2017년 상반기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얼마인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 능력이 감소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질환이나 장애로 쉽게 이어지는 데, 이것은 노인에서 증가되는 불면 및 우울의 유병률과 관련 이 되며 특히 노인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2) 노인 인구의 건강문제와 이로 인한 의료비용 역시 급증하 고 있어 2017년 상반기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13조 5,689 억원으로 2016년 대비 13.5% 증가하였고 전체 진료비의 36.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그에 대한 지역사회적 접근과 관리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전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빠른 속도로 고령 사회를 넘어 초 고령 사회로의 진입 을 앞두고 있다. 1)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그에 대한 지역사회적 접근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JS, Park JJ.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gislation regarding Welfare for the Older Person in the Aging Society.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15;10:23-33. 

  2. Lee SH, Ju YJ. Factors to Depression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159-168. 

  3. Kim JK. Current Status and Tasks of Elderly Medical Service Providing System.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7. 

  4. Conwell Y, Duberstein PR, Caine E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 Psychiatry 2002;52:193-204. 

  5. Beautrais AL. A case control study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in older adult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2;32:1-9. 

  6. Chou KL, Chi I.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Chinese oldest-old. Int J Geriatr Psychiatry 2005;20:41-50. 

  7. Prince MJ, Harwood RH, Blizard RA, Thomas A, Mann AH. Social support deficits, loneliness and life events as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old age. The Gospel Oak Project VI Psychol Med 1997;27:323-332. 

  8. Han SS, Kang SW, Yoo WK, Phee YG.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9;29:192-212. 

  9. Kim DB, Sohn ES.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 Korean Geriatr Soc 2005;25:167-187. 

  10. Roose SP, Glassman AH, Dalack GW. Depression, heart disease, and tricyclic antidepressant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989;50:61-71. 

  11. Park SC. A General Hospital-Based Model for Early Detection of Depression in the Geriatric Patients with Chronic Medical Disease. Korean J Biol Psychiatry 2013;20:31-40. 

  12. Kim JI, Choe MA, Chae YR.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sian Nurs Res(Korean Soc Nurs Sci) 2009;3:121-129. 

  13. Kim IJ, Kim SJ, Choi BJ.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Minimal Insomnia Screaning Scale. JKAN 2012;42:853-860. 

  14. Ki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98-307. 

  15. Lee SC, Kim WH, Chang SM, Kim BS, Lee DW, Bae JM. The Use of the Korean Version of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Korea. J Korean Geriatr Psythiatry 2013;17:36-42. 

  16. Koenig HG, Cohen HJ, Blazer DG, Meador KG, Westlund R. A brief depression scale for use in the medically ill. Int J Psychiatry Med 1992;22:183-195. 

  17. Lee MS, Han CS. Mood disorder. In: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Psychiatry, editor. Geriatric psychiatry. Seoul: Joong Ang Moonhwa Co 2004;3:197-206. 

  18. Song TM. An Anderson Model Approach to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Vulnerability Factors on the Use of Outpatient Care by the Elderly. KIHASA 2013;33:547-576. 

  19. Connie Evashwick, ScD, Douglas Conrad. Factors related to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by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2;72:1129-1135. 

  20. Park CW, Seo JS, Yim HW, Jo SJ, Jeong Hs, Nam BW.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among the Elderly Attending Community Health Center in a Small C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442-446. 

  21. Kim BJ, Kim EI. A Study on the Health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Elderly in urban low-income Area.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1996;9:54-67. 

  22. Sohn J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2;21:118-126. 

  23. Lee SH.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Sex in the Elderly.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3;27:500-512. 

  24. Ohmura 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need and demand for medical 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1982;12:485-496. 

  25. Park EO, Choi SJ.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3;22:88-96. 

  26. Lee MA. Differential Effects of Marital Status on Depressive Symptoms of Korean. Older Adults across Men and Wome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0;44:32-62. 

  27. Lee YS.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for Middle-Aged Men and Women i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2;35:103-131. 

  28. Park HS, Jung MH, Yu JH.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of Spouses and Depression of Korean Elderly.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2012;7:1181-1187. 

  29. Back JH, Lee Y.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S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1;52:140-144. 

  30. Han IY, Chung SD. Linkage effects of new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2;21:145-156. 

  31. Kim CG, Park SM.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KAN 2012;42:136-147. 

  32. Yang OK, Ju SH.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to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household elderly population. Ment Health Soc Work 2011;37:321-347. 

  33. Eom ET.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7;59:355-379. 

  34. Jun HJ. Religious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among Americ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4;22:191-199. 

  35. Lee HJ.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Social Capital Traits.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2009;25:25-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