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들에서 우울증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in a Cit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2, 2016년, pp.133 - 139  

신애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노인 우울증의 증가에 따라 예방 및 관리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나 초기 우울증의 선별이 어려워 조기 발견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노인 복지 시설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PHQ-9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고 더 나아가 노인 우울증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PHQ-9의 검사와 면담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나이, 주거형태, 자녀 수, 동거인 유무, 교육 수준, 질병 상태)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PHQ-9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PHQ-9의 우울증 진단의 절단값인 10점을 기준으로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주거 형태(자가 vs. 비자가)와 교육 수준(초등학교 졸업 미만 vs. 초등학교 졸업 이상)에 따른 PHQ-9 점수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사하게 PHQ-9 점수 10점을 기준으로 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비교에서도 비자가에서 거주하는 경우, 그리고 초등학교 졸업 미만인 경우 PHQ-9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는 노인 우울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이해와 노인 우울증의 조기 평가 및 개입을 통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s the prevalence of elderly depression increases, it becomes urgent problem to provide preventive and management measures. But in practice, it is difficult to detect depression in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명시에 거주하는 노인, 그 중에서도 노인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 형태 설문지인 PHQ-9의 검사와 면담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환자가 아닌 일상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일반 노인 인구 집단에서 우울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노인 우울증의 조기 평가 및 개입을 통한 대책 마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은 무엇인가? 우울증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감정 반응으로 볼 수 있는데,8) 이러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원으로는 가족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을 들 수 있다.8) 먼저 가족적 차원의 지원은 지원의 주체가 자녀 또는 배우자인 경우가 주를 이루며 지지의 일차적인 집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자원은 무엇인가? 우울증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감정 반응으로 볼 수 있는데,8) 이러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원으로는 가족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을 들 수 있다.8) 먼저 가족적 차원의 지원은 지원의 주체가 자녀 또는 배우자인 경우가 주를 이루며 지지의 일차적인 집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원 중 가족적 자원의 영향과 그에관한 연구의 내용은 무엇인가? 우울증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감정 반응으로 볼 수 있는데,8) 이러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원으로는 가족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을 들 수 있다.8) 먼저 가족적 차원의 지원은 지원의 주체가 자녀 또는 배우자인 경우가 주를 이루며 지지의 일차적인 집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한 선행연구는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의 경우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우울증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9,10) 반면 자녀와의 접촉빈도가 적을수록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다양한 사회적 자원도 우울증에 영향을 준다. 외국의 선행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uh GH, Kim JK, Yeon BK, Park SK, Yoo KY, Yang BK, Kim YS, Cho M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ic Asso 2000;39:809-824. 

  2. Park JH, Lee JJ, Lee SB, Huh Y, Choi EA, Youn JC, Jhoo JH, Kim JS, Woo JI, Kim WK.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KLoSHA). J Affect Disord 2010;125:234-40. 

  3. 이현주, 강상경, 이준영.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08;28:1129-1145. 

  4. 강상경, 권태연.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08;30:332-355. 

  5. 박정아, 조영채. 한 본건기관에 내원한 기초생활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상태 비교. 농촌의학 2007;32:1-12. 

  6. 기백석, 최인근, 한진희. 노인 우울증. 노인병 1999;3:61-71. 

  7. Cheon JS, Lee SS, Roh JR, Oh BH.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 among Korean elderly.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05;9:132-139. 

  8. 고민석, 서인균.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2011;37:1-14. 

  9. 박재홍, 정지홍. 독거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2010;47:309-329. 

  10. 전해숙, 강상경.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한국노년학 2009;29:1611-1628. 

  11. 김병하,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한국노년학 1999;19:173-192. 

  12. Vijaya M, Femi O. Poverty, social inequality and mental health.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2004;10:216-224. 

  13. 이선혜, 고정은. 노인의 우울증상 식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09;29:529-546. 

  14. 김형수. 특집: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2000;10:25-45. 

  15. Aloen LT, Baila M, Guo S.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couples a dyadic analysi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1;56:S352-64. 

  16. Robert LS, Janet W, Kurt K, Raymond H, Julia M. Validity and utility of the PRIME-M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in assessment of 3000 obstetric-gynecologic patients: the PRIME-M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Obstetrics-Gynecology Study. Am J Obstet Gynecol 2000;183:759-769. 

  17. Robert LS, Kurt K, Janet W.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JAMA 1999;282:1737-1744. 

  18.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inventory. J Gen Intern Med 2001;16:606-613. 

  19.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18-223. 

  20. Park SJ, Choi HR, Choi JH, Kim KW, Hong J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PHQ-9). Anxiety Mood 2010;6:119-124. 

  21.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 혁, 고희정, 김성열. 주요우울장애의 선별도구로서 한국판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의 표준화. J Korean Acad Fam Med 2007;28:114-119. 

  22. 신희영, 이 훈, 신일선, 김재민, 김성완, 양수진, 윤진상.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인자. 신경정신의학회 2005;44:629-634. 

  23. Kim YS, Lee ES, Chun JH, Kim YH, Kim MG, Hwang JS, Yang YJ, Oh SW, Yoon YS. The attention of primary physician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4;25:818-825. 

  24. Kim JB.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diabete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1;7:288-295. 

  25. Kim JW, Koh KB.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Korean Neuropsychiatric Asso 2000;39:288-296. 

  26. 최재성, 이호성, 김여주, 박상호, 권영준, 이화영. 당뇨병을 가진 노인 환자에서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475-481. 

  27. 이미애.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 과학회지 2011;22:623-635. 

  28. Jeon HS, Ruth D, Beverly LR. Worries of the oldest-old. Health & Social Work 2006;31:256-2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