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삼박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산성다당체 분리 정제 및 구조 분석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cidic Polysaccharide from Red Ginseng Marc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915 - 923  

하유진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김슬기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유성의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삼 제조 부산물인 홍삼박은 항산화 등 생리활성을 보여 줌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높아가고 잇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박으로 부터 조산성다당체 추출 하고 다당체중에서 항산화능을 보여주는 산성다당체를 분리 및 정제를 하였다. 계속해서 FT-IR 및 NMR을 이용하여 분자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성다당체의 추출은 10%(w/v) 홍삼박 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ethanol, methanol, propanol, acetone 및 butanol을 이용하여 최적 용매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용매 ethanol을 이용하여 홍삼박 농도별 추출을 수행하였다. 산성다당체 추출 수율(11.95%) 및 양(11.8 mg/mL) 을 비교한 결과 홍삼박 용액 농도, 10%(w/v)를 최적 농도로 선정을 하였다. 이온교한수지를 이용하여 추출된 조산성다당체로부터 가장 높은 항산화 특성을 보여주는 산성다당체는 증류수로 용출된 다당체이다. 계속해서 구조분석 결과 C-O, C-O-O-, 및 C-H 결합들과 anomeric C-6의 피크가 나타났고 C-1과 C-6의 피크들이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1{\rightarrow}6$) glycosidic 결합이 존재함을 보여주어 전형적인 산성다당체의 특성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y-products of red ginseng marc showing the improvement of health has been strongly studied because of the expectation of possibility to be used as the functional foods.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xtraction, separation, isolation, and evaluation of crude acidic polysaccharides re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홍삼박으로부터 최적 추출 용매를 선정하여 산성다당체를 추출하고 이온교환수지 및 투석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특성을 보여주는 산성다당체를 가지고 화학구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홍삼 추출의 부산물인 홍삼박을 이용하여 산성다당체의 추출과 분리 그리고 정제를 통해 항산화 활성 및 구조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용매로부터 산성다당체를 추출하였을 때 ethanol 이 각각의 용매들 중 선택성과 수율이 높았고 식품공정에서의 안정함에 따라 침전용매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Meyer)은 동양에서 오래전부터 약리 효능이 뛰어나 여러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효과가 크다고 인정되어 한방, 민간 의약 및 식품으로 이용되어왔다[1]. 인삼은 주요 생리활성 물질들은 ginsenoside와, polyacetylene, 다당체(polysaccharide), 인삼 단백질, 페놀성 물질 등이 알려져 왔다[2,3]. 이들 중에서 인삼 다당체들은 면역조절(immunostimulatory), 항암(antitumor), 항산화(antioxidant)등의 효능 있는 것으로 최근 발표되고 있다[4,5].
황산화 효소가 제어하는 균형이 파괴되었을 때, 자유라디칼에 의한 세포 손상 및 파괴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인체 내 대사활동 및 환경적 자유라디칼은 인체 내에서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catalase(CAT), glutathione reductase,glutathione-Stransferase과 같은 항산화 효소들의 의하여 제어되며 균형이 파괴 될 때 세포 내 DNA, RNA, 단백질 등과 반응하여 세포 손상 및 파괴 등을 이끈다[10,11]. 이로 인한 조직의 손상은 다양한 질병과 노화를 이끌고 특히 산소의 이용률이 높은 뇌의 경우, 신경세포의 사멸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간질, 뇌졸중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킨다[12,13].
인삼 다당체의 구성은 어떠한가? 인삼 다당체들은 산성다당체와 중성다당체로 구분되고, 이들의 약리 작용과 면역조절기능은 다당체들의 활성화에 연관된 것으로 보고되어왔다[8]. 대부분의 인삼 다당체 구성은 전분 60%, arabinogalactans 15%, 펙틴 25%로 구성되어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Watanabe, K. W. Oh, H. S. Kim, M. Takahashi, H. Kaneto, "Anon-opioid mechanism in the inhibitory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electrically evoked contractions of guinea pigileum and mouse vas deferens," J. Pharm acobiodyn. Vol.11, pp. 453-458, (1988). 

  2. T. Namba,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 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with color pictures," Hoikusha, Vol.1, pp. 50-51, (1993). 

  3. S. Shibata, O. Tanaka, K. Soma, Y. Iita, Y. Ando, H. Nakamura, "Studies on saponins and sapogenins of ginseng, the structure of panaxatriol," Tetrahedron Lett. Vol.3, pp. 207-213, (1965). 

  4. S. Shibata, "Some chemical studies on ginseng," Proceedings of Intern Ginseng Sympo, Vol.1, pp. 69-76, (1974). 

  5. C. Konno, K. Sugiyama, M. Kano, M. Takahashi, H. Hikino, "Isolation and hypoglycaemic activity of Panaxans A, B, C, D and E, Glycans of Panax ginseng Roots1." Planta Medica Vol.50, pp. 434, (1984). 

  6. R. Srivastava.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plants." Phytochemistry, Vol.28, pp. 2877-2883, (1989). 

  7. Y. Oshima, C. Konno, H. Hikino,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panaxans I, J, K and L, glycans of Panax ginseng roots." J. Ethanopharmacology Vol.14, pp. 255, (1985). 

  8. M. Wang, L. J. Guilbert, J. Li, Y. Wu, P. Pang, T. K. Basu, J .J. Shan. "A proprietary extract from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enhances IL-2 and IFNgamma productions in murine spleen cells induced by Con-A." Int Immunopharmacol, Vol.4, pp. 311-315, (2004). 

  9. X. Zhang, L. Yu, H. Bi, X. Li, W. Ni, H. Han, N. Li, B. Wang, Y. Zhou, G. Tai, "Total fractio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Carbohydrate Polymers, Vol.77, No. 3, pp. 544-552, (2009). 

  10. L. Chen, J. U. Hu, S. Q. Wang, "The role of antioxdants in photoprotection: A critical review" J. Am. Acad. Dermatol, Vol.67, pp. 1013-1024, (2012). 

  11. R. G. Aischer, J. L. Hess, "Antioxidants in higher plants," CRC Press Boca Raton, pp. 1-17, (1993). 

  12. T. S. Yu, H. H. Kim, C. G. Yo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serum lipid profile in rats fed diet supplemented with Monascus pigment," J. Kor. Soc. Food Sci. Nutr., Vol.32, pp. 244-249, (2003). 

  13. S. E. Lee, N. S. Seong, T. Y. Chung, M. Y. Choi, E. K. Yun, Y. J. Jeung, "The effect of powdered herb of Aster scaber Thunb. on antioxidant system in ethanol-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0, pp. 1215-1219, (2001). 

  14. Bitter, Tet, M. M. Heien,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ytical biochemistry, Vol.4, No.4, pp. 330-334, (1962). 

  15. J. H. Do, H. O. Lee, S. K. Lee, J. K. Jang, S. D. Lee, H.S. Sung,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its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17, No. 2, pp. 139-144, (1993). 

  16. J. H. Do, J. W Lee, S. K. Lee, H.S. Sung, "Prepa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rich in acidic polysaccharide from red tail ginseng marc produced after extraction with 70% ethyl alcohol." Korea J Ginseng Sci. Vol.20, pp. 60-64, (1996). 

  17. X. Yu, X. Yang, B. Cui, L. Wang, G. Ren,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activity of alkali-extractable polysaccharides from North American ginseng"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Vol.65, pp. 357-361, (2014). 

  18. K. Ohtani, K. Okai, U. Yamashita, I. Yuasa, A. Misaki, "Characterization of an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Moroheiya)," Biosci. Biotech. Biochem., Vol.59, No. 3, pp. 378-381, (1995). 

  19. S. C. Blois, P. H. Laing, Y. Chang, L. C. Yu, H. W. Sung, "A Natural Compound (Ginsenoside R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as a Novel Angiogenic Agent for Tissue Regeneration." Pharmaceutical Res, Vol.22, pp. 636-645, (2005). 

  20. F. He, Y. Yang, G. Yang, L. Yu,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 from Streptomyces virginia H03" Polysaccharide from Streptomyces virginia, Vol.63, pp. 181-188, (2008). 

  21. D. Hua, D. Zhang, B. Huang, P. Yi, C. Ya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olysaccharide from Guara fruits" Carbohydrate Polymers, Vol.103, pp. 143-147, (2014). 

  22. J. F. Kennedy and C. A. White Ellis Horwood, "Bioactive Carbohydrates in Chemistry, Biochemistry and Biology." FEBS Letters, Vol.162, No. 1, pp. 204, (1983). 

  23. K. Tark, K. Cho, K. H. Park, S. M. Son, H. J. Chae,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olysaccharide using Red Ginseng Marc"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3, No. 4, pp. 337-342, (2009). 

  24. J. W. Lee, J. H. Do, "Extraction Condi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6, No. 4, pp. 202-205, (2002). 

  25. J. H. Choi, S. J. Hwang, S. N. Jeong, Y. K. Lee, M. H. Jin, S. G. Park, K. Lee, "Anti-aging effect on skin with 9 repetitive steaming and fermenting process herbal composition extract."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ol.24, No. 4, pp. 101-10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