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사량넙치 Psettina tosana 자어의 분자 동정 및 형태 발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of Psettina tosana Collected from South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9 no.4, 2017년, pp.244 - 251  

지재민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유효재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황강석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이정훈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김진구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6년에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둥글넙치과 자어를 분자방법으로 동정하였으며, 자어의 크기별 외부 형태를 상세히 기술하였다. 채집된 자어 15개체 (3.53~19.49 mm 체장)의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434 bp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모두 사량넙치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의 자어는 2개의 길게 연장된 등지느러미 기조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에 흑색소포가 일렬로 나 있는 반면 체측에는 흑색소포가 없었다. 성장하면서 체장에 대한 두장 및 두고의 비율이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바뀌는 변곡점이 체장 9.93 mm~10.73mm에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 자어는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동백가자미(Psettina iijimae)와 달리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저 근처에 흑색소포군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15 larvae [3.53~19.49 mm standard length (SL)] belonging to the family Bothida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16 were identified as Psettina tosana based on 434 base-pair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Larvae of Psettina tosana have anter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조사에서도 자연 상태에서 채집된 둥글넙치과 자어를 종 수준까지 동정하기 위해 분자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 6~11월에 제주도 주변 해역과 남해에서 채집된 둥글넙치과 어류 자어를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 수준까지 동정하고, 자어의 발달 단계별 외부 형태를 상세히 기술하여 동백가자미속 자어의종 동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량넙치 자어의 형태적 특징은? 49 mm 체장)의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434 bp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모두 사량넙치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의 자어는 2개의 길게 연장된 등지느러미 기조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에 흑색소포가 일렬로 나 있는 반면 체측에는 흑색소포가 없었다. 성장하면서 체장에 대한 두장 및 두고의 비율이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바뀌는 변곡점이 체장 9.
둥글넙치과 어류의 분포지여은?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둥글넙치과 (Bothidae) 어류는 인도양, 태평양 및 대서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Masuda et al., 1984; Kim et al.
사량넙치가 성장함에 따라 변곡점이 확인되는 체장은 크기는? 사량넙치의 자어는 2개의 길게 연장된 등지느러미 기조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에 흑색소포가 일렬로 나 있는 반면 체측에는 흑색소포가 없었다. 성장하면서 체장에 대한 두장 및 두고의 비율이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바뀌는 변곡점이 체장 9.93 mm~10.73mm에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 자어는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동백가자미(Psettina iijimae)와 달리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저 근처에 흑색소포군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 잘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aoka, K. 1972. Studies on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inistral flounders-III. Laeops kitaharae. Ichthyol. Res., 19: 154-162. 

  2. Amaoka, K. 1976. Studies on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inistral flounders-VI. Psettina iijimae, P. tosana, and P. gigantea. Ichthyol. Res., 22: 201-206. 

  3. Aritaki, M., K. Ohta, Y. Hotta and M. Tanaka. 2001.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reared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Nippon Suisan Gakk., 67: 58-66. (in Japanese) 

  4. Aritaki, M., S. Suzuki and K.I. Watanabe. 2000.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reared barfin flounder Verasper moseri. Nippon Suisan Gakk., 66: 446-453. (in Japanese) 

  5. Byun, S.G., C.B. Kang, K.H. Han and J.K. Kim. 2013. Relative growth of Microstomus achne (Pleuronectidae, PISCES) during early life stage. Kor. J. Fish. Aquat. Sci., 46: 970-972. (in Korean) 

  6. Fukui, A. and T. Ozawa. 1990. Early ontogeny of two bothid species, Psettina iijimae and Laeops kitaharae. Ichthyol. Res., 37: 127-132. 

  7. Futch, C.R. 1977. Larvae of Trichopsetta ventralis (Pisces: Bothidae), with comments on intergeneric relationships within the Bothidae. Bull. Mar. Sci., 27: 740-757. 

  8. Gibson, R.N. and I.A. Ezzi. 1980. The biology of the scaldfish, Arnoglossus laterna (Walbaum) on the west coast of Scotland. J. Fish Biol., 17: 565-575. 

  9.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41: 95-98. 

  10. Han, S.H., M.J. Kim and C.B. Song. 2012.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sterorhombus intermedi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4: 139-142. 

  11. Kim, B.J. 2011. Fish species of Korea. In: National Institution of Biological Resources (ed),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ertebrates. Nat. Ins. Biol. Res., Incheon, pp. 175-177. (in Korean) 

  12.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615pp. (in Korean) 

  13. Kim, J.K., J.H. Ryu, S. Kim, D.W. Lee, K.H. Choi, T.Y. Oh, K.S. Hwang, J.N. Kim, H.J. Kwun, H.S. Ji and J.N. Oh. 2011. An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 Hanguel graphics, Busan, 275pp. (in Korean) 

  14. Kim, M.J., C.M. Choi and C.B. Song. 2010. First record of the bothid flounder Arnoglossus polyspil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2: 132-135. 

  15. Kim, M.J., J.H. Choi, T.Y. Oh, J.N. Kim and C.B. Song. 2011. First record of a bothid flounder, Japonolaeops dentat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Jeju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242-245. 

  16. Kim, Y.J., I.C. Kim, S.Y. Lee, W.O. Lee, Y.C. Cho and J.S. Lee. 2003. The use and conservation in molecular phylogeny of fish mitochondrial DNAs in Korean waters. Korean J. Ecol. Environ., 36: 221-234. (in Korean) 

  17.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8. Kwun, H.J. and J.K. Kim. 2010. Validation of morphology-based identification of two Cynoglossidae larvae using mitochondrial DNA. Kor. J. Fish. Aquat. Sci., 43: 482-488. (in Korean) 

  19. Lalithambika Devi, C.B. 1989. Developmental characters of Psettina iijimae (Jordan and Starks), bothid flat fishes-pisces. J. Indian Fish. Assoc., 19: 7-17. 

  20. Lee, H.H. and Y. Choi. 2010. The sinistral flounder Engyprosopon grandisquama (Pleuronectiformes: Bothidae), a new record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2: 285-288. 

  21. Lee, H.W., S.J. Lee, J.H. Yang, J.B. Lee, H.K. Cha and J.K. Kim. 2014. Occurrence of eggs and larvae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Pisces) off Wangdol-cho, East Sea. Kor. J. Fish. Aquat. Sci., 47: 654-658. (in Korean) 

  22. Lee, S.J. and J.K. Kim. 2014. Identification of Trichiurus (Pisces: Trichiuridae) eggs and larvae from Korea, with a taxonomic note. Kor. J. Fish. Aquat. Sci., 17: 137-143. 

  23.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ext).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pp. (in Japanese) 

  24. Moyer, J.T., Y. Yogo, M.J. Zaiser and H. Tsukahara. 1985. Spawning behavior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e flounder Crossorhombus kobensis (Bothidae) at Miyake-jima, Japan. Ichthyol. Res., 32: 363-367. 

  25. Nakabo, T. 201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3rd ed. Tokai University Press, Hadano, pp. 1662-1674. (in Japanese) 

  26. Nelson, J.S., T.C. Grande and M.V. Wilson. 2016.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pp. 447-448. 

  27. Okiyama, M. 2014.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pp. 1411-1479. (in Japanese) 

  28. Ozawa, T. and T. Ozawa. 1986. Studies on the oceanic ichthyoplankton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Kyushu University Press, Japan, pp. 321-420. 

  29. Russell, F.S. 1976. The eggs and planktonic stages of british marine fishes. Academic Press, London, pp. 1-524. 

  30.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1. Song, Y.S., H.J. Kwun, J.K. Kim and H. Senou. 2014. A new record of juvenile Chromis mirationis (Perciformes: Pomacentridae) from Korea, revealed by molecular analysis, with a comparison to juvenile chromis notata. Kor. J. Fish. Aquat. Sci., 17: 263-267. 

  32. Song, Y.S., J.K. Kim, J.H. Kang and S.Y. Kim. 2017.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Atractoscion, and resurrection of the species Atractoscion atelodus (Gunther 1867) (Perciformes: Sciaenidae). Zootaxa, 4306: 223-237. 

  33. Tamura, K., D. Peterson, N. Peterson, G. Stecher, M. Nei and S. Kumar.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34. Thomp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 Acid Res., 22: 4673-4680. 

  35. Ward, R.D., T.S. Zemlac, B.H. Innes, P.R. Last and P.D. Hebert. 2005. DNA barcoding Australia's fish species. Philos. Trans. R. Soc. London B., 360: 1847-1857. 

  36. Youn, C.H., S.H. Huh and I.S. Kim. 1998. Occurrence of post-larvae and juveniles of Laeops kitaharae (Bothidae, Pleuronectiformes) in Korea. Korean J. Ichthyol., 10: 200-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