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에서 추진하는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변환사업이 면적 위치 등의 미세한 차이로 지적공부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을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 시 경계점좌표를 법정좌표단위로 변경해야 한다. 그런데 좌표단위의 변경 시 나타나는 미세한 면적변화가 기존 지적공부에 등록된 면적과 일치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적재조사에서 사용하는 수동적 경계미세조정방식을 응용하여 다수의 필지들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하였다. 조정구간 범위와 면적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필지 수에 따라 전수1, 전수2+1, 구간1, 구간2+1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각 방식의 비교를 위해 SW를 개발하여 실험대상 지역을 분석한 결과 위치 정확성측면에서는 전수2+1, 시간적 효율성은 구간2+1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에서 추진하는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변환사업이 면적 위치 등의 미세한 차이로 지적공부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을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 시 경계점좌표를 법정좌표단위로 변경해야 한다. 그런데 좌표단위의 변경 시 나타나는 미세한 면적변화가 기존 지적공부에 등록된 면적과 일치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적재조사에서 사용하는 수동적 경계미세조정방식을 응용하여 다수의 필지들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하였다. 조정구간 범위와 면적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필지 수에 따라 전수1, 전수2+1, 구간1, 구간2+1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각 방식의 비교를 위해 SW를 개발하여 실험대상 지역을 분석한 결과 위치 정확성측면에서는 전수2+1, 시간적 효율성은 구간2+1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WGS conversion project of cadastral draw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s not able to reflect the cadastral registration due to subtle differences such as area and location. When converting the digital cadastral region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the boundary point coordinates must be ...
The WGS conversion project of cadastral draw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s not able to reflect the cadastral registration due to subtle differences such as area and location. When converting the digital cadastral region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the boundary point coordinates must be changed to the legal coordinate units. However, ther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which the minute area changes do not coincide with the area registered in the cadastral registration when the coordinate unit is changed.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method to adjust many parcels collectively by applying a passive fine-tuning method used in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solve these problems. Total 1, total 2+1, interval 1, interval 2+1, etc.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number of parcel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range of adjustment and the area condition.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area (after developing SW for comparison of each method) showed that the total 2+1 method is suitable for the location accuracy and the interval 2+1 method is suitable for the temporal efficiency.
The WGS conversion project of cadastral draw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s not able to reflect the cadastral registration due to subtle differences such as area and location. When converting the digital cadastral region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the boundary point coordinates must be changed to the legal coordinate units. However, ther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which the minute area changes do not coincide with the area registered in the cadastral registration when the coordinate unit is changed.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method to adjust many parcels collectively by applying a passive fine-tuning method used in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solve these problems. Total 1, total 2+1, interval 1, interval 2+1, etc.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number of parcel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range of adjustment and the area condition.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area (after developing SW for comparison of each method) showed that the total 2+1 method is suitable for the location accuracy and the interval 2+1 method is suitable for the temporal efficienc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지적재조사에서 사용하는 경계미 세조정방법을 응용하여 세계측지계변환에 적용함으로 면적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미세조정방법을 4가지 방식으로 도출하여 경계점좌표등록 지역의 세계 측지계변환에 실험 적용함으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한 측지계에 준거하여 구축된 지리정보데이터를 다른 측지계에 준거하여 표시하는 경우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지 않고 화면표시나 출력직전에 변환하여 표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다르게 경계점좌표 등록 지역의 지적도면을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후 좌표단위의 변경 시 발생되는 미세한 면적변 화량을 제거하기 위해 일괄적 경계미세조정방식 들을 비교함으로 가장 합리적인 조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지적도면이 세계측지계로 변환 시 회전, 축척의 영향으로 좌표단위가 세밀하게 변경된다. 이를 지적측량시행규칙에 의한 좌표단위(0.01m)로 다시 변경해야 하는데 좌표단위의 변경으로 인한 미세한 면적 차이를 줄이기 위해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다양한 경계미세 조정방식을 적용하여 정확성, 효율성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지역은 경계점좌표등록 지역이 대부분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지역 중평균 필지면적의 규모에 따라 4개 구역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전수 및 구간방식 내에서 각각 1필, 2+1필 방식을 구분함으로 아래의 표 5와 같이 전수1, 전수2+1, 구간1, 구간2+1 등용어로 세분화된다. 이렇게 경계미세조정방식을 구분하는 목적은 단순히 전수 및 구간방식 비교 보다 4가지로 구분함으로 정확성과 효율성측정에 다양성을 극대화하고자 함이다.
지역측지계로 되어 있는 대상지를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하기 위하여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규정」을 방식을 적용하였다. 지적공부를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본 연구는 좌표단위의 변경에 따른 면적차이를 줄이는 경계미세조정방식에 관한 연구이므로 조정 전 단계에서 좌표변환에 대한 내용은 간략하게 다루고자 한다. 대상지역에 성과가 양호한 지적기준점(표 6)을 LX-Trans SW를 이용하여 표 7과 같이 2D Helmert변환계수를 산출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경계, 변환, 면적 등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조사하였다. Lee et al.
실험대상지역은 경계점좌표등록 지역이 대부분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지역 중평균 필지면적의 규모에 따라 4개 구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구역 다수의 필지들을 일괄적으로 경계미세조정하기 위한 SW를 Microsoft VB.net 2013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측량SW인 TOSS에서 구동하는 측량성과파일 데이터를 실험 및 분석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측량SW인 TOSS에서 구동하는 측량성과파일 데이터를 실험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렇게 전체 인덱스를 거치면서 조정하는 방식을‘전수(全數)방식’이라 용어를 정하였다.
, 2013) 이와 같은 원리로 만약 조정범위를 4cm로 한다면 표 1과 같이 조정 가능한 범위의 위치가 81가지가 된다. 이러한 원리로 본연구에서는 조정범위를 지적재조사의 경계점 허용오차인 7cm를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경계미세조정 시 면적조건을 고려하는 필지 수에 따라 조정방식이 다르게 된다. 당초 실험을 위해 전수 및 구간 방식에 적용함에 필지의 면적조건을 1필지씩만 고려하는 방식과 2필지씩 고려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 이유는 1필 지단위로 조정하는 방식은 다른 필지에 면적이 누적 전가되므로 후순위의 필지경계점의 위치변 화량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면적조건에 부합하지 않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적조건을 1필지단위로 고려 하는 방식과 2필지 단위로 고려하되 조정에 실패한 경우 1필지단위로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 였다. 전자는‘1필’방식, 후자는‘2+1필’방 식이라고 명명하였다.
대상지역에 성과가 양호한 지적기준점(표 6)을 LX-Trans SW를 이용하여 표 7과 같이 2D Helmert변환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세계측지 계변환에 4가지의 경계미세조정방식에 대해 정확성 및 효율성에 대한 비교․분석하였다. 어떤 방식이든 기본적으로 좌표변환과 좌표단위 변경의 영향으로 심화된 면적오차를 줄이는데 필지 평균면적이 클수록 조정량이 커지게 되며, 조정 횟수나 시간도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지자체에서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세계측지계변 환시 미세면적오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해당지 역여건에 따라 지가가 높고 견고한 구조물이 있는 경우 정확성을, 지가가 낮고 지상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효율성을 기준으로 고려한 다면 이에 적절한 경계미세조정 방법을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다. 과거의 기존 연구는 임의의 필지에 인접된 경계점을 수동으로 선택하여 한필지씩 전수방식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지자체 에서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좌표변환된 성과가 면적차이로 지적공부에 반영하지 않음에 따라 국토부에서 기존 경계미세조정에 대하여 논의되 었으나 효율성이 떨어져 새로운 대안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대상 데이터
01m)로 다시 변경해야 하는데 좌표단위의 변경으로 인한 미세한 면적 차이를 줄이기 위해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다양한 경계미세 조정방식을 적용하여 정확성, 효율성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지역은 경계점좌표등록 지역이 대부분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지역 중평균 필지면적의 규모에 따라 4개 구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구역 다수의 필지들을 일괄적으로 경계미세조정하기 위한 SW를 Microsoft VB.
안양시 동안구지역에서 4개의 구역을 표 4와 같이 필지의 평균면적이 다르게 4개 구역을 선정하였다. 1구역은 필지수가 42필, 1필당 평균 면적은 822.
이론/모형
지역측지계로 되어 있는 대상지를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하기 위하여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규정」을 방식을 적용하였다. 지적공부를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본 연구는 좌표단위의 변경에 따른 면적차이를 줄이는 경계미세조정방식에 관한 연구이므로 조정 전 단계에서 좌표변환에 대한 내용은 간략하게 다루고자 한다.
성능/효과
이를 이용하여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측량SW인 TOSS에서 구동하는 측량성과파일 데이터를 실험 및 분석하였다. 경계미세조정 후 구역별 경계점의 조정량, 조정횟수, 소요시간을 분석함으로 정확성, 효율성 측면에서 적합한 조정방식을 도출하였다.
01m)로 반올림하여 변경하면 구역별로 면적변화량에 따른 필지수가 표 8의 After와 같이 나타났다. 작은 필지들로 구성된 1구역은 0.1~0.2㎡ 범위에 면적오차가 발생된 필지는 11필(26%)로, 반면 면적이 큰 필지들로 구성된 4구역은 0.7㎡ 이상 벗어난 필지까지 포함하여 25필(73%)로 나타났다. 2, 4구역의 면적오차가 발생되지 않은 필지수를 보면 좌표 변환된 필지가 좌표단위를 변경함으로 오히려 면적오차가 적게 나타났다.
7㎡ 이상 벗어난 필지까지 포함하여 25필(73%)로 나타났다. 2, 4구역의 면적오차가 발생되지 않은 필지수를 보면 좌표 변환된 필지가 좌표단위를 변경함으로 오히려 면적오차가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1, 3구역은 반대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0~6㎝내에서 구역별 경계점 수를 산출하였다. 최대 조정량은 평균면적이 적은 1, 2구역이 구간2+1과 전수 2+1방식이 3cm, 평균면적이 비교적 큰 지역인 3, 4구역은 모든 방식이 6cm까지 경계점 위치 가 변화되었다. 그리고 조정량을 보면 대부분의 경계점의 수가 0㎝에 분포되어 있고, 6㎝로 갈수록 경계점의 수가 적어짐을 알 수 있다.
각 구역별 전체 경계점의 조정량을 이용하여 절대편차평균을 표 10과 같이 산출하였다. 절대 편차평균은 1구역은 전수2+1 방식이 X:0.089cm, Y:0.088cm로 비교적 적게 산출되었고, 구간1과전수1방식은 X, Y 모두 동일한 성과로 나타났다. 2구역은 구간1과 전수1, 구간2+1과 전수2+1 끼리 동일하게 나타났다.
산출된 결과로 보면 경계미세조정의 시간적 효율성은 구간2+1방식이 적합한 방법이다. 지자 체에서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세계측지계변환업 무에 이보다 더 많은 필지를 수행하게 되므로 시간적, 노동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수동적 조정방식에서 벗어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일괄조정방식 중 정확성과 효율성의 비중을 고려하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어떤 방식이든 기본적으로 좌표변환과 좌표단위 변경의 영향으로 심화된 면적오차를 줄이는데 필지 평균면적이 클수록 조정량이 커지게 되며, 조정 횟수나 시간도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조정량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위치정확성은 전수2+1 방식, 조정횟수와 시간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효율성은 구간2+1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에서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세계측지계변 환시 미세면적오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해당지 역여건에 따라 지가가 높고 견고한 구조물이 있는 경우 정확성을, 지가가 낮고 지상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효율성을 기준으로 고려한 다면 이에 적절한 경계미세조정 방법을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다.
후속연구
조정점이 많을 수록 면적일치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구거, 도로 등과 같이 경계점의 수가 많고 면적변 화량이 비교적 큰 편인 경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1점의 조정범위를 2cm 까지 확대하면 25가지의 경우로 조정이 가능하며 2개의 점을 조정할 경우 25^2=625가지 경우를 도출할 수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수조정방식 경계조정의 단점은 무엇인가?
전수조정방식으로 다수의 필지들을 경계조정시 순차적으로 조정하게 되는데 일부의 필지들을 먼저 조정하게 되면 그만큼의 면적오차가 다른 인접필지로 누적 및 전가되어 결국 경계조정이 일부 실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경계조정이 된 필지의 경계점좌표의 조정상태를 설명하면 그림 2와 같다.
지적도면 세계측지계변환 성과가 지적공부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토부에서 추진 중인 지적도면 세계측지계변환 사업이 2020년까지 완료해야 하나 아직까지 변환성과를 지적공부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적도면이 좌표변환하면서 경계점의 위치와 필지면적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지역측지 계상에서 결정된 지적측량성과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의 필지경계점 좌표단위는 0.
다중 경계점의 경계조정이란 무엇인가?
다중 경계점의 경계조정은 조정대상 경계점이 1점만으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조정하여도 무방한 경계점이 여러 개의 점이 존재할 때 사용자가 선택하여 미세조정 기본원리를 확대해서 적용하는 것이다. 필지 경계점 중 조정해도 무방한 경계점을 1점이 아닌 여러 점을 선택하여 조정하는 방안이다.
참고문헌 (3)
Hong, S.E. 2015. A study on the unified method of coordinate registration in cadastral map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7855-7862 (홍성언. 지적도면정보 좌표등록의 통일화 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1):7855-7862).
Lee, W.H., J. Kim., K.S. Kim., K.J. Lee, Y.J. Jung, H.Y. Kim, and K.H. Na. 2013. A study on the method of boundary adjustment for cadastral resurvey. Spar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2013 (1): 58-86 (이원희, 김진, 김기수, 이길재, 정영진, 김현호, 나기현. 지적재조사를 위한 경계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2013(1):58-86).
Suh, Y.C. 2004. A study on fast datum transformation model for GI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46-56 (서용철.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고속 측지계 변환 모델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46-5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