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공부의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transformation of World Geodetic System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9 no.2, 2019년, pp.123 - 134  

김근배 (한국국토정보공사 인천지역본부 지적사업처) ,  정구하 (공간정보연구원) ,  전정배 (공간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적 분야의 세계측지계 도입은 세계적인 표준을 도입하고, 공간정보 기반의 타 산업과 융복합 함으로써 신산업창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의 기본 목적인 국민의 소유권 보호 측면에서 새로운 불부합지의 발생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사례 조사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유지간 겹치는 사례와 국공유지간 겹치는 사례를 통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 세계측지계로 변환된 도면에 지적공부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세계측지계 변환 검증측량을 도입해야한다. 또한 검증측량을 통해 경계조정 및 위치정정이 가능하도록 법적 제도적 근거를 확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업무지역별로 측량성과가 다르기 때문에 공통점의 좌표값도 달라짐에 따라 변환계수를 결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2021년 세계측지계에 의한 지적측량 기준을 사용하는 것을 연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n cadastral sector can apply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cadastral survey and can be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new industries by merging with other industrie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로 국·공유지와 사유지가 충돌하는 사례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사례 조사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유지간 겹치는 사례(민간영역)와 국공유지간 겹치는 사례(국가영역)을 기준으로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앞선 선행 연구들 및 관내 소관청의 변환결과를 통해 지적공부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는 변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통점의 선정과 정합성의 판단에 대해 지역의 비전문가로서 결정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었고,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한 사례 발굴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사례 조사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유지간 겹치는 사례(민간영역)와 국공유지간 겹치는 사례(국가영역)을 기준으로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의경계조정의 단점은? 소유자간의 합의에 의한 합의경계조정, 제도적 조정 등이 있다. 합의경계조정은 세부측량 후 경계의 변화를 소유간의 합의에 의해 경계를 확정하는 방법으로, 소유자간의 합의가 원만하지 않을 경우 경계를 확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위치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 1항(측량기준)에서의 위치란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높이로 표시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2009년 기존의 3법(지적법, 측량법, 수로업무법)이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로 통합(법률제9774호)되면서 측량의 기준이 되는 위치 값을 세계측지계로 표시하는 것으로 규정(법 제6조)하였고, 그 경과조치로 부칙 제5조에서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도해지역에서의 지적측량의 경우 지역좌표계를 병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이석배 외 2007; 배태석 외 2012).
좌표재계산방법은 무슨 방법으로 계산을 하나? 좌표재계산방법은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을 대상으로 좌표 변환하는 방법이다. 기존 지역측지계에서 관측한 각과 거리를 이용하여 세계측지계 성과로 재계산하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Nam KM, Kim MJ. 2017. A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 System for Cadastral map.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Siri 2017-4. 

  2. Nam KM, Lee WH, Lee SH. 2015. A Study on Process Establishment of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of Cadastral Map.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Siri 2015-16. 

  3.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2016. A Study on Government Owned Land Frame for Cadastral Reform Project.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LXSiri 2015-15. 

  4. Bae, TS, Kim JH, Yoon JS, Jeong JJ. 2012. Area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Boundary Map of Korea by National Geodetic Reference Fra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3):241-247. 

  5. Sohn DJ, Lee HJ, Yu YG. 2009. The Research on Scheme for Revitalization of Conversion into World Geodetoc Referen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7(3):311- 321. 

  6. Yang CH. 2014. Development of the Proces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Local Datum Cadastral Map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4-2):401-412. 

  7. Lee SB, Sim JM. 2007. Comparison between Spherical Area and Projected Area and Analysis about Area Variation Caused by Change of Global Geodetic Referen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3(1): 29-43 

  8. 한국개발연구원, 2010, 지적재조사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GL), 2019, http://www.law.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