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에 근거한 온주밀감과 '부지화'의 잠재적 재배지 변화 예측
Projection of Potential Cultivation Region of Satsuma Mandarin and 'Shiranuhi' Mandarin Hybrid Based on RCP 8.5 Emission Scenario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15 - 222  

문영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강석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이혜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최영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손인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  이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  김성기 ((주)에피넷) ,  안문일 ((주)에피넷)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귤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과 '부지화'[Shiranuhi, (Citrus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a]를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10년까지를 기준년도로 하여 2090년까지 잠재적 재배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재배지 변화는 국가농림기상센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와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된 30m 해상도를 가진 농업용전자기후도를 이용하였다. 온주밀감의 잠재적 재배적지는 기준년도에서는 대부분 제주 지역이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 동부지역과 남해안 일부지역이 포함되었다. 2030년대에는 온주밀감 재배적지는 증가하였으며 재배가능지도 전남지역의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2060년대부터는 재배적지는 제주 산간과 전남과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으로 점차 증가하고 재배가능지도 경북, 충남, 전북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부지화' 감귤인 경우 기준년도에서 재배적지는 제주 해안 지역 일부만 포함되었으며 재배가능지는 제주지역과 전남 남해안 일부 지역만 해당되었다. 2030년대 재배적지는 현재 온주밀감 재배지가 해당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남해안 일부 지역까지 북상하였다. 2090년대에는 재배적지가 점점 증가하여 제주지역 전체와 전남, 경남, 강원도 해안지역이 재배적지가 되었으며 재배가능지도 점점 해안가를 중심으로 북상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근거로 감귤의 재배적지변화를 예측해 본 결과 온주밀감재배적지는 감소하고 '부지화' 감귤의 재배적지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세기 말에는 강원도 지역까지 감귤이 재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tential change of the cultivation area of main citrus cultivars,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and 'Shiranuhi' mandarin hybrid [(Citrus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a] were determined with base year (1981 to 2010) to 2090. The meteo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변화시나리오에서 제공하는 기온변화 예측모델을 근거로 온주밀감과 ‘부지화’ 감귤의 미래 잠재적 재배적지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감귤정책과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의 특징은 무엇인가? 감귤(Citrus Linn)은 전세계적으로 연간 2억톤이 생산되어 과실 중에서는 생산량이 많은 편이지만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재배지는 남⋅북위 40°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최저기온 -7℃ 이상인 지역에 국한되고 있어서(Davies and Albrigo, 1994) 우리나라에서는 최남단인 제주도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주로 하우스에서 재배되었던 감귤 품종들의 노지재배가 가능해진 이유는? 6℃가 상승하였는데, 지난 30년간 기온 상승폭의 변화가 크다. 제주, 서귀포, 성산 관측지점을 평균한 제주도 해안지역의 1973∼2010년 기간 변화추세를 보면 연평균기온은 0.32℃/10년, 최고기온 0.29℃/10년, 최저기온은 0.5℃가 증가하여 지난 38년간 연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KMA, 2011), 이는 추위에 약한 감귤 품종들의 노지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IPCC에서 제시한 한반도의 예상 기후변화시나리오는? 7℃ 증가한다고 하고(Riahi et al., 2011) 한반도는 2046부터 2065년까지 3.0℃, 2081년부터 2100년까지는 5.9℃ 증가하여 온도 증가 폭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제주인 경우 2000년대에 비해 2040년에는 약 1.6℃, 2070년에는 약 3.4℃, 2100년대에는 약 5.5℃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KMA, 2011). 연평균온도가 상승하면 아열대 기후대도 북상하여 감귤 재배 지역은 증가할 수 있지만 가뭄, 동해 등이 제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USDA,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avies, F. S., and L. G. Albrigo, 1994: Citrus. CAB Intl., Wallingford, UK. 204-205. 

  2. Fishler, M., E. E. Goldschmide, and S. P. Monselise, 1983: Leaf area and fruit size on girdled grapefruit branches.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08, 218-221. 

  3. Han, H. R., and O. K Kuan, 1983: New book of citrus horticulture. Sunjinmunwha inc., 141-158. 

  4. Huang, S., G. Li, C. Zhou, X. Fan, C. Shen, and M. Xue, 1993: A climatological study of injury to citrus trees from freezing weather in Chin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5(1-2), 129-138. 

  5. IPCC,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pp. 

  6. Iwahori, S., and K. Kadoya, 1999: A general theory of Citrus. Yogendou inc., 482-486. 

  7.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JRMO), 2012: Meteorological compendium in 20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ation, Jeju, Korea. 

  8.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JRMO), 2017: Meteorological compendium in 20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ation, Jeju, Korea. 

  9. Kawase, K. 1999: Cultivation of Dekopon. Rural Culture Association Japan, 40pp. (In Japanese) 

  10. Kitazono, K. 2001: A higher value-added technical development for sustainable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fruit quality of 'Shiranuhi'. Kyushu Agricultural Research 63, 17-2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1. Kitazono, K., Y. Kawakubo and K. Fuita. 2012: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cultivation of satsuma mandarin in Kumamoto prefecture. Research Bulletin of the Kumamoto Prefectur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19, 6pp.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1: Projection report on climate change in Korea. 151pp. (In Korean)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5: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8pp. (In Korean) 

  14. Kim, C. M. 2002: Effects of climatic parameters on flowering, fruiting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in Jeju island.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atsumoto, R. 2001: 'Shiranuhi', a late-maturing citrus cultivar. Bulletin of National Institute of Fruit Tree Science 35, 115-12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6. Moon, K. H., E. Y. Song, I. C, Son, S. J. Oh, K. S. Park, and H. N Hyun, 2015: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n citrus production area of Jeju island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1), 69-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on, K. H., I. C. Son, H. H. Seo, and K. S. Choi, 2012a: Estimation of the periodic extremes of minimum air temperature using January mean of daily minimum air temperatu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155-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oon, K. H., I. C. Son, H. H. Seo, K. S. Choi, and J. H. Joa, 2012b: Estimation of duration of low-temperature in winter season using minimum air temperature on Janua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3), 119-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oon, Y. E., S. B. Kang, S. G. Han, Y. H. Kim, Y. H. Choi, S. C. Koh and S. Oh, 2015: Effects of elevated spring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the mandarin hybrid 'Shiranuhi'.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3(4), 459-4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ii, N., K. Harada, and K. Kadowaki, 1970: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fruit growth and quality of satsuma oranges.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9, 19-27. (in Japanese with English Astract) 

  21. Riahi, K., S. Rao, V. Krey, C. Cho, V. Chirkov, G. Fischer, G. Kindermann, N. Nakicenovic and P. Rafaj, 2011: RCP 8.5-A scenario of comparatively high greenhouse gas emissions. Climate Change 109, 33-57.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Digital agricultural climate information of cities and countrie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National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Wanju, Korea. 

  23. Sugiura T., and M. Yokozawa, 2004: Impact of global warming on environments for apple and satsuma mandarin production estimated from changes of the annual temperatur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73(1), 72-78. (in Japanese with English Astract) 

  24. Susanto, S., and Y. Nakajima, 1990: Effects of winter heating on flowering time, fruiting and fruit development in pummelo grown under plastic hous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9, 245-253. 

  25. Takagi, T., I. Sawano, T. Suzuki, and S. Okamoto, 1982: Effects of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flowering on the development of flower and fruit in Citrus unshiu Marc.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1, 257-262. (in Japanese with English Astract) 

  26. Yamanishi. O, 1994: Effect of spring day/night temperature on flower development,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n strangulated pummelo trees.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63, 493-504. 

  27.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2013: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in the United States. USDA. 186pp. 

  28. Utsunomiya, N., H. Yamada, I. Kataoka and T. Tomana, 1982: The effect of fruit temperatures on the maturation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fruits. Journal of Japan. Society Horticultural Science 51(2), 135-141. (in Japanese with English A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