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육기 온도상승이 극조생 양파의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in Growing Season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of Extremely Early-Maturing Onion (Allium cepa L. cv. Singsingbal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23 - 231  

송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위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김천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임찬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오순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손인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 상승조건에서 노지 월동채소인 극조생 양파 '싱싱볼'의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온도구배터널에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인 대기온도(일평균 $9.8^{\circ}C$) 조건, 온도상승구인 대기온도 $+2^{\circ}C$(일평균 $12.0^{\circ}C$)와 대기온도 $+5^{\circ}C$(일평균 $14.3^{\circ}C$) 조건 등 3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생육기 온도 상승에 따른 양파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대기온도 조건에 비해 대기온도 $+2^{\circ}C$ 고온조건에서 자라는 양파가 초장도 길었고, 엽초경도 두꺼워졌으며, 총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다. 양파의 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경이나 구중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구에 비해 대기온도 $+2^{\circ}C$ 고온조건에서 구 크기가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 비대 개시점인 구 비대지수도 대기온도 $+2^{\circ}C$ 고온조건에서는 타 조건에 비해 가장 빠른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기온도보다 $2^{\circ}C$ 상승하였을 때 극조생 양파의 생육이 원활히 진행되고 수량이 증가되고 품질도 유지되겠으나, 대기 온도보다 $5^{\circ}C$ 이상 고온조건에서는 수량이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n growth and bulb quality of extremely early-maturing onion (Allium cepa L. cv. Singsingball) in the temperature gradient tunnels. There were treated with 3 groups, one is a control group (am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노지 월동채소인 극조생 양파를 온도구배터널에서 재배하면서 생육기 기온상승이 극조생 양파의 생육 및 구 비대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온난화 기후 하에서 양파의 안정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수 행하였다.
  •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 상승조건에서 노지 월동채소인 극조생 양파 ‘싱싱볼’의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온도구배터널에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도구 배터널이 고온에 대한 작물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시스템인 이유는? 반면에 온도구 배터널(temperature gradient tunnel system)은 온도를 제외한 다른 환경인자(광량, 대기 CO2 농도 등)를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반폐쇄형 장치이다. 입구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가 터널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후미부는 6개의 소형 환기팬을 설치하여 배기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흡입구에서부터 후미부 쪽으로 연속적인 온도구배가 형성되도록 설계 되어 고온에 대한 작물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시스템이다(Oh et al., 2014).
양파 주산지가 남부지방으로 제한되는 이유는? , 2002), 국내 생산량이 1,294 천ton, 재배면적이 20,036 ha로 이중 전라남도는 전국 양파 재배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MAFRA, 2015). 양파 주산지가 남부지방으로 제한되는 것은 동절기 저온으로 인한 동사, 일장과 온도 변화가 원인이 되어 생산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Song et al., 1987).
양파는 숙기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 1987). 국내에서 재배되는 양파는 숙기에 따라서 조생종, 중만생종, 만생종으로 구분하며, 조생종은 월동기간이 온난한 제주도와 남부 해안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중만생종과 만생종은 남부내륙과 중부지방에 주산지를 이루고 있다 (Kim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ewster, J. L., 1990: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time of maturity of bulb onion crops. Aata Hort 267, 289-296. 

  2. Choi S. C., and J. S. Baek, 2016: Onion yield estimation using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5), 873-8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FAO,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in Asia and the Pacific. Twenty-seventh FAO Regional Conference for Asia and the Pacific. Beijing, China, 17-21. 

  4. Hadley, P., G. R. Batts, R. H. Ellis, J. I. L. Morison, S. Pearson, and T. R. Wheeler, 1995: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for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 change. II. A twin-wall tunnel system for low-stature, field-grown crops using a split heat pump. Plant, Cell & Environment 18, 1055-1063. 

  5. Hahn, G. P., and S. K. Choi, 1987: Effects of planting time on the advance production of onio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Research Reports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Horticulture) 29(2), 228-2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sen, J., M. Sato, R. Ruedy, A. Lacis, and V. Oinas, 2000: Global warming in the twenty-frist century: an alternative senario. Proceedings National Academy Sciences, USA 97, 9875-9880. 

  7.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ander, N. Harrirs, A. Katenberg, and K. Maskell, 1996: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8. Huh, E. J., K. S. Cho, Y. S. Kwon., and G. W. Jong, 2002: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bulbing and maturity of spring sown onions in highland.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43(5), 587-5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0. Kim, C. W., E. T. Lee, I. H. Choi, Y. S. Jang, S. K. Bae, and S. J. Suh, 2016: Early maturing male sterile line 'Wonye 30005' for hybrid seed production of onion (Allium cepa L.). Korean Journal Breeding Science 48(2), 168-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REI, 2013: Agricultural outloo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03-411. 

  12. Lim, C. S., T. H. Park, J. L. Cho, and S. M. Kang, 2002: Effect of daylength and temperature after bolting on flower curd and seed yield of early onion 'Samnamjosaeng'.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4), 306-3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FRA, 2015: Statistics of vegetable product amount MAFRA Sejong Korea. 44. 

  14. Mondal, M. F., J. L. Brewster, G. E. L. Morris, and H. A. Butler, 1986: Bulb development in onoin. I. Effects of plant density and sowing date in field conditions. Annals of Botany 58, 187-195. 

  15. NIMR, 2011: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79-99. 

  16. Oh, Soonja., K. H. Moon, I. C. Son, E. Y. Song, Y. E. Moon, and S. C. Koh, 2014: Growth, photosysthesi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chinese cabbage in response to high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3), 318-3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S. U., K. K. Ah, C. W. Seo, and W. S. Kong, 2016: Potential impact of c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hedera rhombea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3), 325-3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oster, J.R., and M.A. Semenov, 2005: Crop response to climatic vari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B 360, 2021-2035. 

  19. RDA, 2011: 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On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35. 

  20. Shin, J. W., and S. C. Yu, 2011: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ungicide spraying for Anthracnose on hot pepper in Korea during 2011-21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1), 10-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ong, J. C. N. K. Park, K. D. Cho, I. W. Yoon, and P. J. Han, 1987: Studies on the storage of onions. Research Reports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orticulture) 29(2), 241-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teer, B. T., 1980: The bulbing response to day-length and temperature of some Australasion cultivars of onion (Allium cepa L.).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31, 511-518. 

  23. Suh, J. K., and W. S. Lee, 1987: Effects of seedling and transplanting dates on bulbing of spring crop onion in low land. Research Reports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Horticulture) 29(2), 208-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uh, J. K., and Y. W. Ryu, 2002: Short-period test of growth, bulbing, leaf-fall down and regrowth of onion (Allium cepa L.) under different daylength controlled by supplemental lighti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3(5), 591-5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Wolfe, D. W., M. D. Schwartz, A. N. Lakso, Y. Otsuki, R. M. Pool, and N. J. Shaulis, 2005: Climate change and shifts in spring phenology of three horticultural woody perennials in northeastern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9, 303-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