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면기 저온 누적 시간 및 발아 후 변온이 국내 주요 사과품종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cumulated Hours of Low Temperature in Dormant and Changing Temperature after Bud Breaking on Flowering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52 - 269  

권헌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박무용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송양익 (국립종자원 품종보호과) ,  사공동훈 (대구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품종별 개화가 가능한 기준온도와 저온($5.0^{\circ}C$) 누적시간 및 발아 후 변온에 따른 평균 개화소요일수를 구명하여 국내 주요 사과품종('후지', '쓰가루')들과 국내에서 육성한 품종('추광', '감홍', '홍안', '홍금', '홍로', '홍소', '화홍', '섬머드림', '선홍')들의 개화기를 예측하고자 군위지역에서 4년(2009-2012년)동안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군위 지역 기온이 현재보다 $5.0^{\circ}C$ 상승되었을 때의 개화시기를 추정하였다. 저온($5.0^{\circ}C$) 누적시간(저온요구도)의 처리 범위는 0~1,671hr 정도였고, 저온 처리 후 개화를 위한 고온(고온요구도) 처리 범위는 $5.0{\sim}29.0^{\circ}C$ 정도였다. 발아 후 변온 처리구들은 항온구(대조구), $5.0{\sim}10.0^{\circ}C$ 상승구 및 하강구로 분류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저온에서의 누적시간이 짧을수록 개화소요일수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0hr 처리구의 발아 후 개화까지의 소요된 일수는 1,335~1,503hr 처리구보다 2~4주 정도 길었다. 품종 별로는 모든 품종이 발아 후 기온이 $10.0^{\circ}C$ 미만일 때 개화를 하지 못하였고, 저온요구도가 낮은 품종일수록 개화에 필요한 고온요구도가 낮았다. 발아 후 기온을 $15.0^{\circ}C$로 조절된 처리구들의 개화소요일수는 $10.0^{\circ}C$ 처리구들보다 1~3주 정도 빨랐다. 발아 후 변온 처리에서는 발아 후 기온 상승 처리구들의 발아 후 개화까지 소요된 일수가 항온 처리구보다 짧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내 주요 사과품종들의 개화 기준온도는 $10.0^{\circ}C$로 생각되었으며, 군위지역의 기온이 지금보다 $5.0^{\circ}C$ 정도 상승된다고 가정하면, 개화기는 1주 정도 지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base temperature to flowering and the average days to flowering by accumulated hours of low temperature ($5.0^{\circ}C$) or changing temperature after bud breaking. Over-all, the prediction of flowering time in the commercial apple cultivars ('Fu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되거나 재배되고 있는 주요 사과품종들의 개화기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저온요구도 충족 여부에 따른 개화지연 정도, 온도별 개화 소요일수 및 발아 후 변온에 따른 개화소요일수를 조사하였다.
  • 본 시험은 품종별 개화가 가능한 기준온도와 저온(5.0℃) 누적시간 및 발아 후 변온에 따른 평균 개화소요일수를 구명하여 국내 주요 사과품종(‘후지’, ‘쓰가루’)들과 국내에서 육성한 품종(‘추광’, ‘감홍’, ‘홍안’, ‘홍금’, ‘홍로’, ‘홍소’, ‘화홍’, ‘섬머드림’, ‘선홍’)들의 개화기를 예측하고자 군위지역에서 4년(2009-2012년)동안 조사하였다.
  • 본 조사는 발아 후 기온 변화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사과품종들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3개년(2009년, 2010년, 2012년) 동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에서 M.26에 접목한 ‘쓰가루’와 ‘후지’ 및 국내에서 육성된 5품종(‘홍로’, ‘선홍’, ‘홍금’, ‘홍안’, ‘추광’)의 과대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w Means no treatm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사과 꽃눈의 외형적 발달단계는 어떻게 나뉘는가? 사과 꽃눈의 외형적 발달단계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휴면기(dormant), 은색 선단기(silver tip), 녹색 선단기(green tip, bud breaking or tip separation; 전엽기 혹은 발아기), 단단한 화총기 (tight cluster; 녹뢰기), 완전 분홍기(pink or first color; 홍뢰기), 풍선기(full pink or full color), 개화기(first bloom or flowering), 만개기(full bloom) 및 낙화기(petal fall) 등으로 나누어지고 있으며(Kim et al., 2006; Shin and Kim, 2004; Wertheim and Schmidt, 2005; Yim, 2015), 이 중 사과 꽃눈의 발아기 혹은 개화기를 매년 예측할 수 있다면 인공수분, 개화기 늦서리 사전대책, 적과, 병해충 방제 및 수확 등과 같은 사과원의 작업시기를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이다.
과수의 개화기는 어떤 요인과 연관이 있는가? 과수의 개화기는 과종, 품종, 전년도 여름부터 가을까지의 기상조건, 나무의 저장양분, 토양의 양수분, 근권 온도, 전년도 결실량, 신초의 발육 정도 및 개화 전 기상조건 등의 여러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Greer et al., 2005; Shin and Kim, 2004; Wertheim and Schmidt, 2005).
과수의 개화기에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 2005; Shin and Kim, 2004; Wertheim and Schmidt, 2005).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개화 전 1∼2개월 동안의 봄철 기온으로(Jeon et al., 2010;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on, J. L., and S. D. Seely, 1992: Modeling strategy in pomology: Development of Utah models. Acta Horticulturae 313, 297-306. 

  2. Byun, J. Y., S. J. Yun, I. J. Lee, and D. S. Kim, 2014: Plant Physiology (3rd ed.). Byun, J. Y. (Eds.), Hyangmoonsha Press. Seoul, 288-289 and 297. (In Korean) 

  3.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4. Chae, J. C., S. J. Park, B. H. Kang, and S. H. Kim, 2006: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3rd ed.). Chae, J. C. (Ed.), Hyangmoonsha Press, Seoul, 290-292. (In Korean) 

  5. Gianfagna, T. J., and S. A. Mehlenbacher, 1985: Importance of heat requirement for bud break and time of flowering in apple. HortScience 20(5), 909-911. 

  6. Greer, D. H., J. N. Wunsche, C. L. Norling, and H. N. Wiggins, 2005: Root-zone temperatures affect phenology of bud break, flower cluster development, shoot extension growth and gas exchange of 'Braeburn' (Malus domestica) apple trees. Tree Physiology 26, 105-111. 

  7. Hamer, P. J. C., 1980: A model to evaluate evaporative colling of apple buds as a frost protection techniqu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55(2), 157-163. 

  8. Han, J. H., K. S. Cho, J. J. Choi, H. S. Hwang, C.G. Kim, and T. C. Kim, 2010: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6), 937-9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eon, K. S., H. C. Kim, J. H. Han, and T. C. Kim, 2011: Selection of main air temperature factors on annual variation of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3), 165-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S. H., I. H. Heo, K. M, Lee, S. Y. Kim, Y. S. Lee, and W. T. Kwon,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 in the case of Naju.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3(1), 20-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S. M., and S. D. Oh, 2004: Freezing injury.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S. D. Oh (Eds.), Gilmogm Press, Seoul, Korea, 42-51. (In Korean) 

  12. Kim, J. H., J. C. Kim, K. C. Ko, K. R. Kim, and J. C. Lee, 2006: General Pomology (4th ed.). Kim J. H. (Ed.), Hyangmoonsha Press, Seoul, 38-39, 179-180, 188-193 and 202-204. (In Korean) 

  13. Kim, S. O., U. Chung, S.H. Kim, I.M. Choi, and J. 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62-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 J., J. H. Kim, and J. I. Yun, 2016a: An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for projecting weather-related crop risk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3), 162-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K. H., Y. M. Jeong, Y. S. Cho, and U. Chung, 2016b: Preliminary result of uncertainty on variation of flowering date of kiwifruit: Case study of kiwifruit growing area of Jeonlanam-do.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1), 42-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eon, H. J., D. H. Sagong, Y. Y. Song, M. Y. Park, S. I. Kwon, and M. J. Kim, 2013: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6), 666-6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ehlenbacher, S. A., and A. M. Voordeckers, 1991: Relationship of flowering time, rate of seed germination, and time of leaf budbreak and usefulness in selecting for late-flowering appl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16(3), 565-568. 

  18. Nieddu, G., F. Giunta, and M. Mulas, 1990: Influence of postdormant temperatures on bloom time of four almond cultivars. Scientia Horticulturae 43, 63-67. 

  19. Noro, S., N. Obara, N. Kudo, S. Saito, and H. Ichinohe, 1986: Estimation of apple bloom date by the development zero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after bud break.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4(4), 405-415.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Richardson, E. A., S. D. Seeley, and D. R. Walker, 1974: A model estimating the completion of the rest for 'Redhaven' and 'Elberta' peach trees. HortScience 9(4), 331-332. 

  21. Shin, U. K., and T. C. Kim, 2004: Flowering and fruit set.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S. D. Oh (Eds.), Gilmogm Press, Seoul, Korea, 153-161. (In Korean) 

  22. Sugiura, T., and H. Honjo, 1997: A dynamic model for predicting the flowering date developed using an endodormancy break model and a flower bud development model in Japanese pear.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52, 897-900. 

  23. Swartz, H. J., and L. E. Powell, Jr., 1981: The effect of long chilling requirement on time of bud break in apple. Acta Horticulturae 120, 173-178. 

  24. Wertheim, S. J., and H. Schmidt, 2005: Floweing, pollination and fruit set.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J. Tromp, J. T. Webster and S. J. Wertheim (Eds.). Backhuys Publishers, Leiden, 220-223. 

  25. Yim, Y. J., 2015: Fruit science general (1st ed.). Yim, Y. J. (Ed.), Hyangmoonsha Press, Seoul, 65-66, 159-162, 172-173 and 340-341. 

  26. Yun, S. K., K. H. Chung, I. K. Yoon, E. Y. Nam, J. H. Han, D. J. Yu, and H. J. Lee, 2012: Developmental rate equations for predicting blooming date of 'Yumyeong' (Prunus Persica) peach trees.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189-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