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육기 조기낙엽에 따른 사과 '후지'/M9의 광합성과 탄수화물의 변화
Changes in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 Reserves of 'Fuji'/M9 Apple trees in Response to Early Defoliation at Growing Period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4, 2017년, pp.291 - 296  

정재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한점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류수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한현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권용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도경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임순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이한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과 '후지'/M9의 생육기간 중 조기낙엽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적엽 처리하여 광합성과 탄수화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눈의 재발아율은 대조구, 50% 처리구, 80% 처리구에서 각각 2.1%, 45.9%, 82.7%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적엽처리 후 남은 잎의 자당(sucrose)와 전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대조구와 50% 처리구에서는 총 유리당의 변화도 크지 않았다. 반면 80% 처리구에서 총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은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sink로서의 탄수화물요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뿌리에서의 전분 축적은 적엽처리 정도가 심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는 80% 처리구에서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광합성 속도의 상승은 남아있는 source 잎에서의 삼투포텐셜이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적엽처리로 인하여 눈의 당년 2차 재발아에 필요한 sink의 탄수화물 요구가 갑작스럽게 일어나게 됨으로써 남아있는 잎에서 광합성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arly defoliation on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 reserves when the source leaves of 'Fuji'/M9 apple (Malus domestica Borkh.) trees were removed during the growing period. Bud regrowth rates of 80%, 50% defoliation and non-defoliation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과나무의 생육기간 중 태풍과 우박 등 극한기상 조건에 의한 조기낙엽 피해를 가정하여 인위적으로 적엽을 하였으며, 적엽처리 직후 2주(14일) 동안 남아있는 잎에서 광합성 능력과 탄수화물을 조사하여 조기낙엽 발생 초기의 수체 내에서 일어나는 저장양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엽과수의 휴면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낙엽과수의 휴면은 식물체 내부적으로는 생리적 변화가 계속 일어나고 있으나 외관상 생장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Saure, 1985). 휴면은 유기 요인에 따라 외재휴면(para-dormancy), 내재휴면(endo-dormancy), 환경휴면(eco-dormancy) 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외재휴면은 눈이 식물체의 다른 부위와의 상관적 억제작용 때문에 발아하지 못하는 상태(Lang 등, 1987)로써, 정단신초를 적심하거나 적엽처리 등에 의해 액아나 정아의 재발아가 일어날 수 있다.
낙엽과수의 휴면을 유기 요인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과수의 휴면은 식물체 내부적으로는 생리적 변화가 계속 일어나고 있으나 외관상 생장이 멈춘 상태를 말한다(Saure, 1985). 휴면은 유기 요인에 따라 외재휴면(para-dormancy), 내재휴면(endo-dormancy), 환경휴면(eco-dormancy) 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외재휴면은 눈이 식물체의 다른 부위와의 상관적 억제작용 때문에 발아하지 못하는 상태(Lang 등, 1987)로써, 정단신초를 적심하거나 적엽처리 등에 의해 액아나 정아의 재발아가 일어날 수 있다.
과수의 생육기간 중 환경요인에 의한 조기낙엽피해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상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강한 바람과 태풍에 의한 조기낙엽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과수의 생육시간 중 잎 손실은 당해 연도에 과실크기, 색도, 당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품질을 저하시키며(Choi 등, 2002), 화아분화, 수체 저장양분 및 꽃눈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Jeong 등, 2005). 또한, 조기낙엽에 의해 수체의 저장양분이 감소하여 이듬해 개화와 결실이 감소하게 되며(Kang과 Ko, 1976), 익년 내한성과 화아분화에도 영향을 주는데 낙엽율이 높을수록 가용성 양분저장이 감소하여 내한성과 개화율이 감소한다(Sagong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S.T., J.O. Kim and K.R. Kim. 2000. Effects of defoliation treatments during maturation on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J. Kor. Soc. Hort. Sci. 41:383-386 (in Korean). 

  2. Choi, S.T., S.M. Kang, K.S. Park, W.D. Song, and K.K. Seo. 2002. Thinning effect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of persimmon trees defoliated in early autumn. J. Kor. Soc. Hort. Sci. 43:660-665. 

  3. Cruz-Castillo, J.G., D.J. Woolley, F. Famiani. 2010. Effects of defoliation on fruit growth, carbohydrate reserves and subsequent flowering of 'Hayward' Kiwifruit wines. Scientia Horticulturae. 125:579-583. 

  4. Faust, M., Shear, C.B. and Simth, C.B. 1986. Investigation of corking disorders of apples. II Chemical composition of affected tissues. Pro. Amer. Soc. Hort. Sci. 92:82-88. 

  5. Han, J.H., H.H. Han, Y.H. Kwon, J.H. Jung, S.H. Ryu, K.R. Do, H.C. Lee, I.M. Choi and T.C. Kim. 2016. Effect of early defoliation on fruit yield, reserve accumulation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Sinano Sweet' apple trees. Protected Hort. and Plant Fac. 25:133-137 (in Korean). 

  6. Jeong, J.G., Y.I. Song, M.Y. Park and H.J. Kwon. 2005. Studies on the degree and following year growth damaged by typhoon and practical measures in apple orchards. Research reports of RDA, Korea. p. 1179-1191 (in Korean). 

  7. Kang, S.M. and K.C. Ko. 1976. A study on cold hardiness, flowering and fruit bearing in 'Okubo' peach trees (Prunus persica) as affected by defoliation. J. Kor. Soc. Hort. Sci. 17(1):1-11. 

  8. Kwack, Y.B., H.L. Kim, W.B. Chae, J.H. Lee, E.H. Lee, J.G. Kim, and Y.B. Lee. 2013. Regrowth of bud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kiwifruit as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Kor. J. Environ Agric. 32:201-206 (in Korean). 

  9. Kweon, H.J., D.H. Sagong, Y.Y. Song, M.Y. Park, S.I. Kwon, and M.J. Kim. 2013.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1(6):666-676 (in Korean). 

  10. Lang, G.A., J.D. Early, G.C. Martin, and R. L. Darnell. 1987. Endo-, para-, and eco-dormancy: Physiological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for dormancy research. HortScience 22:371-377. 

  11. Loescher, W.H., G.G. Marlow, and R.A. Kennedy. 1982. Sorbitol metabolism and sink-source interconversions in developing apple leaves. Plant Physiol. 70:335-339. 

  12. Loescher, W.H., T. McCamant and J.D. Keller. 1990. Carbohydrate reserves, translocation, and storage in woody plant roots. HortScience. 25:274-281. 

  13. Oliveira, C.M. and C.A. Priestley. 1988. Carbohydrate reserves in deciduous fruit trees. Hort. Rev. 10:403-430. 

  14. Priestley, C.A. 1987. Source-sink relationships of fruit tree, p.81-97. In: M.R. Sethuraj and A.S. Raghavendra (eds.). Tree crop physiology. Elsevier, Amsterdam. 

  15. Rhee, Y.S. and K.C. Ko.1973. Study on the flower bud differentiation of main fruit trees in Korea. J. Kor. Soc. Hort. Sci. 13:115-123 (in Korean). 

  16. Rui, Z. and B. Quebedeaux. 2003. Changes in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 metabolism in mature apple leaves in response to whole plant source-sink manipulation. J. Amer. Soc. Hort. Sci. 128:113-119. 

  17. Sagong D. H., H. J. Kweon, Y.Y. Song, M. Y. Park, J.C. Nam, S.B. Kang and S.G. Lee. 2011. Influence of defoliation by marssonina Blotch on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Kor. J. Hort. Sci. Technol. 29(6):531-538 (in Korean). 

  18. Sang, H.Y., J.Y. Lee, H.W. Jung, and H.S. Park. 2005. Effects of Defoliation for 4-year-old 'Fuji' apple trees managed by pending system. Journal of Plant and Environment. 1:45-48 (in Korean). 

  19. Saure, M.C. 1985. Dormancy release in deciduous fruit trees. Hort. Rev. 7:239-300. 

  20. Yim Y.J. and H.C. Lee. 1999. Effect of pre-harvest defoliation on fruit color and tree physiology in apples. J. Kor. Soc. Hort. Sci. 40:209-21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