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 우박에 의한 산림피해의 기상, 수종 및 지형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Hail Damages to Korean Forests in 2017 by Meteorology, Species and Topograph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4, 2017년, pp.280 - 292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보라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장근창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여 피해 등급별로 도면화하여 피해 수종과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지형적 특성, 기상요인 등과의 연관성 등을 분석하였다. 전체 산림 피해면적은 4,105.2ha이었고, 전남은 화순, 담양, 곡성 등 3개 군에서 1,163.1ha, 경북은 봉화에서 2,942.3ha이었다. 그러나 피해강도로 보았을 때 피해 "심" 지역 전체 326.7ha의 91%가 전남에 분포하였고 이 중 57%인 185.2ha가 화순에 집중되었다. 피해가 가장 심한 수종은 소나무이었고 다음으로는 리기다소나무이었으며, 활엽수는 백합나무의 피해율이 높았으나 고사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졸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활엽수들은 대부분 회복되었다. 피해지의 지형 특성을 살펴보면 전남은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경북은 주로 북-북서면에 피해가 컸는데 이는 우박이 내릴 당시의 풍향과 관계된다. 우박피해 이후 소나무류의 고사 원인은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와 우박이 내린 시기 전후 지속된 고온과 가뭄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무 고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는 병이나 해충은 발견되지 않았다. 우박과 가뭄에 의해 피해를 입은 소나무가 고사한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il is not a frequently occurring weather event, and there are even fewer reports of hail damages to forest stands. Since the 2000s, an increase in hail incidence has been document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 severe hails occurred in Jeollanam-do province on May 31 and in Gyeongs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금번 우박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규모로 산림에 피해를 입혔는지, 피해를 받은 수종과 지형적 조건은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수목들이 고사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와 더불어 드론과 헬기를 이용한 사진 영상자료 및 기상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무엇인가? 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
우박피해 이후 소나무류의 고사 원인은? 피해지의 지형 특성을 살펴보면 전남은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경북은 주로 북-북서면에 피해가 컸는데 이는 우박이 내릴 당시의 풍향과 관계된다. 우박피해 이후 소나무류의 고사 원인은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와 우박이 내린 시기 전후 지속된 고온과 가뭄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나무 고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는 병이나 해충은 발견되지 않았다.
우박에 의한 산림에서의 피해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이유는? 이와 같이 우박에 대한 기상학적 관점의 연구들은 국내 및 국외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박에 의한 산림에서의 피해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농작물에서의 피해처럼 가시적이지 않고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실제로는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관측되지 않은 경우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의 우박에 의한 산림피해 사례도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ngnon, S. A., D. Changnon, E. R. Fosse, D. C. Hoganson, J. R. Richard, and J. M. Totsch, 1997: Effects of recent weather extremes on the insurance industry: major implications for the atmospheric scien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 425-435. 

  2. Community Collaborative Rain, Hail & Snow Network. Hail reports (2000-2016). Retrieved from http://www.cocorahs.org (accessed on July 2017) 

  3. Cremer, K. W., 1984: Hail damage in Australian pine plantations I. Nature and extent of damage. Australian Forestry 47, 103-114. 

  4. Dobbs, R. C., and R. G. McMinn, 1973: Hail damage to a new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plantation in central British Columbia. The Forestry Chronicle 49, 174-175. 

  5. Dotzek, N., P. Groenemeijer, B. Feuerstein, and A. M. Holzer, 2009: Overview of ESSL's severe convective storms research using the European Severe Weather Database ESWD. Atmospheric Research 93, 575-586. 

  6. Go, H., S. Jeong, and K. Kim, 2007: Temporal and spatial structure of hail in Korea (2000-2006). Proceedings of 2007 Fall Meeting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52-153. (in Korean) 

  7.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r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 113-121. doi: 10.1111/j.1752-1688.1998.tb05964.x. 

  8. Hayes, M. J., M. Svoboda, D. A. Wilhite, and O. Vanyarkho, 1999: Monitoring the 1996 drought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 429-438. 

  9.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Available from URL: http://www.ipcc.ch/report/ar5/wg2/ (accessed on Jul. 2017) 

  10. Jin, H., H. Lee, L. Jambajamts, and J. Back, 2016: The hail climate of Korea, Proceedings of Fall Meeting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4-25. (in Korean) 

  11. Kang, S., J.-H, Lim, E. Kim, and N. Jo, 2016: Modeling analysis of climate and soil depth effects on Pine tree dieback in Korea using BIOME-BGC.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 242-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D., E. Lim, and W. Kwon, 1999: Temporal and spatial structure of hail occurrence in Korea. Proceedings of 1999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59-262. (in Korean) 

  13. Kim, J., E. Kim, and J.-H. Lim, 2017: Topograph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dieback areas in Sogwang-ri, Ulj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 10-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C., J. Lee, and C. Ryu, 2011: Classification of 500 hPa weather charts and analysis of hail incidence areas, Proceedings of 2011 Fall Meeting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0-31. (in Korean) 

  15. Lee, C., K. Park, and Y. Sin, 2005: Analysis of hail characteristics in Korea. Proceedings of 2005 Fall meeting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42-343. (in Korean) 

  16. Lee, J. B., E. S. Kim, and S. H. Lee, 2014: An analysis of spectral pattern for detecting pine wilt disease using ground-based hyperspectral camer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 665-675. 

  17. Lee, S. K., S. K. Lee, H. B. Bae, S. T. Seo, and J. K. Lee, 2014: Effects of water stress on the endophytic fungal communities of Pinus koraiensis needles infected by Cenangium ferruginosum. Mycobiology 42, 331-338. 

  18. Lim, J.-H., 2015: Status and hypothesis of dieback of pines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Proceedings of 2015 Second Half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earch, in Gwangju, 85pp. (in Korean) 

  19. Lim, J.-H., 2016: Climate change-induced dieback of evergreen conifers in Korea and options for adaptation. Proceedings of 2016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Symposium on Forest Management for Enhancing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Seoul, Korea, 53-76. 

  20. Magee, A. 2016: Pine trees to be replanted at Kowen.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Media Releases. Retrieved from http://www.act.gov.au (accessed on July 2017) 

  21.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l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January, 17-22. 

  22.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9th AMS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Dallas, TX, January, 15-20. 

  23.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Severe weather 101 (hail). Retrieved from http://www.nssl.noaa.gov/education/svrwx101/hail/(accessed on July 2017) 

  24. Reily, C. G., 1953: Hail damage in forest stands. The Forestry Chronicle 29, 139-143. 

  25. Smith, S., M. J. Wingfied and T. A. Coutinho, 2002: The role of latent Sphaeropsis sapinea infections in post-hail associated die-back of Pinus patul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64, 177-184. 

  26. Tartachnyk, I., and M. M. Blanke, 2002: Effect of mechanically-simulated hail on photosynthesis, dark respiration and transpiration of apple leave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48, 169-175. 

  27. Williams, L., 2017. Wind and hail damage caused by the April 9, 2017 storm. Posted on April 25 in Wisconsin DNR Forestry News. Retrieved from https://forestrynews.blogs.govdelivery.com/ (accessed on July 2017). 

  28. Zwolinski, J. B., W. J. Swart and M. J. Wingfield, 1995: Association of Sphaeropsis sapines with insect infestation following hail damage of Pinus radi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72, 293-2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