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록고사리(미늘창고사리과): 한국 미기록종
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 (Tectariaceae), a newly recorded taxon from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4, 2017년, pp.316 - 321  

신혜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  김명준 (여미지식물원) ,  오충근 ,  이남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 백록고사리[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은 한국에서 보고된 바 없는 미늘창고사리과(Tectariaceae Panigrahi)의 미늘창고사리속(Tectaria Cav.)에 속한다. 백록고사리는 거의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올라가는 지하경, 이형엽 또는 반이형협, 유리맥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종은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남서부 사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의 남부지역과 대만에서도 자생한다. 일본에는 미늘창고사리속 식물 8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백록고사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록고사리의 분포 지역 중 가장 최북동 지역이며, 그 서식처는 작은 수직동굴 내부로 한정되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 (Baek-Rok-Go-Sa-Ri) is newly reported in Korea. This species belongs to the genus Tectaria Cav. of the family Tectariaceae Panigrahi. Thus far, no taxa of Tectariaceae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ectaria fuscipes is characterized by its suberect to asc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Collection site: Pit cave on the southwestern slope of Mt. Hallasan (alt. 320 m), Seogwipo-si, Jeju-do, Kore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vanilles, A. 1799. Nuevos caracteres genericos de los Helechos por Smith. Paper read at Anales de Historia Natural. 

  2. Ching, R. 1931. The studies of Chinese ferns VII, a revision of the genus Tectaria from China and Sikkim-Himalaya. Sinensia 2: 9-36. 

  3. Christensen, C. 1934. Index Filicum: sive enumeratio omnium generum specierumque Filicum et Hydropteridum. Supplementum Tertium: pro annis 1917-1933: H. Hagerup, 1934. 

  4. Copeland, E. B. 1907. A revision of Tectaria with special regard to the Philippine species. The Philippine Journal of Science 2: 409-418. 

  5. Copeland, E. B. 1947. Filicum Genera. Chronica Botanica Co. Waltham, Mass. 

  6. Ding, H.-H., Y.-S. Chao, J. R. Callado, and S.-Y. Dong. 2014.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of the fern genus Tectaria (Tectariaceae) in the Old World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0: 66-78. 

  7. Holttum, R. E. 1988. Studies in the Fern Genera Allied to Tectaria Cav. VII. Species of Tectaria sect. Sagenia (Presl) Holttum in Asia excluding Malesia. Kew Bulletin 43: 475-489. 

  8. Holttum, R. E. 1991. Flora malesiana series II : Pteridophyta : Ferns and fern allies vol. 2, part 1. rijksherbarium/hortus botanicus. 

  9.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1995. Flora of Japan: Pteridophyta and Gymnospermae. Vol. 1: Kodansha. 

  10. Panigrahi, G. 1986. Tectariaceae, fam. nov. to replace Aspidiaceae Mettenius ex Frank, nom. illeg. (Pteridophyta). Journal of Orissa Botanical Society 8: 41-42. 

  11. Patil, S., S. Yadav, and M. Dongare. 2014. 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 (Tectariaceae, Pteridophyta), a New Record for Southern India. The Journal of Japanese Botany 89: 186-188. 

  12. Sledge, W. A. 1972. The tectarioid ferns of Ceylon. Kew Bulletin 407-424. 

  13. Smith, A. R., K. 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 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14. Sun, B. Y., I. C. Hwang, M. O. Moon, and K. Nang. 2014. Biodiversity of Cambodia: Lycophytes and Fern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15. Tryon, R. M., and A. F. Tryon. 1982. Ferns and allied pla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ropical America: Springer-Verlag, New York. 

  16. Underwood, L. M. 1906. American Ferns-VI. Species Added to the Flora of the United States from 1900 to 1905. Bulletin of the Torrey Botanical Club 33: 189-205. 

  17. Wu, Z., P. Raven, and D. Hong. 2013. Flora of China, vol. 2-3, Lycopodiaceae through Polypodiaceae: Beijing: Science Press. 

  18. Zhang, L., E. Schuettpelz, C. J. Rothfels, X.-M. Zhou, X.-F. Gao, and L.-B. Zhang. 2016. Circumscription and phylogeny of the fern family Tectariaceae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markers,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genera: Draconopteris and Malaifilix (Tectariaceae). Taxon 65: 723-738. 

  19. Zhang, L., X.-M. Zhou, D.-K. Chen, E. Schuettpelz, R. Knapp, N. T. Lu, T. T. Luong, M. T. Dang, Y.-F. Duan, and H. He. 2017. A global phylogeny of the fern genus Tectaria (Tectariaceae: Polypodiales)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markers identifies major evolutionary lineages and suggests repeated evolution of free venation from anastomosing venation.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