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해방지 지반침하방지 기술개발 추진 현황 및 주요 성과
A Study on the Status and Major Achievements on Mine Subsidence Prevention Technology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7 no.6, 2017년, pp.357 - 365  

양인재 () ,  이승아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센터 지반안정기술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해방지 기술개발사업은 한국의 광산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조사 및 설계, 충전효율화를 위한 설계 및 시공, 자동화 계측 및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실증을 토대로 기술상용화 기반의 연구를 추진하여 왔다. 1, 2단계 광해방지 기술개발 로드맵('07~'16)에서는 지반침하 안정성 평가방법, 충전재 및 충전기술 개발, 계측장비 개발의 성과목표를 달성하였다. 향후에는 지반침하 위험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지반침하방지 신기술 발굴 및 도입을 통해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이와 병행한 사업추진 기술인프라를 강화시켜 나가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e subsidence prevention technology has been promoted based on the field test for design, construction, automation measurement and monitoring optimized for investigation, design and mine-filling efficiency customized in Korean mi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D roadmap ('07~'16) of the 1s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복합상부지반에 대한 효율적인 보강법 개발을 위하여 형태 검토(단순형, 아치형, 꺽인형, 복합 보강형-앵커, 말뚝 등) 및 보강재료 물성 검토(단순보형 재료-콘크리트, 철근)를 통하여 공동 형상에 최적화된 이상적인 슬라브(SLAB)형상 보강모델을 개발하였다. 복합상부보강이 적용되는 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채굴적규모, 지층구조, 채굴적경사에 따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총 14개 현장에 대한 시험시공을 통해 말뚝지지 슬라브 형식검토, 기초형식 검토(선단지지형, 마찰형), 구조체 검토(구조체 지반반력 신뢰성)를 토대로 설계기준 및 지침을 제시하였다.
  • 개발된 광해방지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전문광해방지사업자 등 중소기업과 공동연구를 통해 가행 및 폐광산에 대한 현장기술 적용 및 성과검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1, 2단계 기술개발 로드맵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선진국 수준의 기술개발을 완수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관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침하관련 연구동향 및 지반침하 사례분석(석탄광 5,148건, 금속광 66건)을 토대로 주요 침하 영향인자(탄층경사, 두께, 채굴적 심도 등) 다변량 분석을 통한 정량적인 안정성 평가기법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는 불규칙한 한국형 지반침하 특성에 관한 핵심인자를 도출하고, 무극광산과 한보광산 등 실증현장에 대한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하여, 연속체 및 불연속체 조건별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최대침하량 및 상호인자 영향해석을 실시하여, 지반침하 안정성 평가법을 개발하였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08).
  • 먼저 설계영향인자로는 수진기 설치배열 및 설치위치, 수진기와 진원과의 거리, 계측장비의 샘플링 간격 및 시간동기화 등이 있으며, 수진기 성능인자로는 수진기의 주파수 범위, 감도 및 수진기 설치위치의 주변 잡음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광산현장에서 지반침하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역산위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파를 증폭시키면서 노이즈를 감쇠시키는 편극 필터를 사용하여 S파를 추출하고 S파의 속도를 도출하였다.
  • 지반침하방지 보강공사에서는 주로 수압식 충전법을 활용하여 모래, 시멘트, 몰탈, 시멘트 밀크 등 비교적 고가의 재료들을 충전재로 사용하여 왔다. 본 연구의 목표는 수질오염 등 환경친화적 조골재, 현장토, 폐석, 순환골재 등 다양한 재료에 대한 현장실증 및 최적 충전기법 기술개발을 통해서 충전효율성을 높이고 지반침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재료수급이 용이하지 않은 광산지역의 현장토를 이용한 쇄석골재, 혼합골재, 현장토를 이용한 충전재 기둥형성 시험을 실시하고, 충전효율 모니터링(안식각, 확산성, 물성검토)을 통한 채굴규모별 보강방안을 목표로 하였다.
  • 평가등급은 채굴적 심도>상반조건>채굴적 폭>채굴적 높이>채굴적 경사>강우>동적하중>침수상태로 결정하였고, 미래코 지리정보시스템(MGIS) 과 연계된 평가표를 제공함으로써, 5단계 위험등급(I~V)분류를 토대로 한 체계적 관리방안이 마련되었다. 연구의 최종 목표인 평가기법 및 평가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지반침하가 예상되는 광산지역 지하정보 DB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안정성 평가를 수행한 후, 평가결과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로 제시함으로서 설계자의 판단오류와 주관성을 배제하고 지반침하 위험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예측 및 평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Fig.
  • 일본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는 미쓰비시와 공동으로 광산 충전의 효율화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한국광해관리공단, 2017). 우리나라의 지반침하방지 기술개발은 복잡한 지질구조와 다양한 맥폭과 경사도를 갖는 국내 광산 실정에 맞도록 다양한 응용기술과 이론을 접목하여, 광해방지사업 현장수요를 반영한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이의 실용화 기술개발을 통한 현장적용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한국형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기법, 산악 등 험지에 위치한 광산지역 효과적 침하모니터링을 위한 자동화 계측기술, 지하채굴 공동 3차원 형상화 시스템, 공동충전 설비 최적화 기술, 슬라브 국부보강 기법 등이 있으며, (가)서초정리, 성하마로 등 폐금속 및 폐석탄광 28개 광산에서 현장기술 적용을 통한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여 왔다.
  • 국내의 복잡한 지질환경과 채탄법은 다수의 급경사 채굴적을 형성하고 있어 수평 채굴적에 주로 적용되었던 외국의 공법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효율적인 보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국내광산 특성에 부합하는 그라우팅 시스템, 급경사지 채굴적 대상 주입장치, 친환경 무수축 그라우팅 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주입방법별 기존 주입재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반복시험시공을 통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폐광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지하수가 충수된 채굴적에 대한 충전효율화를 연구의 일환으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초급결성 급결제, 알칼리탄산염, 폴리카본 유동화제, 급결보조제 등 다양한 시험조건을 현장에서 모사하여 최적의 그라우팅 재료개발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수질오염 등 환경친화적 조골재, 현장토, 폐석, 순환골재 등 다양한 재료에 대한 현장실증 및 최적 충전기법 기술개발을 통해서 충전효율성을 높이고 지반침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재료수급이 용이하지 않은 광산지역의 현장토를 이용한 쇄석골재, 혼합골재, 현장토를 이용한 충전재 기둥형성 시험을 실시하고, 충전효율 모니터링(안식각, 확산성, 물성검토)을 통한 채굴규모별 보강방안을 목표로 하였다. 폭 6.
  • 광산지역에 대한 한국형 지반침하 현상의 특징은 광종 및 개발방법 등에 따른 침하형태와 발생시기가 큰 편차를 보이며, 침하지 및 폐갱도의 복원 설계를 위한 정밀한 백데이터는 해석이 매우 난해하다는 점이다. 지반침하 기술개발사업은 지반침하방지사업 수행에 요구되는 기초자료(채굴적 규모, 지층성상, 안정성평가)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서 효율적인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광산별, 채광법별 침하원인 규명과 개발이론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광산지역의 조사기법 개선을 위한 장비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이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체계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산 지하채굴적에 대한 효율적 충전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광산지역 지반침하 보강공사 대상은 채광 암반조건의 다양성, 굴진심도, 주입방법, 보강효과 등 다양한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광산 지하채굴적에 대한 효율적 충전을 위해서는 공동의 위치, 규모, 채광방법, 채굴상태, 지질 및 지하수 조건 등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여 공법 및 재료를 선정하여야 한다. 국내의 복잡한 지질환경과 채탄법은 다수의 급경사 채굴적을 형성하고 있어 수평 채굴적에 주로 적용되었던 외국의 공법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효율적인 보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 광해방지 기술개발사업은 무엇을 해왔는가? 광해방지 기술개발사업은 한국의 광산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조사 및 설계, 충전효율화를 위한 설계 및 시공, 자동화 계측 및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실증을 토대로 기술상용화 기반의 연구를 추진하여 왔다. 1, 2단계 광해방지 기술개발 로드맵('07~'16)에서는 지반침하 안정성 평가방법, 충전재 및 충전기술 개발, 계측장비 개발의 성과목표를 달성하였다.
광해방지 기술개발사업에서 달성한 성과목표는 무엇인가? 광해방지 기술개발사업은 한국의 광산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조사 및 설계, 충전효율화를 위한 설계 및 시공, 자동화 계측 및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실증을 토대로 기술상용화 기반의 연구를 추진하여 왔다. 1, 2단계 광해방지 기술개발 로드맵('07~'16)에서는 지반침하 안정성 평가방법, 충전재 및 충전기술 개발, 계측장비 개발의 성과목표를 달성하였다. 향후에는 지반침하 위험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지반침하방지 신기술 발굴 및 도입을 통해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이와 병행한 사업추진 기술인프라를 강화시켜 나가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한국자원연구소, 1998, 한국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지반침하 안정성 평가기법 및 대책연구, KR-98(C)-47. 

  2.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2004, 폐광지역 지반침하 방지사업 종합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보고서, 113-225. 

  3. 한국광해관리공단, 2008, 한국형 광산지역 지반침하의 안정성 평가기법 및 소프트웨어 개발, 152-153. 

  4. 이병윤, 전석원, 김태현, 조정우, 김관일, 김태혁, 김수로, 2009, 채굴적 경사에 따른 그라우팅 주입량 결정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07-122. 

  5. 한국광해관리공단, 2009, 지반침하억제를 위한 상부보강 기술개발, 137:193-197. 

  6. 한국광해관리공단, 2009, 지하공동의 효율적 충전을 위한 급결 충전 그라우트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7.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고효율 충전기술 개발. 

  8.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광산 지하 채굴적 및 공동 3차원 형상화 장비 개발,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총서 2011-142. 

  9.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지반침하억제를 위한 수압식 충전법 효율화 방안연구. 

  10.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팽창-파열 주입식 록볼트 실용화장비 개발, 151-161. 

  11. 한국광해관리공단, 2013, 지하공동 충전소재 개발. 

  12. 한국광해관리공단, 2013, 삼성석회석광산 지반침하 정밀조사 및 자동계측기 설치.모니터링 정밀조사 보고서. 

  13. 한국광해관리공단, 2013, 고효율 지반보강 기술 개발 보고서. 

  14. 한국광해관리공단, 2014, 폐광지역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15. 한국광해관리공단, 2016, 지반침하 현장 모니터링 기법 개발, 52-127. 

  16. 한국광해관리공단, 2017, 2016 광해통계연보, 187-189. 

  17. 한국광해관리공단, 2017, 2016 광해관리백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